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철학사상, 공자의 교육사상, 생애, 우리교육에의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공자의 생애
 
Ⅱ. 철학사상
(1) 시대적배경
(2) 공자의 핵심 사상 : 인
(3) 정치관
(4) 인간관
 
Ⅲ. 교육사상
(1) 교육목적
(2) 공자의 교육사상의 특징
(3) 교육방법
(4) 교사
(5) 학생
 
Ⅳ. 공자사상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 아니라 溫故知新이라는 학문이 즐거움을 줄 수 있기에 교사는 해 볼 가치가 있는 일이라는 풀이이다. 이는 공자가 누구보다도 배움의 즐거움을 누린 사람이며, 자기수양(爲己之學)을 입신양명(爲人之學)보다 중요시했던 그의 생애로 미루어보다 더욱 타당한 해석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溫故知新의 교육적 함의를 세 측면에서 검토해 보면 첫째, 교사는 온고지신의 길 위에서 자기 자신의 지적 성장의 과정을 즐거워하여 끊임없이 반성하고 노력하는 사람이며 둘째, 교사는 옛 것과 새 것의 조화와 균형을 소중히 여기는 교양인이며 셋째, 온고지신의 지성은 도덕적 실천을 지향하는 지성으로 교사는 도덕적으로 탁월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자의 온고지신의 교사관은 건전성과 한계가 있다. 먼저 건전하다고 함은 배움의 즐거움을 교사됨의 기본 가치로 본 것, 옛 것과 새 것을 폭넓게 알고자 하는 교사로서의 교양정신, 교상의 인격적 완성에 대한 믿음 등을 말한다. 그리고 한계가 있다고 말한 까닭은 직업교육의 전문성과 생산성 경시, 스승의 권위주의, 학문적 자유와 지적 상상력의 억압 등이 초래 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5) 학 생
학생이란 배움을 얻고자 하는 사람이다. 공자 자신도 평생에 걸쳐 배움을 추구했다는 면에서 학생이라고 볼 수 있으며 학생의 자세, 즉 학습하는 태도란 공자의 학문의 자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논어에 제시된 수많은 구절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구절들은 아래와 같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
배움은 나 자신을 완성시키는 데 그 뜻이 있지, 남에게 자랑하는 데 있지 않다(논어 헌문편)
따라서 세상이 나의 학문을 알아 주지 않는다 하여 노여워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군자는 세상의 도가 행하여져 학문이 인정받고 쓰여지게 된다면 나아가 천하 만민을 위해 배운 바를 다 펼칠 것이요, 그렇지 못하면 물러나 조용히 학문을 연마할 뿐이다(논어 위령공편)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실로 아는 것이다 (論語, 爲政篇)
공자에 의하면 배움을 얻고자 하는 사람, 즉 학생은 늘 겸손해야 하며 꾸준히 학습해야 한다. 그리고 자기 스스로에게 솔직해야 하며 게을러서는 안 된다. 또한 지식을 추구함에 있어서 한쪽으로 편향되어서는 안 되며 지식을 얻었다면 항상 그 실천도 함께여야 한다. 즉, 진지한 자세로 학문을 추구하되 단순한 지식의 획득에 안주하지 말고 꾸준히 깊게 연구하여, 자기 것으로 만들고 나아가 세상 속에서 그 지식의 쓰임을 궁리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Ⅳ. 공자사상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공자는 그의 이상을 현실에서 실현하는 데는 끝내 실패했지만 그의 사상은 제자들을 통해 널리 전파되어 중국 전체를 지배하는 사상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2천여 년 간 공자는 성인으로 추앙 받으며 동아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대 사상가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그의 사상이 지배하던 중국이 근대화 과정에서 진통을 겪자 학계 일부에서는 그의 사상 자체를 실패한 것으로 매도하며 ‘공자의 시대는 끝났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공자의 사상은 여전히 우리 주변에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 오히려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그 이유는 과학문명의 발달로 사회는 발전하고 있지만 한편으론 인간소외, 생명경시 등 사람이 존중받지 못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인간성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공자에게서 찾으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도 지식 중심의 주입식 교육으로 인해 인성교육의 부재, 학교 지식의 사문화, 예능 교육의 부재 등의 문제들을 낳고 있다.
공자는 평생을 교육에 종사한 교육자로서의 여생을 마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공자는 도덕성을 배양시킴으로써 하나의 인간을 완성시키는 전인교육에 힘쓰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고 평할 수 있다. 논어에서도 그는 예를 지킴에 있어서도 사람됨이 먼저 되어있지 않으면 예를 지키는 것도 소용없다고 했다. 인성교육과 수양의 문제가 사람됨의 교육, 즉 전인교육에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의식이라고 생각한 셈이다.
그러나 현대 한국사회의 교육문제로 가장 크게 거론되는 것은 단연 인성교육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교육 당국에서는 도덕윤리교과로 인성교육을 책임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아이들의 인성과는 전혀 별개로 이루어진다. 학교에서의 도덕교육은 입시 위주의 암기식주입식 교육으로 그 본연의 목적을 잃어가고 있다. 공자는 제자들에게 자신의 모범된 행실과 대화로 올바른 길로 이끄는 인격적인 교육방법을 사용했다. 특히 교실붕괴 현상이 계속 지적되고 있는 이 마당에 공자가 논어에서 말하는 사제 간의 정과 인격적인 관계는 현대교육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공자는 도덕성이란 학생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혀지는 것이고 학습하는 모든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결코 지식 전수만으로 도덕성 함양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에서는 주요과목인 국영수 외의 과목, 특히 예체능 교육은 거의 경시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3이 되면 예체능 과목은 수업시간조차 국영수 보충수업에 내주어야 하는 황당한 상황도 생긴다. 그러나 공자는 올바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육예를 들었는데 그 중 활쏘기와 말타기, 음악 등은 눈여겨볼 만하다. 곧 지식을 습득함에 있어서 지덕체의 균형적인 발달을 추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Ⅴ. 참고문헌
1. 李愚才의 論語읽기, 이우재, 세계인, 2000
2. 공자평전, 천웨이핑, 미다스북스, 2002
3.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신영복, 돌베개, 2004
4. 역사를 움직인 100권의 철학책, 新東亞 1984년 1월호 별책부록, 東亞日報社, 1984
5. 공자의 철학, 예문서원, 蔡仁厚, 2000
6.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신창호, 서현사, 2003
7. 工夫, 그 삶의 여정, 신창호, 서현사, 2004
8. 유학과 현대세계, 사중명, 김기현 역, 서광사, 1998
9. 영원한 인류의 스승 공자, 이기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6.03.22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