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유아특수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역사적 배경
1. 유아특수교육의 개념 정의
2. 유아특수교육의 필요성
3. 한국 유아특수교육의 역사적 배경

Ⅲ. 유아특수교육의 현황 고찰
1. 한국 유아특수교육의 발전과정 및 관련법규와 제도
1) 한국 유아특수교육의 발전 과정
2) 관련법규 및 제도
2. 외국 유아특수교육의 시사점
3. 유아특수교육의 대상과 판별
4. 유아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종류및 특성
1) 병원 중심 프로그램
2) 가정 중심 프로그램
3) 기관 중심 프로그램
4) 혼합형 프로그램
5) 통합형 프로그램

Ⅳ. 나가며
-한국 유아특수교육의
개선 방향 모색-

본문내용

원리란 문화적으로 정상적인 개인의 행동 및 특성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문화적으로 정상적인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탈수용 시설은 시설에 분리되어 수용된 장애인을 지역사회로 이동하자는 것이며, 최소제한 환경이란 장애아동을 일반또래, 가정, 지역사회로부터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분리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이 바람직한 이유는 아이들은 장애에 대한 편견이 없고, 장애아동과의 상호작용은 성장 후에도 장애에 대해서 덜 부정적인 견해를 갖게 되며, 장애아동도 후에 더 적응을 잘하게 되므로 유아기에 통합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Ⅳ. 나가며
-한국 유아특수교육의 개선 방향 모색-
지금까지, 유아특수교육에 관해 그 존재론적 개념과 역사적 배경, 필요성에 따른 가치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또한 유아특수교육의 현황과 관련해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의 발전과정 및 관련법규와 제도, 외국 유아특수교육체제로부터의 시사점, 유아특수교육의 대상과 판별,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논의를 전개해 보았다.
이제 본 글을 마무리하며 ‘작금의 유아특수교육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치론적 문제와 관련한 한국의 현황들이 이러했다면,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질적, 양적으로 보다 나은 유아특수교육의 실재(reality)를 형성해나가기 위한 방안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관해 숙고해 보고자 한다. 우리가 과거역사와 오늘날의 현재적인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보다 나은 미래를 열기 위한 지향점을 구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미선, 강영택, 조정환(1999)이 중심어로 사용하고 있는 ‘확대’라는 언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기존 유아특수교육 상황에 비해 여러 상황을 ‘확대’하는 이들의 관점에서 미래지향적인 시사점을 구해보자. 그렇다면, 무엇을 확대하자는 것인가?
우선, 유아특수교육 대상자의 확대이다. 현재 장애아동뿐만 아니라 장애 위험이 있는 아동까지 연령에 관계없이 적절한 특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또한 그 대상연령도 3세 이하로 확대하되 무상교육으로, 0-2세 장애영아는 무상으로 교육이 실시확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장애아동을 위한 다양한 무상의 특수교육기관의 확대이다. 셋째로, 유아특수교육의 질적 수준의 보장, 확대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며, 교사 연수의 실시, 학급당 아동수의 감축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는 통합교육의 확대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 특수학급을 신, 증설하고, 장애아동의 일반학급으로의 통합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육 전공교사 및 치료교육 교사의 양성과 배치를 확대하는 것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이라 했던가. 아무리 우수한 교육환경이 마련되어 있더라도 결국은 이를 활용하고 보다 나은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의 손길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여섯째, 부모 및 가족 참여의 확대이다. 부모를 비롯한 가족의 교육 참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부모교육 및 개별화가족지원계획의 실시를 확대하여 장애아동과 그 가족 전체를 특수교육 대상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각 정부 부처간의 상호 협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유아특수교육 부처간의 조정을 통해 행, 재정적 지원의 효율화를 극대화하며,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범국민적 홍보를 실시하고, 사설 유아특수교육기관에도 장학 활동을 확대 실시하여 적극적으로 교육, 행정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확대코드’가 유아특수교육계에서 하나의 문화코드로 자리 잡아 ‘특별한 요구가 필요한 아동’들이 아무런 편견과 선입관이 없는 일반아동들의 무리 속에서 정상적인 인간 삶을 영위해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 문헌
교육부(1999). 교육발전 5개년 계획(시안).
교육인적자원부(2004). 특수교육 실태조사서.
김경숙(2002). 유아특수교육개론. 학지사.
김옥기(1993). 2000년대 조기특수교육의 방향. 제8회 특수교육 심포지엄 자료. 한국특수교육학회.
송준만, 유효순(2004). 특수아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이나미, 강영택(1995). 조기특수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이돈희, 조화태(2001). 교육철학.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이미선, 강영택, 조정환(1999). 유아특수교육 확대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연구보고서, 1(3).
이소현(1993).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최민숙, 김경숙, 김미숙, 김성애, 김수진, 박숙영, 백유순, 이성봉, 조광순, 조윤경, 허계형(2003). 유아특수교육개론. 서울 : 학지사.
한국특수교육협회(1994). 한국특수교육협회 30년사.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한국특수아동조기교육연구회(1999). 한국조기특수교육기관의 연도별, 지역별, 설립별 분포상황.
Bailey, D. B., & Wolery, M(1992). Teaching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y(2nd ed). Englewood Cliffs, NJ : Merill/Prentice Hall.
Bowe, F. G(1995). Birth to fiv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New York : Delmar Publisher.
Graham, S., & Scott, K. R(1988). The impact of defintions of high risk on services to infants and toddler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0.
Wolery, M(1993).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A.E. Blackhurt., & W. H. Berdine(Eds).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New York : Pa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2.0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