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정의와 특징,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단계,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모형,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적용 사례,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주의점, 상황학습이론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정의와 특징,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단계,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모형,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적용 사례,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 주의점, 상황학습이론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의 정의

Ⅲ.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의 특징
1. 학습의 주도권은 학생에게 있다.
2. 교사의 역할 : 촉매자 역할

Ⅳ.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의 단계
1. 계획단계
2. 도입단계
3. 전개단계
1) 상황제시
2) 상황이해
3) 상황구성
4) 상황표현
4. 정리 단계

Ⅴ.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의 모형

Ⅵ.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의 적용 사례

Ⅶ.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의 주의점

Ⅷ. 상황학습이론(상황학습모형)의 평가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생과 교수 간에 존재하는 힘의 불균형성에 대한 개념이 거의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점은 상황적 학습 모델에서 추구하는 교사의 역할이 문제해결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자로서 뿐만 아니라 학생과 함께 배우는 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당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다시 말해, 교사의 역할 중 같이 배우는 자로서의 역할은 다른 역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사가 지닌 힘에 대한 자발적인 양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모델에서 말하는 같이 배우는 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은 말 그대로 받아들일 만큼 깊이 있는 접근이라기보다는(이와 관련지어서는 Delpit, 1988; O\'Loughlin, 1992등을 참조하시오) 상당히 피상적인 접근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적 학습 모델의 이론적, 실천적 발전을 더욱 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일련의 질문들을 좀더 진지하게 고려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교사들은 과연 자신의 역할을 정보 제공자(전문가)로서의 역할에서 학습 조언자 뿐만 아니라 같이 배우는 자로서의 역할 전환에 협조적인가?
교사들은 어떻게 하면 참된 의미에서 학생 주도적 학습에 가치를 두고 이를 위해 융통성 있게 행동할 수 있는가?
어떻게 하면 학생들 역시 교사가 제공하는 이미 결정된 해답을 추구하기보다 얼마만큼 자신들의 개인적 경험과 지식에 의거하여 스스로 주도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할 수 있는가?
어떻게 학생들은 자신들의 역할을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자의 입장에서 적극적인 자신들의 생각과 인식에 가치를 두고 합법화할 수 있는 독립적인 사고 능력을 지닌 자들로서 역할 변화를 할 수 있을 것인가?
어떻게 해야 교육적 목표에 조금도 지장이 되지 않으면서 실제 과제들을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
Ⅸ. 결론
상황 학습 이론은 학교 학습이 효과적이지 못하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실생활에 활용되지 않는 이유를 지식이 실제 사용되는 맥락과 분리되어 가르쳐진 결과라고 말하고 있다. 즉,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은 원래 지식이 사용되는 맥락이나 상황과 분리되어 추상적이고, 순수한 지식 그 자체로 가르쳐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분이나 적분은 분명히 과학자나 수학자들이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원리일 것이다. 하지만 학교 교육에서는 그것이 사용되는 맥락에 대한 정보 없이, 맥락과는 독립되어 그 자체만 가르친다. 이렇게 맥락과 독립된 지식은 그 자체의 의미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고 또한 배우고 난 후에도 언제,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기 어렵다.
상황 학습 이론은 전통적인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그 가치가 있다. 물론 모든 학습에 일상적인 맥락을 적용할 수도 없고, 또한 바람직하지도 않지만 이런 연구들로부터 학교와 일상 생활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의 격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또한 상황 학습 이론은 근본적으로 우리가 지식을 가르치는 이유와 목적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 강인애(1996), 구성주의 모델들의 특징과 차이점 : 인지적 도제이론, 상황적 학습이론, 인지적 유연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공학 연구
◇ 강명희(1994), 상황학습과 앵커드 교수이론을 적용한 코스웨어 설계전략, 정보과학회지
◇ 교육학연구, 상황학습이론에 따른 학습 내용의 구성, 교사의 역할, 평가 원리에 대한 고찰
◇ 박성익·임철일·이재경·최정임 공저(1999),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 최정임(1997), 상황학습 이론에 따른 학습 내용의 구성, 교사의 역할, 평가 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학연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0.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