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 개발과 보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새만금 간척사업 개요

3. 새만금 간척사업의 문제점

4. 개발과 보존에 관한 논쟁

5. 생태환경주의적 접근 (갯벌의 가치)

6. 결론

본문내용

경제적 갈등을 완화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갯벌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이 간척사업에 의해 사라질 때 나타나는 문제들은 갯벌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에게는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갯벌의 상실이 어민들의 생존문제로 국한되는 것만은 아니다. 갯벌을 매립하면 매립한 면적만큼 갯벌 생물의 서식처는 파괴된다. 그렇게 되면 갯벌 생태계에 서식하는 각종 해양 생물들이 사라지고, 수산 생물의 산란장, 보육장, 어획의 장으로서 기능과 부영양화와 유기물 오염 방지의 기능이 상실되며, 기타 심미적 관점에서 인간에게 주는 이익 등 수많은 갯벌 기능이 사라진다. 또한 매립과 간척으로 조각난 서식처는 격리되어 생물의 종수를 감소시키고 생태계의 단편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생태계의 구성원들이 오랜 시간을 두고 이루어 왔던 먹이사슬이나 생물학적 상호 관계가 균형을 잃게 되고 종은 멸종하게 된다. 결국 이곳의 구성원들과 직간접으로 관계를 가지고 있던 주변 생태계는 물론 어민을 비롯한 인간에게도 그 영향이 되돌아오는 것이다.
새만금 간척사업은 교통편익, 국토창출효과, 홍수피해방지효과 등 사업으로 인한 편익만을 상정했을 뿐, 이로 인한 손실은 고려치 않고 있거나 과소평가하고 있다. 서식지가 파괴된 종이 멸종하게 되듯이 환경이 파괴되면 인간의 존엄성이나 삶의 질도 훼손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인간은 자연의 소유주가 아니라 다른 구성원들처럼 자연이라는 밭에서 자급자족하는 키 큰 농부란 사실을 마음속에 새겨야 하겠다.
6. 결론
인간과 환경은 상호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밀접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결국 인간의 욕구와 자연환경이 조화된 성장방식은 새만금과 같은 단기적인 환경파괴행위의 수익성과 비교하였을 때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지속시킬 최대 대안이며 합리적인 성장방식이라는 것이다. 이는 새만금 사업 뿐만이 아니라 모든 국책사업의 시행에 있어서 점점 더 비중있게 고려되어져야 한다. 생명의 연장을 위한 종족의 유지, 평안을 위한 경제논리, 또 그 외 인간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모든 목적과 행위도 중요하지만 자연이라는 울타리 내에는 우리와 다른 수천, 수백만 가지의 종들이 순환되어지는 지배와 피지배 구조 속에서 공생하고 있음을 잊지말아야 하겠다.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 불리우는 것은 자연의 순환고리를 끊을 수 있는 능력때문이 아니라 자연의 구성원을 자연이 원하는 방식으로 조화시킬 수 있는 능력 때문이어야 하지 않을까?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2.17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