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20세기 진보적인 교육철학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철학]20세기 진보적인 교육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교육운동의 전개
1.서구의 교육철학
(1)자유주의 교육철학
(2)사회적 교육철학
(3)인격주의 교육철학
(4)문화주의 교육철학

2.진보주의 교육철학

3.항존주의 교육철학

4.본질주의 교육철학

5.문화적 재건주의 교육철학

6.듀이의 교육철학
(1)듀이가 걸어온길
(2)듀이의 교육과정
(3)듀이의 교육목적과 교육방법

본문내용

은 ‘탐구’(inquiry)란 용어로써 정의되는 것이고, 그 반대, 즉 ‘탐구’를 ‘진리’란 용어로써 정의하여서는 안 된다. 듀이는 다음과 같은 피어스의 정의를 찬성하는 뜻으로 인용하고 있다. “‘진리’는 탐구하는 모든 사람이 궁극에 있어서 일치하게 될 그러한 의견이다.” 그러나, 여기서 탐구자들이 하는 일이 무엇인가 하는 데 관해서는 전혀 암흑 속에 내버려 둔다.
둘째, Dewey는 실험적 과학적 태도를 다른 무엇보다 중시했다.
그는 실험적 방법(experimental method)을 중시한다. 그리고 어떤 명확한 목적을 가지는 경험을 존중한다. 따라서 실험적 방법에 있어서는 관념이나 지식은 한 도구에 불과하다.
엄밀하게 철학적 입장에서 볼 때, 듀이 작품의 중요성은 ‘진리’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비판에 있다. 이것은 그가 ‘도구주의(instrumentalism)'라고 부른 학설에 나타나 있다. 진리는 대부분의 직업적 철학자들이 이해하는 바에 의하면, 靜的이고 궁극적인 그리고 완전하고 영원한 것이다. 종교적 술어를 빌리면 진리는 神의 생각과의 일치 또는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신과 分有하는 생각과 일치하는 것을 말할 것이다.
하지만 Dewey는 관념의 眞僞를 검증하는 것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가치의 정당성도 검증되어야 한다고 한다. 인간문제는 과학적 객관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며, 인건문제를 과학적 객관적으로 해결해 주는 것은 가치로서 선정되어야 한다고 한다. 이러한 가치는 권위에 의하여 인간에게 과하여져서는 안 되고, 객관적 증거에 기초한 자유로운 논의를 거쳐서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것이다.
건전한 실용주의자는 경험을 중시하고 사실을 존중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실용주의는 실제적 효과를 강조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공리주의와 일치하고, 말로만 하는 해결이나 부질없는 의문이나 형이상학적 추상을 배격하는 점에 있어서는 실증주의와 일치한다고 한다. 참이니까 유용하다 하여도 좋고, 유용하니까 참이라 하여도 좋다.
이미 살핀 것처럼 본래 ‘experience', 'experiment'는 모두 experiri 즉 to try 라든가, test 라든가 더 나아가서는 risk(모험)의 의미를 어원적으로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Dewey에 있어서는 철학적인 ??도 하나의 가설이다. 그것이 진리이려면 ’해보는 것(to try)‘에도 분명히 한계가 있다. 이를테면 ’죽음‘을 to try 하기 위하여 자기의 생명을 끊을 수 없는 것이며, 그리고 자기의 나라를 빼앗겨 보아야 된다고 할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여기에 to try를 넘어선 절대적인 진리가 요구된다.
셋째, Dewey의 교육방법에는 아동의 흥미가 중심이 된다.
Herbart와 같이 Dewey에 있어서도 흥미(interest)의 문제가 중심이 된다. 그런데 Herbart와 Dewey간에는 상이점이 있다. Herbart는 전적으로 흥미의 ??인 면을 강조한다. 그러나 Dewey는 사회생활의 여러 가지 특징, 이를테면 ??? 지적 감정적 사회적인 흥미나 활동을 강조한다.
Dewey의 교육원리로서의 흥미는 교육의 방법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되어질 수 있고, 이 원리를 교육방법에 적용시킴으로 해서 노역으로써의 교육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생활이 노역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생활체와 환경과의 참된 의미의 흥미가 필요한 것이다.
Dewey는 교육의 기초로서 네 가지 흥미를 들고 있다. 1. 會話와 교류의 흥미, 2. 사물을 탐구하고 발견하는 흥미, 3. 물건을 제작 구상하는 흥미, 4. 예술적 표현의 흥미 등이다. 그리하여 Dewey는 교육철학의 중심에 흥미의 관념을 둠으로써 미국의 여러 학교에 보이는 교재와 방법의 취급에 단연 도전하였다.
이상과 같이 Dewey는 실용주의와 행동적 휴머니즘에 입각한 진보주의의 교육철학의 창시자로서 이론과 실제 이상과 현실의 융화를 시도했다. 이러한 그의 시도와 진보주의 교육철학은 미국은 물론 세계 교육사조에 코페르니쿠스적인 전환을 가져 왔기에 캘리포니아대학교 총장 모어는 그의 70세의 생일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아래와 같은 말을 했다.
“미국을 돌아다니며 그 학교 교실의 창문을 들여다보는 사람은 누구나 그의 부모가 일찍 보지 못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다. 일터와 같이 설비된 교실이 있고, 아동들은 거기에 종일 조용히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여기저기로 돌아다니면서 친구들과 더불어 공동작업에 바쁘게 일하고 있는 광경을 보게 될 것이다.
그들은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다. 더러는 무엇인가를 발견하기 위하여 실험하고 있다. 어떤 아이는 친구들과 이야기하면서 서로 도와주고 있다. 교사는 아이들의 암송을 듣고 있지 않는다. 그는 아이들의 사이를 돌아다니면서 그들이 하고 있는 일을 격려하고 있다.
거기에는 훈련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모든 아이들의 제각기 자기 일에 바쁘기 때문이다. 학교는 어떤 편이냐 하면, 많은 행복된 아이들의 더불어 놀고 있는 가정과 같아서 옛날식 학교에서 감독자의 주시 밑에 있던 교실과는 판이한 것을 볼 것이다.“
이러한 그의 진보주의 교육철학은 우리나라의 교육혁신에도 공헌을 했으며, 특히 경험철학과 실천적인 교육학에 바탕을 둔 그의 독자적인 교육이론과 방법은 한국의 초등교육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의 교육철학은 근대의 교육사상을 재구성하여 현대의 경험주의적 교육사상으로 재정립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ewey의 특색은 솔직하고 철저하게 진화론을 받아들인 것이다. 그는 신체는 물론 정신도 생존경쟁을 통해 낮은 형태로부터 진화해 온 기관으로 보았다. 따라서 초자연적 인과관계에 의해서가 아니라, 환경에 있어서의 사물의 위치와 기능에 의해 사물이 설명되어야 한다. 훌륭한 실증주의자답게 또한 베이컨 흡즈 스펜스 밀의 후예로서 Dewey는 형이상학을 신학의 위장이라고 배척했다.
생애 마지막 20년 동안 그의 교육철학은 수많은 비난을 받았다. 비판자들은 학교교육이 종교과목 뿐 아니라 예절 규율 면에서도 학생을 적절히 훈련하는데 실패한 이유를 Dewey와 그의 진보적 교육관 탓으로 돌렸으며, 논문을 잇달아 발표하여 듀이를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불만과 좌절의 속죄양으로 만들었다.

키워드

교육,   사범,   교직,   레포트,   철학
  • 가격1,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6.03.06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