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연습]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을 설명하고, 그러한 북한문학사에서 계모형 <장화홍련전>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서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연습]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을 설명하고, 그러한 북한문학사에서 계모형 <장화홍련전>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북한 문학사의 특징

Ⅲ. 북한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는 세 가지 문학사의 특징
1. 해방 후 초기부터 1960년 중반까지의 북한문학
2. 유일사상 체계의 북한문학(1967년 이후)
3. 198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북한문학
4. 각 시대의 문학사적 해석

Ⅳ. 북한문학사에서 계모형 <장화홍련전>의 평가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반영하려는 창작적 탐구과정에서 사실주의적 결항을 더욱 높이게 되었다고 본다. 춘향전, 흥보전, 장화홍련전 등이 이 시기 소설 창작에서의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준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국문 소설들은 작품의 주제 사상적 내용과 형상 창조의 특성으로 보아 몇 갈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주제 사상적 내용에서 춘향전, 심청전과 같이 조선 말기의 부패하고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면서 당대 민중의 아름다운 정신 도덕적 풍모를 보여준 작품들이 있는가 하며, 콩쥐팥쥐, 장화홍련전과 같이 봉건적 가족 제도가 빚어낸 불행과 비극을 보여준 소설들도 있다. 그리고 형상 창조 방법에서 토끼전, 두껍전 등과 같이 의인화 수법을 기본으로 한 우화 소설들이 있는가 하면, 흥보전과 같이 풍자적 수법을 기본으로 한 소설도 있다.
장화홍련전은 배좌수의 딸 장화와 홍련 자매와 흉악한 계모 허씨와의 관계를 통하여 봉건적 가족 제도가 낳은 가정 안에서의 비극을 통해 그러한 제도의 불합리성을 비판하고 있다고 본다.
장화홍련전에서의 갈등은 장화, 홍련과 그 계모인 허씨와 그의 아들 장쇠 사이의 대립과 충돌로 표현된다. 효성이 지극하고 아름답고 착한 자매에 비해, 허씨는 잔악하고 욕심 많은 인물로 나오며 아들 장쇠는 상당히 미련한 인물로 표현되고 있다. 작가는 이렇듯 판이한 성격을 가진 인물들의 상호관계에 기초하여 사건을 전개하면서 작품의 주제 사상을 드러내고 있다고 본다.
특히 장화와 홍련은 허씨의 모함과 음모에 의해 집에서 쫓겨나고 죽음에 이르면서도 부모의 말을 거역하지 않는데, 이는 장화와 홍련의 행동의 근저에 부모에 반드시 따라야 한다는 유교 도덕의 엄격한 규범이 깔려있어, 이러한 봉건적 생활 인습이 자매의 불행한 운명의 중요한 원인중 하나라고 하였다. 그들은 봉건 가정에서 자랐고 교양 받았기 때문에 봉건적 생활 관습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이러한 도덕관념이 장화와 홍련이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운명에 항거하지 못하고 당대 사회의 악에 묵묵히 순종함으로써 단순히 희생자로 전락하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장화홍련전이 가지는 제한성으로 평가되고 있다. 좀더 적극적으로 인간에게 불행과 비극적 운명을 강요하는 봉건적 제도에서 벗어나려 항거할 수 없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는 계모 허씨라는 흉악한 인물상을 통해서도 운명의 중요한 한 축이 형성되는데, 이는 계모 허씨가 추악한 외모에 심사 또한 불량한 인물이며, 전실 자식을 질투한 나머지 그들을 살해할 음모까지 꾸미는 것으로 표현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기심과 흉악한 행동은 봉건 가문에서의 재물의 상속과 결부된 탐욕심에서 나왔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장화와 홍련의 비극적 운명이 사적 소유에 기초한 봉건적 가족제도에서 나왔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하였다. 장화와 홍련이 비극을 겪게 되는 직접적 원인은 계모 허씨의 구박과 관련되는 것이지만, 그 기초에는 봉건적 도덕 관념과 함께 특히 탐욕과 이기심이 놓여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봉건적인 사적 소유에 의한 경제 관계에 의하여, 허씨가 전실 자식을 살해하는 목적 중 하나가 단순히 배좌수의 전실 자식에 대한 사랑을 시기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재산의 상속권을 독차지하기 위해서라고 보는 것이다.
또한 배좌수라는 인물도 그 운명의 축에서 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배좌수는 일찍 어머니를 여읜 자식들에 대한 사랑은 크지만, 허씨의 계략에 의한 장화의 유산 소식에 양반으로써의 체면을 중시하여 계모의 계략대로 딸을 물에 빠져 죽게 한다. 이를 볼 때 배좌수가 계모 허씨와 공모하게 된 원인이 오직 양반 가문의 명예를 지키려는 완고하고 보수적인 사고방식에 의한 것인 동시에 봉건 교리가 인간을 얼마나 기형화시키는가를 보여준다고 하였다. 또한 자기가정 하나 제대로 움직여 나가지 못하는 양반들의 무능력과 부패 타락상을 보여주는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Ⅴ. 결 론
f북한의 가정소설로서 가정 윤리적인 문제를 취급하면서 봉건 가정 안에서의 비극을 보여준 당시의 작품들 중에서 비극의 사회 경제적 측면을 제대로 밝혀낸 것으로 장화홍련전만한 것이 없다고 평가한다. 이는 18-19세기 자본주의의 발생, 발전 과정에서 양반들의 물질에 대한 욕심의 증대와 함께 동시에 경제적 관계가 인간의 사회생활, 도덕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람들이 점차 냉철하게 고찰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소설도 봉건적 윤리와 제도를 철저히 극복하지 못하는 제한성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하는데, 이는 앞에서 장화 홍련의 성격 자체가 봉건적 도덕관념을 극복하지 못함으로 인해서 자신들의 비극적 운명과 봉건 제도를 철저히 극복하지 못했다고 보는 것과 함께, 마지막의 사건 해결 과정에서 철산부사의 의협심에 의해서 사건이 해결되는 것 또한 봉건 사회의 모순을 관료의 힘을 빌어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 것도 작가의 사상적 제한성 때문이라고 본다.
하지만 장화홍련전은 양반 가정 안에서 벌어지는 모순을 사회 경제적 관계와 연결시키면서 생동한 예술적 형상을 창조하고 이야기를 처음부터 갈등 속에 흥미 있게 전개해 나감으로써 당시 인민들의 공감을 자아내었고, 당시 가정 윤리적 주제의 대표적 작품의 하나가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연구의 기본 방향은 당이 규정하고 있는 문예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북한의 문학은 남한과는 달리 작가의 순수한 의도에 의해 발현된 창작이라기보다는 정치 현실을 배경으로 하여 의도적으로 양산되는 타율적인 성향이 짙은 작품이 많고, 개인적인 심성에 근거한 서정적인 면보다는 이데올로기에 바탕한 사상성이 강조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남쪽 문학만 접한 사람들에겐 그들의 문학이 생경할 수밖에 없다. 이는 북한 문학이 구체적인 사회의 목표에 따른 계몽성이 지나치게 강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북한에서의 문학과 정치의 긴밀한 연관성을 알 수 있었다.
[참고 문헌]
김용직, 북한문학사, 일지사, 2008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2007
문학과지성사편집부, 북한문학, 문학과지성사, 2007
박태상, 북한의 문화와 예술, 깊은샘, 2004
박태상, 북한문학의 사적 탐구, 깊은샘, 2006
  • 가격3,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9.28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