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옥(李鈺)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옥(李鈺)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인물과 생애
2. 사상적 기반 및 작품
3. 시대적 상황
4. 이옥의 문학론 -『이언(俚諺)』시론(詩論)의 특성
1) '개체성(個體性)과 표현의 사실성'
2) '남녀지정(男女之情)'
3) '이언(俚諺)'과 시어(詩語)
5.「俚諺」의 작품들
1) <雅調>
2) <艶調>
3) <宕調>
4) <悱調>

Ⅲ.결론

본문내용

은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시를 탕(宕) 이라하고, 이편이 창기(娼妓)의 이야기임을 밝혔다. 그는 창기의 일을 거론 한 데 대한 비판을 의식한 듯 『詩經』에도 정풍(鄭風)’과 ‘위풍(衛風)’이 있다고 하였다. 李鈺, 『俚諺集』 <宕調> “宕者 迭而不可禁之謂也 此篇所道皆娼妓之事 人理到此 亦宕乎 不可禁制 故名之以宕而亦詩之有鄭衛風也 凡十五篇.”
당시 이들에 대해선 ‘어릴 때부터 풍류의 음탕한 것으로 유도하고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는 부류로 인식되었다. 그렇다면 <宕調>1은 일반적 통념과는 거리가 있는 형상임이 분명하다.
盤堆蕩平菜 (반퇴탕평채) 소반에는 탕평채가 쌓여 있고
席醉方文酒 (석취방문주) 술자리에서는 방문주에 취했지요.
幾處貧士妻 (기처빈사처) 얼마나 되는 곳에서 가난한 선비의 아내가
飯不入口 (당반불입구) 쇠솥의 밥조차 입에 넣지 못하고 있을까요.
<宕調>15
천한취급을 받는 천한 몸이지만, 세상의 시비를 가릴 줄 안다. 자신의 일신에 관련된 일뿐 아니라, 선비의 대조적 행위를 통해 세상 밖까지 시야를 넓히기도 한다. 넘쳐나는 음식과 굶주림이라는 선명한 대비를 통해 사회적 모순의 심각성을 제기하는 작품이다. 시인은 이들의 사회적 감각에 대해서도 날카롭게 포착하고 있다.
시인은 창기들의 모습을 담은 이편을 <宕調>라 했는데, 宕은 창기의 생활 자체가 아니라 이들의 눈에 비친 세태인 셈이다.
시인은 시종 이들에게 연민의 눈길을 보내는데, 반면 이들의 눈에 비친 세태는 냉소적 거리에 있다고 하겠다. <艶調>에서 부분적으로 드러나는 세계와의 갈등이 이 편에서는 대부분 갈등의 양상을 띤다.
4) <調>
시경(詩經)에서 말하는 ‘초아(肖雅)’는 원망하면서도 말 못할 정도는 아니지만, 여기서 말하는 ‘비()’는 원망만 할 따름이 매우 심함을 이름이다. 무릇 세상의 인정(人情)이 아(雅)에서 하나를 잃어버리면 곧 염(艶)에 이르게 되는 것이고, 염(艶)은 곧 그 형세가 반드시 탕(宕)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세상에 이미 질탕함이 있으면 곧 또한 반드시 원망함이 있는 것이니, 원망을 하게 되면 이는 곧 반드시 심해지는 것이다. 이것이 비조(調)가 지어진 까닭이며, ‘비()’는 그 질탕함에 말 못할 정도가 되는 까닭이니 곧 이 또한 어지러움이 극한 곳에서 다스려짐을 생각하고, 도리어 밀쳐내야 할 것에서 구해보자는 뜻이다. 이편의 시는 모두 16편이다.李鈺, 『俚諺集』<調> “詩曰 肖雅怨而不 者怨而已 甚之謂也 大凡世之人情 一失於雅 則至於艶 艶則其勢必流於宕 世旣有宕者 則亦必有怨者爲怨之 則必已甚焉 此之所以有作 而者所以其宕也 則此亦亂極思治 反求於推之意也 詩凡十六篇.”
시인의 말처럼 이편에 실린 시들에는 원망의 목소리가 담겨있는데 그 중에서도 여인의 원망을 대상으로 한다. 그를 통해 여러 형태의 남성의 횡로를 제시하고 있다.
<調> 후반은 난봉꾼, 노름꾼, 남편을 둔 시적화자의 극심한 원망을 나타낸 것이 대부분이다.
嫁時紅裙 (가시천홍군) 시집 올 때의 예쁜 붉은 치마는
留欲作壽衣 (류욕작수의) 남겨 두었다가 수의를 만들려고 했지요
爲郞鬪箋 (위랑투전천) 그런데 투전놀음을 청하는 서방님을 위해서
今朝淚賣歸 (금조루매귀) 오늘 아침에는 울면서 팔고 왔지요.
<調> 15
<調>에 나오는 남편들의 모습은 철저히 비속화된 형상이다. 자신의 옥비녀를 훔쳐다가 다은 여인에게 가져다주고, 음식이 입에 맞지 않는다. 밥상을 던지는 남편, 노름으로 가산을 탕진하는 남편, 모두 도덕적으로 타락한 인간들을 남편으로 받드는 아내의 형상이다. 그러므로 四調詩중에서 갈등이 가장 첨예하게 드러난 것이 이 <調> 이다.
<調> 는 애정갈등으로서의 공방 남편의 구박과 폭력, 시집살이의 비야와 고달픔 등 여인들의 생활현실의 구석구석이 제시되어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원망과 불만의 감을 직설적으로 표출하는 데 초점이 모아져 있다. 앞의 <宕調>에 드러나는 자의식을 넘어선 다소 반항적 심리가 엿보이나, 장황할 정도의 나열이 갈등을 강조 또는 한을 풀이하는데 머물고 있다. 시인의 어조는 약자로서의 여성에 대해 연민하고 이들의 불행한 처지를 동정하고 있다. 한시로서는 대담한 표현을 구사함으로써, 갈등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Ⅲ.결론
이옥은 정조의 문체반정에 연루된 많은 문인들의 태도와는 다리 끝까지 자신의 문학적 입장을 견지하여 여러 차례의 유배를 경험한 유일한 인물이다. 그가 구사한 문체적 특징은 섬세하고도 자연스러운 정감의 표현과 고문가들이 기피했던 이어(俚語)를 문장 속에 즐겨 쓰는 것인데, 자신의 문학에 대한 뚜렷한 인식에 근거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이옥 문학의 세계는 개성을 지향하는 근대적 문학의 성격을 보여준 것으로, 시 창작론에 의해 실천적 작품을 남긴 것과 함께, 당시로서는 가장 진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시의 전통이나 격조의 측면에서 과거 문인의 그것에 미치지 못하지만 진실한 모습을 묘사하고 조선의 이어(俚語)를 수용하여 사람들이 시를 이해할 수 있게 하자는 인식에서 볼 때, 그 실제적인 문학 효과는 이전 사대부 문학의 수준을 넘어섰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譯註李鈺全集』1,2,3 ,이옥 저, 실사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역주, 소명출판, 2001.
『韓國文學通史』3,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한국문학작가론』3, 황패강 외 공편, 집문당, 2000.
『李鈺全集』2 , 이옥 실시학사 고전문학회 역주, 소명출판, 2001.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정옥자, 효형출판사, 2001.
논문 및 학술지
류재일, 「李鈺 시의 연구 Ⅰ;<아조>와 <염조>의 작품을 중심으로 」,1994, 인문과학논집
청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류재일,「李鈺 시의 연구,Ⅱ :<宕調>와 <비調>의 작품을 중심으로」,1995 語文論叢
청주대학교국어국문학과
이현우 「李鈺『俚諺』의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1994
임유경,「李鈺의 [傳]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1891.
정은선 「李鈺의 詩文學 硏究」 : 그의 시작품과 시론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1993.
역재(亦齋) 전경원과 함께 고전시가를 통해 여는 세상
http://www.gosiga.co.kr/bbs/sigamain.htm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