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대 신유학의 형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대 신유학의 형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송대의 사회와 신유학의 발생
1. 송학이 발생한 사회적 배경
2. 불교에서 유교로

ꊲ 북송에서 전개되는 신유학
1. 주염계-無極으로서의 太極․主情
2. 정명도-天理․萬物一體의 仁
3. 정이천-性卽理․理氣二元論
4. 장횡거-氣一元論․民胞物如

ꊳ 남송의 주자학
1. 이기론
2. 우주론
3. 이기에 의한 인간관․윤리설

본문내용

은 현실 인간의 성을 이로서의 성, 즉 ‘본연의 성’과 기의 요소를 가진 ‘기질의 성’으로 구분하였다. 본연의 성은 순수한 천리이지만 기는 음양이나 정조청탁을 가진 것이므로, 기질의 성도 자연적으로 차이를 낳지 않을 수 없다.
그것만이 아니고, 본연의 성은 정지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외물과 접촉할 수 없지만, 기질의 성은 움직여서 외물과 교섭을 가지는 것이므로 그로부터 불가피하게 정 내지 인욕이 생기게 된다. 이것을 그대로 방임하면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과의 차이는 크게 되고 인간은 그 본래의 형태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거기에서 기질의 성을 어떻게 해서 본연의 성에 접근시킬 것인가 하는 실천적인 방법이 문제가 된다. 이 방법에는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과의 두 가지의 방향이 있다. 주관적인 방법은 내적 생활에 의한 것이다. 기질의 성은 외물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정이나 욕심을 낳는 것이므로 이것을 가능한 한 본연의 성, 즉 이의 정지상태에 가깝게 할 필요가 있다.
또 하나의 객관적인 방법으로는 ‘格物致知’ 또는 ‘格物窮理’라 불리는 것이 있다. 인간의 안에 있는 이 본연의 성은 그대로 완전한 것이고 천리 그대로여야 하지만, 그러나 현실 인간의 성은 동시에 기질의 성을 포함하여 불완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 불완전한 성을 완전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내성적이고 주관적인 방법에 의한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외부 사물의 이를 아는 것은 곧 그대로 내 안에 있는 이를 아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로지 안에 틀어 박히고자 하는 노장철학이나 선학의 주관의 벽을 깨부수고 외부 인륜의 세계, 정치의 세계에의 통로를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것은 또 본래의 유학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정이천의 사상을 주자는 충실히 계승하여 단지 이것을 정밀상세하게 하는데 그쳤다. 다만, 주자가 정이천과 다른 가장 큰 차이는 정이천이 격물궁리를 제창하면서도 그 실천적 모습을 거의 남기지 않은 것에 반해서, 주자는 이것을 최대의 규모로 실현한 점이다. 정이천은 문인이 기록한 어록을 제외하고서 저서로 전해지는 것은 『이천역전』중 일부일 뿐이지만, 주자는 『사서오경』의 거의 전반에 걸쳐 주해를 하여, 유교 경전에 철학적인 체계를 부여하는 대사업을 수행하였다. 주자학이 신유학으로서 확립되어 왕조지배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지위를 점하게 된 것은 여기에 최대의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0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