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합병과 식민지시대 대외관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Ι. 문제의 제기
1) 한일합병의 과정
2) 외교에 대한 개념적 접근

Π. 상해 임정 시대의 외교 (1919-1932)
1) 파리 강화회의
2) 유럽에서의 외교활동
①프랑스에서의 외교활동
②영국에서의 외교활동
3) 미국에서의 외교활동
4) 중국에서의 외교활동

ΠΙ. 중경 임정 시대의 외교 (1940-1945)
1) 대중국 외교활동
2) 대미 외교활동
3) 열강의 태도

ΙV. 공산주의자들의 외교활동
1) 고려공산당의 외교활동
2) 고려공산당 해체이후의 활동

V. 영향 및 성과

VΙ. 맺음말

본문내용

자금지원을 약속받기도 하였다.
이런 국제사회에 있어서 한국문제에 대한 논의의 분위기 조성은 2차 세계 대전 중 한반도 국권 회복에 대한 연합국의 보장이라는 외교적 성과 획득을 가능하게 하였다. 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의 외교적 성과는 이 기간 중의 여러 국제회의(카사블랑카 회담, 카이로 회담, 테헤란 회담, 얄타 회담, 포츠담 회담 등)에서 의해 한반도 문제가 거론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이 “적절한 시기와 절차에 따라 해방되고 독립될 것” 이라는 카이로 선언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국정치외교사학회편 , 『한국외교사2』, 집문당, 1995, p56
카이로 선언 등 우리 민족의 독립문제가 국제사회에서 보장되어지게 된 것이 우리 민족 외교활동의 기여에 의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나 결과론적으로 민족의 의지 및 기대와는 달리, 즉각적이고 완전을 독립을 확인하는 결과에는 이르지 못하고 말았다.
VΙ. 맺음말
1910년의 한일합병으로 인해 우리민족은 일반적으로 국제사회에서 외교의 주체로 공인되어지는 국가와 정부를 상실해 버렸다. 그러나 그것으로 우리의 외교가 소멸된 것은 아니었다. ‘국권회복’을 위한 민족성원의 외교적 활동이 있었던 이상, 그것은 민족의 외교로 보아야 한다.
특히 1919년 상해의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후의 외교활동은 비록 그것이 국제사회의 외교주체로서 공인을 받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민족적 정통성을 지니는 ‘민족외교’의 주체 확립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공산주의자들의 對코민테른 외교 역시 우리 민족의 외교활동으로 그 의의를 가진다.
이 당시 외교활동은 독자적인 유형의 외교적 수단을 동원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국제사회와 열강에 대한 호소와 무장투쟁을 통한 민족의 독립의지를 국제사회에 표출시킴으로써 외교적 효과를 거두는 것이었다. 그 활동의 중심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있었다. 1919년 31 운동 이후에 설립된 임시정부는 그 이전까지 해외에서 있었던 각종 단체들의 활동을 통합하여 일원화된 외교활동을 펼쳤다. 그들의 외교 활동은 유럽, 소련, 중국, 미국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권회복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파리 강화 회의, 워싱턴 회의 등을 통해 국제 사회의 외교적 지원을 획득하려 하였다. 또한 동시에 임시정부의 승인과 독립운동의 지원을 받기 위해 타 국가와의 외교관계 수립을 위한 활동을 펼쳤다.
우리가 여기에서 또한 살펴보아야 할 것은 기존의 사회의식에 의해 간과되었던 공산주의세력에 의한 외교활동이다. 레닌의 제국주의식민지해방노선에 영향을 받아 서방국가들과의 외교보다 좀 더 급진적으로 이루어졌던 공산주의세력의 외교활동은, 러시아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 등 우리 민족의 독립에 또 하나의 축으로서 기여하였다.
이 당시 우리의 외교 활동의 한계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외교활동의 주체로서 활동한 세력들의 분열을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다. 이는 임시정부 및 독립단체 지도자들의 알력 및 반목에 의한 것으로서 효율적으로 외교활동을 추진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 구미위원회 운영에 있어서의 파행과 한인공산당 내부의 분열 등이 그러한 예라 하겠다. 그리고 또한 외교추진을 위한 재정의 부족과 우수한 인재의 부족 또한 문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일제에 의한 주권침탈이 기본적으로 열강들의 타협과 명시적묵시적 합의에 의해 이룩된 것이었고 그 당시 세력균형과 현상유지정책이라는 국제환경의 장벽에 의해, 우리의 외교활동은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것은 국제체제 상의 약소국으로서의 한계였다. 제 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특히 1941년의 태평양전쟁의 발발을 통해 일본과 열강과의 갈등과 대립이 표면화됨에 따라 비로소 우리의 국제적 외교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사실은 우리 외교의 또 하나의 한계를 드러내는 사실이다. 결국 이 시기 임정이나 한인공산당, 기타 단체들의 외교적 성과는 국제체제의 변화 양상에 의해 나타나졌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이런 활동들이 우리 민족의 독립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느냐 하는 것이다. 앞에서 얘기한 여러 단체들의 활동은 국제사회에 한국의 상황을 인식시켰으며 제 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국제회의에서 연합국으로 하여금 한반도의 국권 회복을 보장한다는 합의에 이르도록 하는 등, 결과적으로 한국의 독립을 가속화 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우리는 이번 기회를 통해 우리의 주권을 상실한 식민지 기간 동안의 우리민족의 외교활동이 가지는 의의를 생각해 보았다. 우리가 흔히 범하는 우는 국제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현실주의적 시각이 우리나라의 한계를 규정짓는다는 것이다. 그 예로서 약소국인 우리나라가 독립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제 2차 세계대전의 종식과 함께 미국에 의한 일본의 패망에 기인한다는 것과 같은 타성에 젖은 역사관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우리의 역사를 자기 스스로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대한민국의 독립은 우리 민족 성원들의 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논문 사이트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한국외교사 1』, 집문당, 1993,
한국정치외교사확회 편 『한국외교사 2』, 집문당,1995
구대열, 『한국 국제 관계사 연구 Ⅰ』, 역사비평사,1995
신재홍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구미외교관계,』
정용대 『임시정부의 파리강화회의 및 유럽 외교 활동』
존 베일리스, 스티브 스미스 ,『세계 정치론』,을유문화사,200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4,197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6,
이연복 『대한민국임시정부30년사』 국학자료원 1999
김희곤 『대한민국임시정부연구』 지식산업사 2004
Irie, Akira 『日本의 外交』푸른산 1993
구대열 『한국국제관계사』 역사비평사 1995
서대숙 『한국과 러시아관계』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1
황묘희 『重慶大韓民國臨時政府史』景仁文化社 2002
한시준 『김구와 중경임시정부사』역사문제연구소 1991
고준석 『조선공산당과 코민테른』공동체 1989
http://www.blog.naver.com/smallnews/6936309 식민지 조선에서
의 공산주의 운동 1925~1945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12.0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