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운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민족주의의 등장과 분화
1. 식민지 이전의 민족주의 운동
2. 식민지시기 조선의 민족주의
3. 민족주의 우파의 형성과정과 문화운동

Ⅲ. 문화운동의 등장 배경과 논리
1. 일제 문화정치 하에서의 민족주의 운동
2. 문화운동의 배경
3. 󰡔동아일보󰡕의 문화주의
4. 「민족개조론」과 「민족적 경륜」

Ⅳ. 문화운동의 전개
1. 물산장려운동
2. 민립대학설립운동
3. 국어운동

Ⅴ. 문화운동의 한계
1. 문화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응
2. 자치운동론
3. 문화운동의 의의와 한계

Ⅵ. 사회주의 계열의 비판
1. 사회주의자들의 형성과 사회인식
2. 문화운동에의 비판

Ⅶ. 마치며

본문내용

산계급이 자본주의 왕국을 건설하기 위해 민족일치라는 교묘한 이론을 들고 나와 무산계급을 이용하여 계급적 이익을 취하려는 기만적인 운동’으로 그 성격을 규정했다.
조선물산장려회에 이사로 참여한 나경석은 민족문제를 ‘총체적 무산자론’의 시각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선민족은 노동가 자본가 할 것 없이 일제의 위압아래 식민지 민족으로서의 공통된 이해관계를 갖고 있으며 현재 조선은 민족적 멸망의 위기에 있으므로 전 민족이 일치단결하여 면사운동(免死運動)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계급보다는 생산력을 우선해야한다는 ‘생산력 우선주의’를 주장했다. ‘생산력 발달이 미약한 조선에서는 무산계급의 계급적 일치와 계급적 혁명을 주장하는 것은 곤란하며 민족의 독립이 선행되어야 사회혁명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羅公民, 物産勵運動과 社會問題, 東亞日報, 1923년 2월 24~3월 2일자.
(김정인, 앞의 글, p.246. 각주 34 재인용)
또한 이성태의 경우 물산장려운동의 ‘사상적 도화수(導火手)’가 중산계급이라고 지적하면서 그들이 ‘민족적 애국적하는 감상적 미사(美辭)로서 눈물을 흘리며 저들과 이해가 전혀 상반한 노동계급의 후원을 갈구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다고 비판했다. 李星泰, 中産階級의 利己的 運動, 東亞日報 1923년 3월 20일자.
(김정인, 앞의 글, p.247. 각주 35 재인용)
(3) 민립대학 설립운동에 대한 비판
사회주의자는 조선인의 민립대학을 설립하자는 구호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당시 과다한 문맹인구의퇴치가 우선 과제이고 고등교육은 그 다음 문제라 비판했다.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가 극히 제한된 당시에 교육의 원칙이나 교수진의 구성, 경영방침에 대한 구체적 내용과 전망을 갖고 있지 못한 이 운동은 잠시 민족이데올로기를 통해 지지받을 수는 있지만 실패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었다.
민립대학 설립계획을 발표한 그 달에 개벽에 게재된 익명의 기고문은 이 교육운동이 다수의 농민대중을 무시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1923년 3월의 전조선청년당대회에서 통화된 선언서에는 교육제도가 자본가 계급의 사회 통제력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들 역시 당시의 상황이 요구하는 것은 상층계급에 대한 교육이나 미래의 문화적 민족주의자 간부의 육성이 아니라 바로 민중교육이라는 것이었다.
Ⅶ. 마치며
1920년대 문화운동의 단지 그 시대 사회진화론이이라는 사상 조류에 의해서 형성된 것뿐 아니라 그 뿌리는 구한말 급진 개화파의 논리에서 찾을 수 있었다. 그들은 당시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일본의 문물과 근대제도를 들여오려고 노력했던 지일파(知日派)였다. 이 흐름은 애국계몽운동으로 이어지고 20년대 들어와서 문화운동이 잇게 된다.
문화운동 이전에 31운동을 하면서 민족주의자들은 독립이 쉽지 않음을 깨닫고 민중에 대해 독립을 위한 장기계획을 필요로 했다. 당시는 아직 민족주의자의 성향이 명확히 분화되지 않은 상태였다. 하지만 문화운동을 진행하면서 사회주의 세력의 문화운동에 대한 비판과 일제의 민족주의인사에 대한 끊임없는 회유는 민족주의자를 타협비타협 혹은 좌우파로 운동가들의 성향이 드러나게 된다.
동아일보는 문화주의를 제창하여 민족주의자들에게 실력양성운동의 배경을 만들어 주었다. 일제는 당시를 민족주의자를 분열시킬 수 있는 호기(好氣)로 삼았고 운동의 측면에서 개입하고 친일지식인으로 흡수하려 하였다. 운동논리에 내재된 문제점과 운동주체의 분열, 외부 좌익세력의 비판은 문화운동을 실패로 이어지게 했다.
문화운동의 과정에서 그리고 운동 실패 이후, 일제와 타협하는 세력이 생겨나는 데 이들의 논리는 일제가 식민지 민중을 동화하기 위해 만든 논리와 다를 바가 없었다. 더 이상 그들은 ‘타협적’이라는 수식어를 달더라도 ‘민족주의자’일 수 없었고 친일세력이 된다. 앞서 언급한 문화주의, 계몽주의가 지금도 영향을 주고 존재 하듯이 이들 친일세력은 해방 이후로 계속해서 역사의 잔재로 사회에 문제를 일으키며 청산되지 않고 있다.
<참고 문헌>
강영심, 1920년대 물산장려운동의 전개와 성격, 한국사연구논선 40, 한국인문과학원, 1997.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5, 1989.
김도형,「일제침략기 반민족 지배집단의 형성과 민족개량주의」,『역사비평』6호, 역사문제연구소, 1989.
김명구,「1920년대 국내 부르주아 민족운동 우파 계열의 민족운동론-≪동아일보≫ 주도층을 중심으로」,『한국근현대사연구』20, 한국근대사연구회, 2002.
김상만, 東亞日報 50년史, 동아일보사, 1975.
김정명 편, 조선독립운동 5-공산주의운동편, 국학자료원, 1980.
김정인, 1920년대 전반기 민족담론의 전개와 좌우투쟁, 역사와 현실 제39권, 한국역사연구회, 2001.
노영택, 민립대학 설립운동 연구, 한국사연구논선 37, 한국인문과학원, 1997.
박명규, 지식운동의 근대성과 식민성-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제62권, 한국사회사학회, 2002.
박찬승,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2.
______, 국내 민족주의 좌우파 운동, 한국사 15, 한길사, 1994.
______,「식민지시기 조선의 자유주의와 이광수」,『한국사학』17호, 정신문화연구원, 1999.
______, 한말일제시기 사회진화론의 성격과 영향, 역사비평 32호, 역사문제연구소, 1996.
윤대원, 식민지시대 민족해방운동, 한길사, 1990.
이광수, 민족개조론, 개벽 3, no.5, 1922.
______, 민족적 경륜, 동아일보, 1924. 1. 2~6일자.
이재화, 한국근대민족해방운동사] 백산서당, 1986.
이종범, 최원규, 자료 한국근현대사입문, 혜인, 1995.
임종국, 일제시대 민족개량주의운동의 계보와 논리,『한길역사강좌 11-일제식민지시대의민족운동, 한길사, 1988.
임종석, 친일, 그 과거와 현재, 아세아문화사, 1994.
장덕수, 사설 : 주지를 선명하노라, 동아일보, 1920, 4, 1일자.
한국일보사, 재발굴 한국 독립운동사 Ⅲ, 한국일보사 출판국, 1989.
M. Robinson, 김민환 역, 일제하문화적민족주의, 나남, 1990.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05.2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4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