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교육의 갈등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와 교육의 갈등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와 교육의 관계
1. 교육과 문화의 불가분성
2. 인격형성에 있어서의 교육과 문화의 관계

Ⅲ. 문화와 교육의 갈등관계
1. 갈등이론과 학교교육
1) 경제적 재생산 이론
2) 문화적 재생산이론
3) 이데올로기 재생산 이론
4) 저항이론
2.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Ⅳ. 결론 - 갈등이론의 평가와 한계

본문내용

있는 계급구조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배종근 역, 1987: 91). 즉 경제구조가 갖고 있는 사회적 관계와 교육체제가 지니고 있는 사회적 관계 사이의 대응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결국 교육체제란 사회적인 경제관계를 영속화시키는 제도로 보고 있다.
이러한 경제재생산 이론은 기존의 기능이론에 대해서 새로운 지식과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서, 그 학문적 가치는 높이 인정받고 있다. 이 이론은 정치 경제학적 관점에서 학교교육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하여 주었다(김병성, 1995: 123). 즉, 보울스와 진티스는 실증적인 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성과들을 밝혀냈다.
첫째, 그들은 거대한 통계자료에 의거하여 미국교육이 극도로 불평등하고, 교육기회는 본질적으로 인종이나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달려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둘째, 그들은 거대한 자료들을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학생들이 학교의 사회적 질서에 동조하는 정도에 따라 보상을 받으며, 창의성이나 지적인 유연성은 성적에 의해 직접적으로 손상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이혜영 외 역, 1988:198-199).
하지만 보울스와 진티스의 경제재생산 이론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비판받고 있다.
첫째, 경제재생산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비판을 들 수 있다. 그들은 실증주의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판단이나 해석이 필요하며 해석이 상식이나 묵시적인 가치에 의거하여 행하여질 수 있다는 사실을 그들은 간과하고 있다.
둘째, 수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을 들 수 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사회가 인간을 현재의 상태로 만든 것이며,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이혜영 외 역, 1988: 203).
셋째, 보울스와 진티스의 대응이론은 지나치게 경제결정론이라는 점이다. 그들의 대응원리는 교수-학습과정을 ‘암흑 상자(black box)\'로 취급함으로써 교육이 일어나고 있는 교육적 과정을 무시하고서 교육의 질과 사회적 위치와의 밀착된 관계만을 주목하고 있을 뿐이다.
넷째, 헌(C. J. Hurn)은 보울스와 진티스의 대응이론이 학교교육과 직업세계간의 독특한 상황을 설명하는데 이론적으로 허술하다고 비판한다. 학교는 노동시장의 노동양식에 적합한 규범을 전수한다는 보울스와 진티스의 견해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문화재생산 이론은 경제재생산 이론과 마찬가지로 계급사회가 어떻게 유지, 강화되어 가느냐에 관심을 갖는다. 문화재생산 이론에 의하면 학교교육은 지배계층의 문화를 선호하며 그들의 문화를 학생들에게 내면화함으로써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불평등 현상을 정당화, 합법화 그리고 재생산하는데 기여한다고 본다(안인희, 1987:151).
이러한 문화재생산 이론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교육사회학 탐구의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크다.
첫째, 경제결정론에 빠지지 않고 이데올로기를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관점을 제공한 점이다.
둘째, 교육사회학 탐구에서의 구조적 접근과 상호작용적 접근을 접목시킨 점이다. 부르디외는 계급관계와 같은 사회구조가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규율하여 결국 불평등을 재생산한다고 봄으로써 사회구조적 특징, 교육내용상의 특징 및 상징적 상호작용을 의미있게 연결하고 있다.
셋째, 불평등 현상을 실증적으로 제시할 뿐 아니라 경험적 증거의 심층구조를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심층구조적 특징은 경제구조적 특징의 탓으로 전적으로 환원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생산 이론의 공헌에도 불구하고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첫째, 경제적 재생산이론과 마찬가지로 비판적 안목에서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사회화 이론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재생산만 강조하여 사회구성원의 주체적이며 자발적인 역할이 차지하는 비중을 무시했다. 즉 강제된 헤게모니에 대해서도 도전하거나 저항하는 학생들의 역동적 측면을 무시했다.
셋째, 문화재생산이론이 권력과 지식과의 관계를 인식한 점이다. 이를테면 문화재생산론자들은 구조적 제한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변화의 가능성에 대해서 회의적이다(김병성, 1995: 166).
결론적으로 말하며 문화적 재생산이론은 학교교육을 문화적 기재로 이해함으로서 경제결정론을 극복하고 있으나 문화에 대한 정적인 파악과 수동적인 인간관 등의 비변증법적 사고로 인해서 다양한 이데올로기 및 가치들을 재생산하고 또 변화시키기도 하는 교육의 역동성을 포착하는 데는 실패하고 말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0.30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