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론과 정책실제의 상호의존과 현상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1. 정책실제의 세계(事法界)
2. 정책이론의 세계(理法界)
3. 정책이론과 실제의 상호의존(理事無碍 法界)

II. 다면적 정책이론의 패러다임

III. 중도론적 접근방법의 가능성
1. 중도사상
2. 중도론의 논리구성방법
1) 중도론적 변증법
2) 사구비판의 논리
3. 중도론적 논리구성방법의 적용

IV. 결론

본문내용

이 중도론의 관점에서 본 정책이론과 실제의 조화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次期의 두 번째의 연구과제(정책이론과 실제의 조화(II))로서 <多面的 政策論(multi-dimensional policy theory)>으로 명칭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어떠한 정책상황에서 다양한 정책환경에 하나의 도구론적이고 목적론적인 정책이론이 적용되기 위한, 즉 多面的 政策論理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적인 이론을 본고는 龍樹의 中道論에서 제공받았다고 할 수 있다.
IV. 결론
정책이론과 실제의 二元的인 발달현상이 정책학의 학문적인 존재목적을 위태롭게하고 있다는 정책학자 뿐만 아니라 정책실무자들이 공통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정책학의 위상이다. 이러한 二元的인 발달을 극복할, 정책이론과 실제를 통합하고 조화시킬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서구의 정책학자들도 통합이론을 많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통합이론도 역시 이론으로서의 한계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의 가장 논리적인 사상인 龍樹의 中道論 접근방법을 원용하여 정책이론과 실제의 조화의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분석해 보았다.
중도론의 四句批判의 논리인 모든 인간의 사고작용의 한계를 지적하는 논리와 나아가서 이 부정의 세계를 절대긍정의 자유의 세계로 환원시키는 중도론의 도구론적이고 목적론적인 관점을 이용해서 정책이론과 실제는 같거나 또는 다르다고 하는 二分的인 사고는 모두 모순된 것임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이 모순은 정책이론이나 정책현실이 서로 道具論的으로 기능할 때 정책이론과 현실은 조화될 수 있다는 즉 否定의 逆說은 극복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그러나 중도론의 부정논리가 어떻게 현실에서 기능할 것인가 하는 점이 문제이다. 종교적인 관점에서는 이것이 해탈과 열반의 길로 가기 위한 구도이고 수행이지만, 학문의 세계에서는 이 부정논리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점은 그리간단하지는않을 것이다. 잠정적으로 그 하나의 방법으로 본 연구는 <多面的 政策論>을 제안하여 본 연구의 후편으로 그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즉 <多面的 政策論>이라는 파라다임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정책이론과 실제의 조화의 가능성을 본 연구는 중도론의 접근방법으로 분석해 보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김기언·정무권, (1996), 행정·정책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향, 『한국행정학회보』, 30(4): 171-88.
김성철, 역, (1993), 『중론』, (용수보살 저, 청목 역, 구마라집 한역), 서울: 경서원. 김김성철, (1996), 용수의 중관논리의 기원: 『방편심론』의 상응논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 박사학위논문.
김성철, (1997), 역설(paradox)과 중관철학, 『가산학보』 6호.
김인덕, (1982), 중론의 중요사상과 논리형식, 『불교학보』 19집.
김인덕, (1992), 『종론송 연구』, 서울: 불광출판부.
김종술, (1992), 대학과 중용을 통해서 본 공무원 윤리관: 현상학적 해석, 『한국행정학보』, 25(4): 67-83.
김준한·강명구, (1992), 한국 정책학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창간호): 42-62.
김철수, 역, (1995), (楊惠南 , 『중관철학』), 서울: 경서원.
대학·중용 집주, (1991), 전통문화연구회 편.
동봉, 엮음, (1988), 『용수의 대승사상』, 서울: 진영사.
서동익, 역, 1975, (헤겔, 『철학강요』), 서울: 을유문화사.
성철, (1987), 『頓悟入道要門論 講說』, 경남: 장경각.
윤병태, (1996), 행정윤리의 난제와 해결가능성, 『한국행정논집』, 8(1): 1-16.
윤종갑, 역, (1983), 『중관사상』, (瓜生律 隆眞, "中觀派の形成"), 110-44, 서울: 경서원.
윤종갑, 역, (1983), 『중관사상』, (立川武藏, "歸謬論證派: 佛護と月稱"), 145-77, 서울: 경서원.
이시원·정준금, (1996), 한국의 정책결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동향분석, 『한국행정학보』, 30(2): 65-79.
이영조, (1996), 재량행위의 통제수단으로서 행정윤리의 효용성과 한계, 『한국행정논집』, 8(4): 675-92.
이재호, 역, (1993), 『용수의 삶과 사상』, (中村 元, 『Nagarjuna: 人類の知的遺産13』, 講談社, 1989), 서울: 불교시대사.
이중표, (1991), 『아함의 중도체계』, 서울: 불광출판부.
일지, (1992), 『중관불교와 유식불교: 공의 논리, 해탈의 심리학』, 서울: 세계사.
長尾雅人, (1978), 『中觀と唯識』, 東京, 岩波書店.
Betty, L. Stafford, (1983), "Nagarjuna's Masterpiece: Logical, Mystical, Both or Neither," Philosophy East and West 33:123-38.
Blunder, Margaret and Malcolm Dando, (1994), "Introduction: Sir Geoffrey Vicker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s 38(1): 7-10.
Borgmann, Albert, (1995), "Theory, Practice, Reality," Inquiry: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hilosophy 38(1/2): 143-56.
Brunner, Ronald D., (1991), "The Policy Movement as a Policy Problem," Policy Sciences 24(1):65-98.
Burchell, Robert W., (1988), "The Incongruity of Theory and Practice," Society 26(1): 4-6.
Cochran, Clarke E., Lawrence C. Mayer, T.R. Carr, and N. Joseph Cayer, (1993), American Public Policy: An Introduction,4th ed., New York: St. Martin's Press.
  • 가격2,9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2.2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