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와 법가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비자와 법가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본론
1) 韓非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2) 韓非 이전과 이후의 법가사상
3) 법치론(法治論)
4) 법치지상설(法治至上說)
5) 중형론(重刑論)
6) 인재등용술(人材登用術)
7) 유가 비판과 도가의 수용
8) 한비 사상의 의의와 한계
3.마치며

본문내용

부모와 자식간이 아닌 경쟁관계로 보는 것에서 상통한다.
임금이 남을 믿는다는 건 해로운 일이다. 남을 믿으면 자신이 남에게 눌리게 된다. 그것은 신하가 임금과 핏줄로 맺어진 것이 아니라, 다만 임금의 권위에 눌려 마지못해 복종하고 잇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하는 언제나 임금에게 끼어들 기회만 엿보고 있지만, 무관심한 임금은 그런 신하들을 버려두고 있다.
이 때문에 임금은 지위를 위협 당하기도 하고 살해당하기도 하는 것이다.
-한비자 비내편(韓非子 備內篇)-
신하의 이익과 임금의 이익은 서로 용납되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임금에겐 유능한 인물을 쓰는 것이 이익 되지만 신하로선 능력 없이도 일을 맡아 하는 것이 이익이기 때문이다.
임금은 공로 있는 사람에게 작록을 주는 것이 이익 되지만 신하로서는 공로 없이 부를 얻는 것이 이로운 것이다.
-한비자 고분편(韓非子 孤憤篇)-
-마치며
인간은 그 본성은 철두철미하게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규정한 것은 유가에서 말하는 성선설과는 너무나 상반된 견해이다. 한비자의 성악설의 유래는 그의 스승인 筍子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순자는 사람의 본성은 악하다고 하였으며 이것은 전면적으로 인간을 불신하는 생각이다. 인의니 도덕이니 관용이니 온정이니 하는 것을 일고의 여지도 없이 배격하였으니 그것은 인간 사회를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를 너무나 냉담하고 비정하고 서로의 감시와 적대의 냉전장으로 보게 한다.
실상은 인간이란 반드시 그렇게 서로 노려보고만 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경험에서 알고 있다. 또 인간에게 본래부터 그러한 비정한 일면이 있는 것을 부정하지 못한다면 그것을 선으로 유도하여 인간 사회를 따뜻한 것으로 만들어 살맛이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적어도 그렇게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그 때문에 정치가 존재하고 지도자가 필요하고 교화하는 것이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비자의 정치사상은 어떻게 하면 군주의 지배를 완벽하게 할까 하는 것만을 생각하고 국민 생활을 따뜻하고 행복한 것으로 만들려는 노력은 포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국민의 참마음에서 나오는 협력을 기대하지 않고 힘만을 편중하고 마음의 소중한 것을 살피지 않는 정치라고 하겠다. 힘만의 정치는 오래 유지 못한다. 진나라의 왕이었던 진시황을 보면 알 수 있다. 한비자의 정치사상을 채용하여 한때 부국강병을 이룩하고 천하를 힘으로 통일하여 천자가 되었지만 분서갱유를 감행하고, 냉혹하고 까다로운 법을 세웠으며, 부국강병을 이루었다. 그러나 진나라의 명운은 짧았다.
개인적으론 한비자가 인간의 본성은 자기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것은 보편적 정서에 미루어 볼 때 유감이기는 하나 그것을 전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인간의 본성이 선인지 악인지, 백지상태인지 단언하지 못한다. 그것이 본성이고 아니고냐는 문제가 안 된다. 실제로 그러한 점이 있는 것은 있는 그대로 보아야 할 것이다.
책과 여러 가지 자료를 참조하면서 법가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법이 없이 국가와 사회의 질서는 상상할 수 없다. 비록 치우친 점은 있었으나 한비자가 법을 주장한 것은 역시 현명하였던 것이다. 유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주류인 한비자의 사상을 공부하면서 능력에 따른 대우, 철저한 법치주의와 유학의 인의(仁義)가 같이 바로서는 대한민국이 되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문헌
한비, 김원중 역,『韓非子』, 현암사, 2003.
이영재,『재미있는 중국철학 이야기』, 박우사, 1993.
표정훈, 『하룻밤에 읽는 동양 사상』, 중앙M&B, 2002.
장승구 외, 『동양 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정세현, 『韓非子 硏究』, 서울대학교, 197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6.1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