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활용한 역사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를 활용한 역사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화를 통한 역사연구의 문제점

3. 영화가 갖는 역사적 의미
1) 기록필름
2) 다큐멘터리영화(Documentary films)
3) 선전영화(Propaganda films)
4) 극영화

4. 극영화의 역사적 활용

5.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전부였으며, 모사된 이미지는 사진에서 그 정확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았으며 또 하나의 사료로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사진 기술의 확장으로서 제공된 동적 이미지로서의 영화는 사진에 비하여 분석의 신뢰도가 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연구의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였다. 이것은, 영화가 단순히 동적 현상의 기록매체로만 사용되었던 것이 아니라 대중에게 즐거움을 안겨주는 오락매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기 때문이었으며, 현재에는 가장 대중성 있으며 경제적 부가가치가 산업으로 인식되어 대중성과 상업성만이 크게 강조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영화를 오락과 대중성의 산물이라 여기는 전반적인 인식과 그 내용에 있어서 허구성, 역사를 왜곡하고 그것을 진실로 보이게 하며 짧은 시간 내에 수많은 사람들에게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영화의 일반적인 특성 때문에 역하학계에서 외면당해 왔다. 또한, 문서에 비하여 영화 자체가 갖는 짧은 역사과, 분석에 있어 역사적 지식 이외의 공학적 분석방법이 요구되는 어려움으로 인해 굳이 역사가들이 문서를 제쳐두고 영화를 택하여 연구할 만한 가치를 지니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가는 항상 ‘사실’만을 사료로서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 문학과 희곡, 신화와 전설이 역사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늘 사용되어 왔음을 감안할 때, 영화는 오히려 현존하는 가장 생생한 텍스트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활발한 연구들이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러한 노력들은 영화를 역사학의 범주로 끌어오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영화는 연구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기록문서과 마찬가지로 일차사료가 될 수 있는 기록필름들이 존재하며, 다큐멘터리영화에서는 시대의 다양한 평가가, 그리고 선전영화나 뉴스영화에서는 그 시대의 사회상이나 정치이데올로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정용 비디오나 캠코더의 보급으로 대중들 또한 자신만의 역사를 새로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으며,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역사가는 기존의 음성기록에 의존하던 구술사기록 작업을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확장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성을 바탕으로 한 신뢰성 높은 영상매체의 역사적 활용은 역사연구의 여러 방면에서 다각적으로 진행되어 그 효용가치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지에서 극영화는 그 허구적 성격과 대중성에 의하여 역사연구에서 외면되어 왔기에, 극영화의 역사적 가치가 최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하여 연구되고 있다.
영화의 내적 구성에 있어 영화의 배경이 되는 사회의 현실을 그대로 투영하며, 외적 구성에 있어서는 영화가 만들어진 시대와 정세, 사상의 동향을 반영하기도 한다. 또한, 극영화는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사회적 이미지와 사상을 추출하여 연구할 수 있는 기회와 자료를 제공하며, 새로운 역사적 해석을 제시하거나 잊혀졌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재평가의 기회를 제공하도 하며, 영화 그 자체로서 사회비판적인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영화는 연구 분석에 있어 기존의 역사연구방법론을 통해 연구하기엔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반드시 역사연구의 범주 안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다양한 시각과 방법을 통해 연구되어 있는 역사연구 자료로서의 영화는 무엇보다도 영화계와 역사학계가 공통의 관심으로 풀어나가야 할 숙제일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영화에 대한 역사학계의 관심과 더욱 활발한 연구가 요구되며, 영화계와 공공 작업을 위한 깊이 있는 토론을 기대한다.
6. 참고문헌
- 김지혜,『영화에 의한 역사 : 또 하나의 역사 서술』, 서강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
- 김지혜,「역사와 영화-영화로 역사서술은 가능한가」,『역사비평』, 역사문제연구소, 1997 겨울호.
- 신채호,『영화로 읽는 세기말의 역사』, 바다출판사, 1998.
- 마크C 컨즈, 손세호 역, 영화로 본 새로운 역사』, 소나무, 1998.
- 주경철,「영화를 위한 변명-역사와 영화의 관계에 대한 탐색」,『프랑스사 연구』2권, 한국프랑스사학회, 1999.
- 마크 페로, 주경철 역,『역사와 영화』, 까치글방, 1999.
- 문화사학회,『역사와 문화』2 푸른숲, 2000.
- 조인숙,「영화연구 / 한국영화 : 역사 , 작가 , 장르 , 산업 ; 역사의 영화적 복원 : < 이재수의 난 > 의 재해석」,『영화연구』, 한국영화학회, 2000 vol 15.
- 로버트 A. 로젠스톤, 김지혜 역,『영화, 역사』, 소나무, 2002.
- 연동원,『영화 대 역사』, 학문사, 2002.
- 차용구,『로마제국 사라지고 마르탱 게르 귀향하다 - 영화로 읽는 서양 중세이야기』, 푸른역사, 2003.
- 주진오,「한국 역사영화의 성과와 한계」,『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vol 13.
- 권명아,「문예영화와 공유기억(commemoration) 만들기―한국전쟁의 경험과 역사의 재구성」,『한국문학연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3 12월 vol 26.
- 이용호,「[이달의 기획] 환호 속에 역사성 감춰진 한국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북한』통권 388호, 북한연구소, 2004.
- 허훈,「영화의 역사적 방법론에 대한 고찰」,『영화연구』, 한국영화학회, 2004 vol 23.
- 김용희,「역사 기억을 영화화하는 몇 가지 방식」,『문학와 영상』, 문학과영상협회, 2004, vol 5.
- 김형곤,『영화로 배우는 서양사』, 신일, 2005.
- 김경욱,「역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으로서의 기억 - <실미도>를 중심으로 역사-서사 영화 다시 생각하기 -」,『영화연구』, 한국영화학회, 2005 vol 26.
- 김기덕,「[연구동향] 전통 역사학의 응용적 측면의 새로운 흐름과 과제 - '인문정보학'ㆍ'영상역사학'ㆍ'문화콘텐츠' 관련 성과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한국역사연구회, 2005 12월 num 58.
- 정한석,「[문화비평과 쟁점] 지금 한국영화는 역사를 어떻게 상상하는가, 그 몇가지 화법 그러나 한 가지 에필로그에 관하여」,『문화과학』, 문화과학사, 2006 3월 num 45.
  • 가격1,4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0.05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1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