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FTA의 경제적 영향과 협상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일 FTA의 경제적 영향과 협상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과 일본의 FTA 추진배경
1. 한국의 FTA 체결 추진배경
2. 일본의 FTA 정책 추진배경
3. 한․일 FTA 추진의 필요성

Ⅲ. 기존 한․일 FTA 연구결과 및 문제점
1. 기존 연구결과의 요약
2. 기존 연구의 문제점

Ⅳ. 경제적 효과의 추정
1. 시뮬레이션 디자인과 의미
2. 시뮬레이션 충격(shock)의 설정
3. 시뮬레이션 결과
가. 양국간 상호 관세철폐
나. 비관세장벽의 완화효과

Ⅴ. 한․일 FTA 협상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의 투자를 유인할 수 있도록 특혜원산지규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한일 FTA가 추진되기 위해서는 FTA에 대한 양국의 국내 지지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양국간 FTA 체결의 경제적 효과와 전략적인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한일 FTA 구상에 대해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부각되고 있다. FTA의 가장 큰 수혜그룹인 기업마저 정부의 FTA 정책에 대한 인식도가 아직도 낮은 편이다. 향후 협상이 진전되면서 제조업 개방에 대한 노동조합의 반발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협상초기부터 노동단체와의 대화를 통해 일본과의 FTA에 대한 정부의 협상방향, 기대효과, 향후 대책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취약산업에 대한 대책으로 관세인하의 차등적 이행, 초민감 품목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문제, 사양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지원, 양국간 산업기술협력을 강화하는 방안 등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제시하고, 관련 단체의 의견을 수렴해야 할 것이다. 시장통합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통상제도 부문을 조화시킴으로써 시장접근 확대조치가 상호 시너지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일 양국의 부적절한 국제규격 실태를 수시 점검함과 동시에 국제규격 또는 2국간의 공통규격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시장접근 개선을 위한 상호인증 협정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장벽(TBT)의 실질적 완화 및 투명성 강화를 협정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합리적인 라벨링 제도의 도입 등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 동안 양국간 FTA 논의에 쟁점으로 부상되었던 비관세장벽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선이 가능한 분야의 발굴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적절한 형태의 특혜원산지규정을 통해 역내 산업내교역을 활성화시키고, 통관절차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교역을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일간 FTA가 경제적으로도 또 전략적으로 중요하더라도, 양국의 정치와 사회 그리고 역사를 바라보는 데는 많은 차이가 있다. 실지로 이 문제가 양국간 FTA를 체결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최근에 역사교과서 문제와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양국간 경제교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바 있어, 양국은 FTA라는 포괄적인 경제협력의 종합적인 틀을 짜는데 이들 정치사회적 변수들이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치사회적인 갈등요인들을 해소하는 데 양국 정부는 각별히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치사회적 갈등요인이 반드시 FTA를 논의하는 데 장애요인으로만 작용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FTA 체결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럽통합의 시발점이 경제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독일과 프랑스의 전쟁을 억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 더 나아가 동북아지역 국가들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FTA 체결을 통해 경제협력을 강화하여 정치사회적인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접근방안이 될 수도 있다.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한일 양국은 통상정책의 중요 수단으로 자유무역협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한 자유무역협정의 형태는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라 당사국간에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대한 논의가 많으면 많을수록 양국에 유리한 경제협력체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일 FTA는 동북아 및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인 입장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문제는 일본이 한국과의 FTA 추진목적이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도 상당부분 포함하고 있고, 일본이 한일 FTA를 확대하여 중국과 아세안을 포함시키는 것에 부정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일본은 한일 FTA의 확대보다는 일본이 별도로 중국 및 아세안과 양자간 FTA를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한국도 중국, 아세안과 별도의 FTA를 추진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 경우 동아시아에는 FTA를 통한 경쟁적 지역주의가 팽배하게 될 것이며, 이로 인해 경제협력 강화를 통한 경제적 이익 확보 및 지역적 안정 유지라는 경제통합의 본래 취지보다는 다수의 양자간 FTA로 인한 비효율(spaghetti bowl effects)의 발생과 지역적 불안정이 조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일 FTA가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핵심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선진국이고 FTA에서 유리한 일본이 불리한 국가에게 득이 될 수 있는 내용을 협상에서 제시해야 하고, 포괄적이고 깊이있는 협정이 되도록 일본이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일본으로부터 이러한 리더십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한일 FTA 추진의 최대 애로사항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영민. 2000. 「한일간 교역과 관세철폐 효과」. 한일 FTA와 기업의 미래 세미나 발표논문. 한국경제연구원. 9월.
김남두. 1996. 『보호무역의 비용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 96-06.
김도형. 2003. “한일FTA의 경제적 효과와 과제.” 『한일 FTA 종합토론회』. KITAFKIKIEP 주최 공동심포지움 자료. 서울. 5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아시아경제연구소. 2000. 『한일 자유무역협정의 구상: 평가와 전망』. KIEPIDE 주최 한일 공동심포지움 자료. 서울. 5월.
박순찬. 2001. 「한국 수출경쟁력의 변화 및 요인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______. 2001. 「한일 자유무역지대 형성과 자본축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경제전문가 풀 토의자료.
산업연구원(KIET). 1999. 『한일 FTA와 신산업정책 연구』.
일본 經濟産業省. 2001. 『對外經濟政策 基本理念』(www.meti.go.jp).
______. 2000. 産業の中間投入に係る內外價格調査.
정인교. 2001a. 『FTA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FTA연구시리즈 01-01.
______. 2001b. 『한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 01-04.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7.1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6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