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어미’ 관련 논문을 통해 살펴본 구조의미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접속어미’ 관련 논문을 통해 살펴본 구조의미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유현경,「국어 접속문의 통사적 특질에 대하여」,『한글』제191호, 1986.

▶ 김영희,「등위접속문의 통사 특성」,『한글』제201/202호(합본호), 한글학회, 1988.

▶ 왕문용,「대등접속문은 국어에 과연 있는가」,『어문학보』20,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1997.
1. 서론
2. 연구사
3. 종속적 연결어미 및 대등적 연결어미와 내포
4. 보조적 연결어미와 내포
5. 결론

▶ 윤평현,「접속어미의 의미」,『의미론 연구의 새방향』, 박이정, 1998.
1. 머리말
2. 접속어미의 의미
3. 맺음말

본문내용

있으며, 특히 '어서'는 사건의 실재성이 있는 선행절에 이어서 쓰이고, '니까'의 경우는 사건의 실재성과는 무관하다.
시간관계 접속어미는 접속문의 선행절 사건과 후행절 사건을 같은 시간으로, 혹은 시차에 의한 선후관계에 따라 결합시켜 주는 것이며, '며, 면서, 고, 고서, 어서, 자, 자마자' 등이 그것의 예가 된다. 이러한 시간적 접속에는 두 사건의 시간적 겹침이 있는 동시관계와 그것이 없는 계기관계가 있는데, '며, 면서, 고'가 전자에, '고, 고서, 어서, 자, 자마자'가 후자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며'와 '면서'는 상호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는 데다 의미 차이도 거의 없다고 생각되나, '며'의 경우는 그 쓰임에 많은 제한을 갖는다. 이들이 이른바 행위유지동사와 결합하는 경우 행위의 수행 측면으로 해석되는 데 반해, 행위유지동사가 '고'와 결합하면 선행절 서술 내용은 행위 결과 측면으로 해석되면서 후행절 서술 내용과 동시관계를 이루게 된다. 한편 '어서'는 앞 사건이 뒤 사건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행위의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그 선행절에는 부정 표현이 올 수 없다. 그러나 '고서'의 경우에는 '어서'와 달리 계기성을 드러내며 행위유지동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동시성을 보이기도 한다. '어서야'는 항상 계기성을 나타내며, '자'와 '자마자'는 연발형으로 쓰인다.
목적관계 접속어미는 선행절 내용이 후행절 행위의 목적이 되도록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어주는 접속어미이다. 이러한 의미 기능을 갖는 접속어미에는 '러, 려고, 고자'가 있다. '려고'와 '고자'는 목적과 의도의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어 대치되어 쓰일 수 있으나 구어에서는 '려고'의 쓰임이 더 빈번하다. 한편, '러'는 후행절의 서술사가 반드시 이동동사여야 한다는 서술어 선택제약을 갖는다.
결과관계 접속어미는 선행절이 후행절 동작이나 상태의 결과가 되도록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어주는 것으로, 다시 말해 후행절의 내용이 실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선행절의 내용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접속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의미 기능을 갖는 접속어미로는 '게, 도록'이 있고, '게'의 합성 형태로 '게끔, 게시리'가 존재한다.
'게'와 '도록'은 결과와 함께 목적 혹은 정도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게'는 상태의 의미를, '도록'은 도급의 의미를 나타내며, 그 반대가 불가하다는 점에서는 또한 다르다. 즉, '게'가 단순히 시간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 반해, '도록'은 지속성 있는 행위의 도급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그 변별점이 드러나는 것이다.
3. 맺음말
교착어에 속하는 우리 국어에서 조사와 어미가 담당하는 문법적 기능은 대단히 막중하다. 이 글은 그 중 일상언어에서 많이 쓰이는 40여개의 접속어미를 중심으로, 관계의미에 따라 나뉘어진 접속어미들의 공통적 의미와 개별적 의미를 소략하게나마 알아보았다. 특히 개별 의미를 통해 한 영역에 속하는 접속어미들 사이의 의미적 시차를 드러내고 그 쓰임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4. 접속어미는 아주 사소한 것이면서도 그간 매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것은 말을 잇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아' 다르고, '어' 다른 우리말에서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안겨주기도 했다.
5. 이 논문들을 읽고 난 후 학교문법에 대한 고민을, 처음으로, 하게 되었다. 그 동안 별 생각 없이 지나쳤던 접속어미만도 이렇게 많은 것들을 품고 있었는데, 그렇지 않은 다른 많은 것들은 어찌해야 할까. 우리 문법에 외국어문법이 끼친 영향이랄지 그런 것들에 대해서도, 조금은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다음 번엔 보다 깊이 있는 공부를 통해 스스로 해답을 찾고 싶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2.2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