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간 FTA 추진 현황과 전략적 과제(학사학위 졸업논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일 간 FTA 추진 현황과 전략적 과제(학사학위 졸업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Ⅰ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Ⅱ 장 경제통합이론과 자유무역협정의 효과
제 1 절 경제통합이론의 체계화
제 2 절 세계경제의 블록화 추이

제 Ⅲ 장 한일 FTA의 추진배경과 필요성
제 1 절 한일 교역 및 무역장벽 현황
제 2 절 한일 FTA의 추진배경
제 3 절 한일 FTA 필요성

제 Ⅳ 장 한일 FTA 체결의 경제적 효과
제 1 절 긍정적인 효과
제 2 절 부정적인 효과

제 Ⅴ 장 한일 FTA의 체결상의 문제점과 대응전략
제 1 절 한일 FTA의 문제점
제 2 절 한일 FTA 추진방향
제 3 절 한일 FTA 대응방향

제 Ⅵ 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겨주기 어려울 것이다.
물론 한·일 FTA 체결에 이르기까지는 이직까지 넘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높은 대외의존도와 기술경쟁력의 현주소를 고려할 때 우리에게 결코 넉넉한 시간이 주어져있지 않다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우리나라에게 FTA 체결은 하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어느 나라와 어떻게 하느냐가 관건이 되는 시점에 와있다는 것이다. 한·일 양국 산업구조상의 특성, 지리적 인접성, 아시아에서의 영향력 정도를 종합적으로 감안할 때 한·일 FTA를 체결하면 상호 득실이 무엇인가를 계산하는 것도 1차적으로 중요하나, 현재의 세계적 변화를 숙지하고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여 향후 양국이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떻게 협력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협력이 가져다주는 손익이 무엇인지를 신중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그동안의 진행과정을 볼 때 한·일 FTA를 체결할 가능성과 그 잠재력이 큼에도 불구하고 이의 실현까지는 아직도 요원해 보이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의 저변에 깔려있는 것은 다름 아닌 양국간의 상호불신이라 하겠다. 우리나라는 과거청산에 미온적인 일본이 과연 미래지향적인 상호공존전략을 구축할 파트너로서 신뢰할 만한가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하며, 일본은 거듭된 지적에도 불구하고 투자환경 개선에 미온적으로 보이는 우리나라 정부 및 노사관계의 향후 개선 여부에 대해 강한 불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의 대일 불신 가운데 하나로 일본의 정치적 리더쉽과 포용력 부재를 들 수 있다. 아시아 주변국은 변화하는 대외 환경속에서 일본이 과거보다 성숙된 정치선진국으로서 리더쉽을 발휘해 주길 기대하고 있으나 사실 일본의 정치적 리더쉽 부재의 현실은 FTA 체결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농업문제 해결 및 현재의 경제위기와도 무관하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일 FTA는 첫째, 궁극적으로 양국이 급변하는 세계경제 환경의 변화에 대응해 양국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둘째, 양국 FTA는 단기적으로는 공통현안인 구조조정의 돌파구가 되면 장기적으로는 경제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지렛대로서의 의의를 가져야 한다. 셋째, 한·일 FTA는 장기적으로 EU 및 NAFTA에 대항할 수 있는 아시아경제통합체 결성을 염두에 두고 이를 위한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는 전략적 사고가 요청된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박번순, 「세계화와 지역화」, 삼성경제연구소, 2001.
박번순, 「세계 FTA 경쟁과 한국의 선택」, 「CEO Infornation(제444호)」, 삼성경 제연구소, 2004.
산업자원부, 「한국의 해외 투자, 외국인 투자동향」, 2002.
산업자원부, 「주요 경제 통계」, 2004.
산업자원부, "2004년 외국인 직접투자실적 보고 및 2005년 전망과 과제", 2005. 1. 5.
윤기관 외 4인 공저, 「국제통상의 이해」, 1998
이창재, "한·일 FTA와 동아시아 경제협력", 한·일 FTA 세미나 자료, 2003.
인천경제연구소, "인천 지역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동향과 효과적인 진출 방향", 2004. 12
일본경제연구센터, 「일본의 FTA(자유무역협정) 전략」, 2002,
전국경제인연합회, "한일산업협력검토위원회 논의결과", 2001. 11.
전국경제인연합회 FTA팀, "한·일 FTA 산업별 영향과 대책", 2004. 12. 22.
전국경제인연합회, Current Issue, FTA 추진동향,
정인교, 『미국 FTA 정책의 전개와 시사점』, 1998
정인교, 「FTA 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정인교, "한·일 FTA의 경제적 영향과 협상에 대한 시사점", 「한·일경상학회, 2004년 춘계학술 대회」, 2004.
정진설, 「동북아 국제관계 변화와 대학교육(경제적 측면)」, 「전국 대학교 학생처 장협의회 하계 세미나」, 경원대, 2000.
조석홍·김만길, "한·일 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지」, 제3권 제 1호, 2002
池田洋一, "한·일 FTA 오늘과 내일 - 한·일간의 논의내용과 한·일 FTA의 의미",
「한국 발전 리뷰 제122호」
한국무역협회, 「전 세계 지역경제협정 체결현황」, 2005. 3. 25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2004년 세계 FTA 추진동향 및 2005년 전망", 2005. 1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FTA연구팀, "2005년 전 세계 FTA 추진일정", 2005. 1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현재발효중인 지역협정.
한국무역협회(KOTIS), 「주요무역동향지표 2005」, 2005. 7. 6.
한국무역협회, 국가별 수출입통계, 2005. 10.
한국무역협회, 미국무역통계, 2005. 9
한·일 산관학 공동연구회, "한일 자유무역협정 공동연구회보고서", 2003. 10. 2
<외국문헌>
B. Balassa,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George Allen & Urwin Ltd., London, 1969, p.1
Baldwin, R.E and A.J Venable (1995),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Handbook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 Ⅲ, edited by G.M. Grossman and K. Rogoff. Amsterdam: North-Holland/Elsevier.
Hertel, T., etc. (ed). (1998). GTAP Database. Version 4. Purdue University
Hertel, T., etc. (ed). (2001). GTAP Database. Version 4. Purdue University
<홈페이지>
관세청, http://www.customs.go.kr/
대외경제정책연원, http://www.kiep.go.kr/
산업연구원, http://www.kiet.re.kr/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 http://www.fta.go.kr/
통계청, http://www.nso.go.kr/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 가격3,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05.12.1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6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