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사회통합적 가치와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역사와 사회통합적 가치
1. 남북한 스포츠 교류의 역사
1) 1∼4공화국(1948∼1980) 때의 남북한 스포츠 교류
2) 5공화국(1981~1987) 때의 남북한 스포츠 교류
3) 문민정부(1988~1993) 때의 남북한 스포츠 교류
4) 국민의 정부(1998~ ) 때의 남북한 스포츠 교류
2.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사회통합적 가치
3. 남북한의 화합과 협력
4. 분단한국의 국위선양과 민족자긍심
5. 북한주민의 계층상승과 심리적 만족
6. 북한주민의 사회적응력 배양(사회화)

Ⅲ.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정치적 종속
1. 냉전체제의 종속과 남북한 스포츠교류
2. 햇볕정책과 남북한 스포츠교류

Ⅳ.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추진방향
1.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과제
2.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활성화 방안

Ⅴ.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를 극대화하고 통일열기를 고조시키기 위한 정치적 속성을 탈피하지 못하였다. 또한 사회개방은 곧 체제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에 공식적인 스포츠교류는 회피하면서 경제적 실리를 목적으로한 이벤트성 행사와 스포츠 외의 노동단체간의 교류에 호의적이었다.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추진방향은 스포츠교류의 과제로 첫째,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원칙이 설정되어야 하며 그 원칙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비정치적 순수성과 체제불간섭의 원칙이다. 둘째, 남북한 스포츠교류의정서를 채택하고 민간중심의 협의회를 구성한다. 이러한 기초적 토대 위에서 민간중심의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서두르지 않고 인내심을 갖고서 대북 신뢰관계를 구축한다. 둘째, 스포츠교류의 주체와 종류를 다양화한다. 셋째, 북한의 산업활성화와 관련시킨다. 넷째, 민간 차원의 스포츠교류 기금을 조성한다. 다섯째, 스포츠 분야의 북한 협상전문가를 육성한다. 여섯째, 중국 조선족과의 스포츠교류를 활발히 전개한다. 일곱째, 민간단체에 대한 정부 및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재정지원을 강화하는 것을 제시한다.
끝으로 엄동설한에 핀 철쭉꽃은 추위 속에서 외롭게 시들어 죽고 말지만 봄을 기약하는 하나의 신호인 것 같이 냉전체제의 종식 후 진행된 남북한 스포츠교류가 지금은 중단된 상태이지만 통일의 신호가 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기를 바라고 싶다.
참고문헌
김진기 (1995). 북한체제의 변화 시나리오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95 북한 및 통일연구 논문집(Ⅲ), 1-65.
김학준 (1995). 북한50년사. 서울: 동아출판사.
대한체육회 (1991). 스포츠 정보자료집. 서울: 대한체육회, 458.
동아일보 (1990). 남북교류관련기사.
류재천 (1992). 분단국에 있어 체육교류의 정치·사회적 기능; "한민족 화합을 위한 남북체육 교류의 사회문화적 기능". 남북체육교류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민족통일연구소 (1994). 국내학술회의 발표논문집: 남북한관계와 미국. 서울:민족통일연구원, 33.
민족통일체육연구원 (2001). 제2차 민족통일체육 기반조성을 위한 세미나: 민족통일 체육의 정치적 과제. 서울: 민족통일체육연구소.
민족통일체육연구원·한국스포츠법학회 (2001). 민족통일체육대토론회: 민족통일 체육 기반의 과제와 전망. 서울: 민족통일체육연구원·한국스포츠법학회. 박주한 (1986). 근대 올림픽 대회의 현안문제와 방향에 관한 사회학적 접근. 공군사관학교논문집, 제22호, 366.
박주한 (1986). 분단국가의 스포츠 교류 문제. 공사신문, 제156호, 366.
박주한 (1989). 분단성격과 스포츠 교류와의 관계 고찰.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집, 제18호.
박주한 (1992). 남북한 스포츠 교류의 실상과 전망. 한국체육학회지, 31-97.
박주한 (1998). 남북한 스포츠 교류.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성우 (1987). 북한의 대미정책 변화과정. 북한. 163.
양성철 외1 (1995). 북한외교정책. 서울: 서울프레스.
유영옥 (1991). 일·북한관계의 추의와 전망. 통일문제연구, 51.
윤덕희 외1 (1992). 남북한 사회·문화공동체 형성방안. 서울: 민족통일연구소, 1-6.
이규열 (1990). 90년대 북한의 대중·소 정책. 국방논총, 11, 14-25.
이학래 (1992). 분단국에 있어 체육교류의 정치·사회적 기능; "한민족 화합을 위한 남북체육 교류의 진전과 전망". 남북체육교류 국제학술대회 보고서, 35-55.
이학래 외1 (1995). 북한의 체육. 서울: 사람과 사람.
임번장 (1994). 스포츠 사회학 개론. 서울: 동화문화사.
조명렬 외1 (1988). 스포츠사회학의 기초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조선일보 (1984-1996). 남북교류관련기사.
통일원 (1990).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의 실천과 제도화 연구. 통일방안 연구집(Ⅱ). 서울: 국토통일원.
통일원 (1991). 남북관계의 진로와 전망(Hong Kong의 Jardin Fleming Securities사의 한반도 정세 관련 분석 보고서 번역). 통일 한국으로의 길(The New Yo가 Times 1991년 5월 30일자 한국통일 관련기사 번역). 서울: 국토통일원.
한국자유총연맹 (1993). 북한의 개방 가능성과 우리의 대응반안. 서울: 한국자유총연맹.
Andrew, Yiannakis., Thomas, D. M., Merrill, J. M., & Dale, P. M. (1976). Sport Sociology. Lowa: Dupuque Co.
Bank, S. (1983). Sport: Academic stepchild. Journal of Popular Culture, 16(4), 90-100.
Greetz, C. (1972, Winter). Deep plau : Notes on the balinese cockfight. Daedelus, 1-35.
Fischer, H. M. (1992). The West-East Sports Exchanges Influence on Reunifying Germany.
Lipsky, R. (1978). Toward political theory of American sports symbolism.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21(3), 345-360.
Loy, J. W., McPherson, B. D., Gerald Kenyon. (1978). Sport and Social System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oany, Inc.
Pound, R. W. (1994). Five Rings over Korea. Canada: Little, Brown and Company.
Roberts, J., & Sutton-Smith, B. (1962). Child training and game involvement. Ethnology, 1(1). 166-186.
Ulich, c. (1968). The social matrix of physical education. Englewood Cliffs, NY: Prentice-Hall.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3.1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