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및 일제강점기의 교육사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및 일제강점기의 교육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3 장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시대의 사회와 교육 ‥‥‥‥‥‥‥‥‥‥‥‥‥ 1
(1) 조선 초기의교육
(2) 조선 중기의교육
(3) 조선 후기의 교육
2. 조선시대의 교육‥‥‥‥‥‥‥‥‥‥‥‥‥‥‥‥‥ 2
1) 조선시대의 관학교육
2) 조선시대의 사학
3) 조선시대의 사회교육
4) 조선서대의 과거제도
3. 조선서대의 교육사상과 교육사상가‥‥‥‥‥‥‥‥ 9
1) 선비정신과 교육
2) 실학사상과 교육
3) 교육사상가

제 4 장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의 교육
1. 개화기의 교육‥‥‥‥‥‥‥‥‥‥‥‥‥‥‥‥‥ 12
1) 개화기 근대사상의 형성
2) 근대학교의 성립과 전개
3) 교육사상가
2. 일제강점기의교육‥‥‥‥‥‥‥‥‥‥‥‥‥‥‥‥ 14
1) 일제의 교육정책
2) 일제강점기 민족교육운동의 전개

본문내용

하다. 점진이란 교명은 꾸준히 힘을 기르자는 그의 신조의 표현이었다. 1902년에는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게 되는데, 미국에서도 교포들의 계몽운동을 위해 공립협회를 만들었다. 귀국길에 동경의 유학생 조직인 ‘태극학회’의 청년들을 만나 비밀결사대인 ‘신민회’를 조직한다. 1909년 10월에 안중근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사건이 일어나자 일제는 대성학교에서 도산을 체포하였다. 1913년 인재양성 운동단체인 ‘흥사단’을 조직하게 된다. 흥사단은 과거 대성학교, 청년학우회의 이념을 계승하여 만든 인재양성 단체로 독립운동을 기초로 삼은 필생의 사업조직이었다.
2. 일제강점기의 교육
가. 통감부를 통한 일본의 교육 정책
첫째, 우민화가 기본 방침
둘째, 점진적인 동화정책을 씀
셋째, 일본인 교원 배치와 교과를 통하여 친일강화정책을 폈다.
나. 사립 학교령 공포(1908년)
- 의의 : 항일 애국사상의 온상인 사학을 감시하게 됨
① 학교설립인가를 까다롭게 함
② ‘교과용 도서검정규정’을 만들어 교과서를 불온하다고 하는 등의 정책
☞ 일제는 ‘우리의 것’을 빼앗으려는 계교로 ‘교육’을 이용했고, 우리는 ‘우리의 것’을 지키려는 방안으로 ‘교육’을 시행함
1) 일제의 교육정책
(1) 무단통치기의 교육정책(1910~1919)
- 초기 식민지 통치시대의 교육 틀을 마련한 제1차 조선교육령이 1911년에 공포
- 당시 총독은 통감부시대의 마지막 통감인 테라우치 마사다케서,“그러므로 교육은 특히 그 힘을 덕성의 함양과 국어(일어)의 보급에 힘써 제국신민으로서의 자질과 품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 제2조의‘충량한 국민의 육성’과 제3조의 ‘시세와 민도에 맞는 교육’등은 조선교육의 재편을 시도한 일제식민지 교육정책의 일면을 그대로 반영
- 1908년의 ‘사립학교령’을 1911년에‘사립학교규칙’으로 개정 공포
-‘사립학교규칙’을 대폭 개정하여‘개정사립학교규칙’을 공포
(2) 문화통치기의 교육정책(1919~1936)
- 1919년 12월 고등보통학교와 여자고등보통학교의 교과과정 일부를 개정하여 일본 전문학교와의 연계를 용이
- 1920년 11월에는 제1차 조선교육령의 일부를 개정
보통학교 본과의 수업연한을 6년으로 연장
- 1921년 1월‘임시교육조사위원회’의 조직과 더불어 시작
조선의 교육제도를 일본준거주의에 입각할 것임을 결의
- 1922년 2월에는 교육령을 전면 개정하여 제2차 조선교육령을 공포
첫째, 보통학교의 수업연한은 4년에서 6년으로, 고등보통학교는 4년에서 5년으로, 여자고등보통학교는 3년에서 4년(또는5년)으로 연장
둘째, 종래각급학교에서 폐지되었던 조선어가 필수과목으로 더해짐
셋째, 새로 사범학교와 대학 설치의 길을 마련
다섯째, 실업교육, 전문교육, 대학교육은 일본의 제도를 따름
(3) 군국주의 침략기의 교육정책(1936~1945)
- 일제는 조선에 대한 교육방침으로 국체명칭, 내선일체, 인고단련이라는 슬로건을 내세 움
- 일제의 교육정책
제6대 총독 우가키 가즈시게
①‘교육, 즉 생활’이라 하여 근로주의를 주장 ② 초등교육의 확층
③ 농촌간이학교 제도의 창설 ④ 사범교육기관의 확층 ⑤ 실업교육의 진흥을 도모
제7대 총독 미나미 지로(3대 교육방침)
①국체명징 ② 내선일체 ③ 인고단련
→ 제3차 조선교육령 : ① 양국의 교명을 같이한 것 ② 교육내용상 일본정신을 강조 한 것 ③ 조선어 말살정책과 사립중학교 설립을 불허한 것
제8대 총독 고이소 구니아키
① 전문학교 수업 연한을 1년 단축하여 청년들을 징병해 감
② 1943년에는 조선교육령의 전면 개혁(제4차 조선교육령)을 단행
③ 중학교 이상의 모든 학교에 대해 수업연한을 단축함과 아울러‘왕궁의 도에 따른 국민연성’을 강력히 주장
2) 일제강점기 민족교육운동의 전개
(1) 사학의 민족교육운동
- 교육구국정신
(2) 민중교육운동의 전개
- 천도교의 민중교육운동 : 3.1운동 후‘천도교 청년당’이라는 교회의 전위단체를 통하여 보다 조직적으로 전개
① 소년부 운동 천도교 소년회를 조직하여 아동교육에 힘쓰게 됨
② 천도교 여성부 운동 :『부인』『신여성』이란 여성전용 잡지를 1923년과 1934년에 각각 개벽사에서 발행하여 여성계몽에 힘썼음. 전국으로 부인야학을 열어 조선어, 산술, 가정, 상식 등을 가르치기도 함
③ 천도교 청년당 농민부 : 조선 농민의 의식적 각성, 봉건사상과 전근대적 억압에서의 해방을 위해‘조선 농민사’를 설립
- 신간회 교육 운동 : 신간회의 교육활동은 주로 지방 지회를 통해 실제 이루어졌음
① 제국주의 식민지 교육정책에 대한 반대(대구지회)
② 학교교육을 조선인 본위로 할 것과 학교교육 용어를 조선어로 할 것을 포함한 조선인 본위의 교육제 실시에 관한 것
(동경지회, 안성지회, 대구지회, 봉화지회, 경서지회)
③ 학생 생도의 연구에 대한 자유 및 자치권 확립에 대한 것
(동경지회, 안성지회, 대구지회, 북청지회)
④ 민간교육기관에 대한 허가제 폐지 및 관 사립학교에 대한 경찰 간섭의 금지에 관한 것(원산지회, 경주지회)
⑤ 무산아동교육에 관한 것 및 무산아동의 수업료 면제를 포함한 조선 아동의의무교육제 확립에 관한 것(동경지회, 경주지회, 선산지회, 동경지회)
⑥ 야학 허가문제에 관한 것(김천지회, 통영지회, 김해지회)
⑦ 간이문고 설치에 관한 것(동서지회, 동경지회)
(3)조선민립대학의 설립운동
- 조선민립대학 설립운동의 출발은 1907년 전개된 국채보상운동
- 3.1운동 이후 민립대학 설립운동
첫째, 우리의 교육수준이 국내에 대학을 가질 정도에 미쳤다는 것
둘째, 우리의 민력이 이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
셋째, 대학교육을 통해 우리 자신의 손으로 지도적 인재를 길러 내자는 것
넷째, 민립대학 설립운동을 통해 민족정신을 더 높이고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하고 새로운 희망과 긍지를 줄 수 있다는 것
- 1922년 11월에 이 상재를 대표로 조선교육협회에서‘조선민립대학기성회’가 결성
- 1923년 3월에는‘조선민립대학기성회발기총회’가 개최 됨
- 일제는 1924년 경성제국대학을 설치하여 예과를 개설
- 1926년에는 3년제 법문학부와 4년제 의학부를 개설
- 1938년에 이공학부 개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9.1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