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과 대중문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한국 근대 대중음악사
1.1920년대-대중가요의 시작
2.1930년대~1940년대 - 트로트와 신민요
3.1950년대-대중음악의 과도기
4.1960년대-이지리스닝과 트로트의 토착화
5.1970년대-청년문화의 대표, 포크와 록
6.1980년대-수퍼스타 조용필과 발라드의 전성시대

Ⅱ.한국의 현대대중음악
1.1990년대 이 -서태지의 등장, 10대들의 문화 & 대중음악산업
2.1900's & 2000‘s 현대 대중음악의 현황과 문제점
※음악산업의 거대화, 상업화 & 이에 따른 문제점 속출
①매니지먼트사의 거대화
②음악적 콘텐츠의 불균형
③단순복제와 뮤지션들의 반복재생산
④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문제점
※매체의 다양화-MP3, 케이블TV, 뮤직비디오
①인터넷발달에 따른 MP3의 성장
②케이블TV의 발달
③뮤직비디오의 발달
※결론-대중음악의 사회적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

Ⅲ.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
※서론
※한국 대중음악 시장 현황
※한국 대중음악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추진 배경 및 상세 내용과 그에 대한 우리의 의견
※기대효과 및 소요예산
※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의 문제점

본문내용

창작자들이 인터넷 오디션을 통해 음반을 발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해외시장 마케팅 강화 및 네트워크 확대
① 한류지속화 지원 (아시아 문화교류 협의회 운영) : 한류지속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및 아시아 대상 마케팅을 지원한다.
- 한국음악 프로모션 CD제작 및 제공
- 현지인 발굴양성 및 교류
- 아시아 음악산업 세미나 및 문화산업관계자 교류
- 현지어 대중음악 정보지 발간
- 한국문화 팬클럽 결성 촉진 및 활동지원
⇒ 상호주의에 의한 한류 지속화 지원으로 아시아 문화강국 구현
② 해외고정프로그램 확보지원 : 한국음악 홍보를 위한 해외고정 방송프로그램을 제작. 지원한다.
⇒ 우수 음악콘텐츠의 해외 홍보효과 극대화 및 해외진출이 기대된다.
③ 해외견본시 참가지원사업 : 국제적 명성이 있는 음악견본시 참가지원
⇒ 음악콘텐츠 및 관련산업의 해외진출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④ 영문 Web Catalog 구축 : 다양한 한국음악을 상시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Web Catalog 구축을 통해 해외견본 시 참가지원의 Pre-Marketing에 활용하고 해외시장 수출 극대화의 장을 마련한다.
⑤ 해외유명페스티벌 참가지원 : 해외유명 페스티벌에 한국아티스트 참가지원
⇒ 음반의 직접홍보 및 대중음악 관련 해외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꾀할 수 있다.
⑥ 국제음악전시회 'AMF' 개최 : 국제음악전시회 ‘AMF(Asia Music Festival)' 개최로 국내 우수 음악콘텐츠 해외 진출의 창구 역할
⇒ 세계적인 음악시장의 역할을 통해 국내 우수 음악콘텐츠 해외 진출이 극대화되고, 관광수익 확보가 가능해진다.
6. 남북한 음악 교류 지원
1) 남북한 음악인 교류 지원
1) 남북한의 음악인 교류 및 세미나 개최지원
- 합동 공연 개최를 통한 음악연주인 교류 / 음악세미나 개최를 통한 ‘음악을 통한 민족의 동질성’ 회복
2) 남북한 음악관련 자료집 발간
- 남북한 음악용어집 발간 등 지원을 통해 남북교류 활성화
※ 기대효과 및 소요예산
2003년
2007년
성장율
국내 음반산업
시장규모
3천억원
6천억원
100%
신규매체시장규모
4천억원
1조
150%
국내공연시장규모
(대중공연시장규모)
3.6천억원
(1.3천억원)
7천억원
(3천억원)
100%
□ 부분별 성장전망
○ 국내 음반시장 규모 : 불법유통방지 및 온라인 유료화 등으로 연평균 20% 성장 기대
○ 신규매체 시장규모 : 모바일, DVD, SACD 등 신규매체시장 급속히 확대 전망
IT 인프라 감안 매년 40%신장 기대
○ 음악공연 시장규모 : 1998~2003년 평균 20%씩 성장
공연문화 활성화 지원으로 연평균 20% 성장률 유지 기대
○ 고용인력 : 음악산업발전에 비례, 매년 약4,000명
(연관산업 포함) 증가 기대
ㅇ5개년간 6개 분야 4,043억원 투입
- 국고 및 기금 2,049억 투입, 지방비 1,050억원, 민자 944억원
ㅇ전체 재원의 60%를 인프라구축 및 유통선진화에 투입
ㅇ제작활성화 재원 509억(25%) 중 400억(20%)은 투융자지원에 투입
※ 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의 문제점
유통구조 선진화 -비주류음반(인디음반) 유통 관련 계획안이 없다.
음악산업 인프라 조성 - 기존 데이터베이스 활용 및 연계가능성을 염두하지 않고 새로운 음악산업 DB의 구축에만 힘을 쏟다 보면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남이섬의 뮤직테마파크, 광명시의 첨단음악산업단지 조성에 있어서도 지역선정의 근거가 없다.
음악산업 전문인력 양성 - 뮤직비지니스아카데미(MBA)의 신설보다 음악산업 전문과정을 4년제 대학에 학제로 신설하는 방향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음악콘텐츠 제작활성화 지원 - 지원금 규모에서 ‘1타이틀당 1천만원 지원’ 규정은 정규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음반 제작비의 30% 수준에 지나지 않고, 홈레코딩의 경우에는 악기와 녹음장비만 갖춘다면 실제로 300만원 이하의 비용으로도 녹음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원금에 차등을 두어야 한다. 또한 녹음비의 지원 방식과 더불어서 적정한 홈레코딩 장비 비용(1천만원 이상) 구매 비용을 지원하는 방식도 추가해야 한다. 왜냐하면 뮤지션이 홈레코딩 장비를 스스로 보유한다는 의미는 자본의 구애 없이 계속적으로 창작 행위를 할 수 있음을 말하기 때문이다.
마케팅 현대화 기반 조성- 현재 국내 전문 음악잡지가 없는 상황에서 ‘현지어 대중음악 정보지 발간’이라는 기본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은 필요성에서 본다면 한국 음악산업을 살린다는 취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한 계획안이다. 하지만 세세한 내용으로 들어가면 근본적으로 도외시된 사항들이 있고, 문화관광부 이형호 서기관이 “5개년 계획은 2002년 7월부터 가수 박진영 등 30-40대 가요계 현장 전문가들과 13차례에 걸쳐 토론을 벌인 뒤 정부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리한 것” 이라고 밝힌 것이 무색할 정도로 세부계획안이 미진할 뿐만 아니라 갖가지 취약점들이 발견되고 있는 점이 아쉽다.
*목 차
Ⅰ.한국 근대 대중음악사
1.1920년대-대중가요의 시작
2.1930년대~1940년대 - 트로트와 신민요
3.1950년대-대중음악의 과도기
4.1960년대-이지리스닝과 트로트의 토착화
5.1970년대-청년문화의 대표, 포크와 록
6.1980년대-수퍼스타 조용필과 발라드의 전성시대
Ⅱ.한국의 현대대중음악
1.1990년대 이 -서태지의 등장, 10대들의 문화 & 대중음악산업
2.1900's & 2000‘s 현대 대중음악의 현황과 문제점
※음악산업의 거대화, 상업화 & 이에 따른 문제점 속출
①매니지먼트사의 거대화
②음악적 콘텐츠의 불균형
③단순복제와 뮤지션들의 반복재생산
④음악 방송 프로그램의 문제점
※매체의 다양화-MP3, 케이블TV, 뮤직비디오
①인터넷발달에 따른 MP3의 성장
②케이블TV의 발달
③뮤직비디오의 발달
※결론-대중음악의 사회적 역할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
Ⅲ.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
※서론
※한국 대중음악 시장 현황
※한국 대중음악 발전방향에 대한 제언
※추진 배경 및 상세 내용과 그에 대한 우리의 의견
※기대효과 및 소요예산
※음악산업진흥 5개년 계획의 문제점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6.04.20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