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장애 및 섭식장애(eating and feeding disorde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Ⅲ. 신경성 대식증(bulimia nervosa)

Ⅳ. 기타식사장애 eating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Ⅴ. 유아기 또는 조기 소아기 섭식 및 식사장애(feeding and eating
disorders of infancy or early childhood)

Ⅳ. 비만(obesity)

본문내용

행 중에 나타난다면 병원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충분히 심각해야 한다.
⑥경과 및 예후 : 자연스럽게 소멸된다.
⑦치료 : 어머니나 부모한테 정신치료를 시행하여 환아를 따뜻하게 돌보도록 하며 증상이 나타날 때 마다 레몬즙을 짜넣는 aversive conditioning 이 효과가 있다고 한다. 빠르면 3-5일 사이에 증상이 사라진다.
3. 유아기 또는 조기 소아기 섭식장애 feeding disorder of infancy or early childhood)
DSM-Ⅳ 진단 기준 유아 또는 조기 소아기 섭식 장애
A. 섭식장애가 있어 지속적으로 적절하게 먹지 못하여 최소한 한달이 지나도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거나 또는 체중감소가 현저하다.
B. 본 장애는 위장장애 또는 다른 내과 질환(예 :esophageal reflex)으로 오는 것이 아니다.
C. 본 장애는 다른 정신질환(예 :반추장애) 또는 먹을 수 있는 음식의 부족으로 간주된다고 볼 수 없다.
D. 6세 이전에 발병한다.
Ⅳ. 비만(obesity)
1. 개념
신체 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신장별 표준체중에서 20%이상 초과한 상태를 비만이라고 정의한다.
2. 역학
최근 증가추세에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정확한 통계가 없다.
3. 원인
신체에서 필요로 하는 열량보다 과식을 했을 때 지방이 축적된다.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유전, 발달적요인, 신체적 활동, 뇌손상 등이 있고 정신적인 문제의 대처를 과식하는 등의 정신적 요인들이 있다.
4. 임상양상 : 비만한 사람들은 주위환경에서 오는 음식 신호, 음식먹기 등을 멈추는 능력 등에 있어서 극단적으로 취약해 보이며 배고픔의 내적인 신호에 대해서는 비교적 무감각함을 나타난다.
5.치료
①식이요법 diet : 열량섭취를 열량소모이하로 낮추기 위해 저칼로리 식사를 한다.
②운동 exercise : 육체적 활동에 필요한 열량소모는 체중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에 비만 환자들은 정상체중을 사진 사람들보다 같은 양의 활동을 하더라도 많은 열량을 소모한다.
③약물치료 pharmacotherapy : 약물치료는 식욕을 억제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내나 내성이 생기기도 한다.
④수술 : 중증환자에게는 음식물의 흡수저하를 목적의 수술이나 위 용량을 줄이는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⑤정신치료 : 정신적 문제는 다양하다. 비만의 정신치료는 행동치료가 가장 성공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7.04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