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실학파의 교육철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실학의 발생과 특성

Ⅲ. 실학파의 교육사상

Ⅳ. 결론

본문내용

따르는 일종의 職業敎育으로 主體的 實用인을 육성하는 實用主義的 敎育관을 제시하고 있다.
院堂은 聖賢의 道를 실천하는데 敎育의 窮極的 目的을 두고 있다. 여기서 聖賢의 도란 인간의 主體的 行動, 즉 궁행, 실천하는 行動을 말한다.
지금가지 살펴본 實學者들의 敎育目的論을 간단히 요약하면 '德行人과 能力人' '孝悌慈를 실천할 수 있는 修己治人 목자' '經濟的 能力을 지닌 道德人' '德과 실무를 갖춘 有能한 선비' '인도의 구현과 主體的人 實用人' '聖賢의 道를 실천하는 사람' '有能한 産業技術人' '民族主體性을 가진 韓國人' 등의 表現에서 알 수 있듯이 實學者들은 세 학파 모두 性理學의 敎育理念을 그 바탕으로 하면서도 修己의 측면을 강조한 正德에 우선해서 經濟的·實踐的인 면을 강조한 利用厚生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實學者들의 敎育目的은 近代지향의식과 民族意識이라는 敎育 理念에 입각하여 性理學의 지나친 訶章중심의 敎育과 科擧합격을 目標로 하는 敎育에서 탈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主氣的인 人間觀과 實際的이고 經驗論的인 思考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實學者들의 敎育目的論은 지나치게 外在的 目的, 手段的 目的에 치우친 감이 든다.
다시 말하면 實學의 學風이 그 기저에 性理學의 學風을 깔고 있기는 하나 實際的·實踐的 人間, 合理的 思考方式을 지닌 人間, 生産性의 증대 등 現實과 직결된 것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두고 있음을 발견할 수가 있다.
이러한 實學者들의 敎育目的論은 敎育의 內在的 가치보다는 外在的 가치에 보다 더 많은 비중을 주는 道具主義的 敎育目的관에 치우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敎育의 外在的 目的에 지나치게 치우쳐 敎育 그 자체의 本質的 가치를 소홀히 할 우려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Ⅳ. 결론
朝鮮後期 實學者들의 敎育개혁안을 敎育目的, 敎育內容, 敎育方法, 敎育制度 등을 중심으로 實學思想속에 나타나 있는 敎育改革論을 綜合的으로 고찰하는데 目的을 두고 전개되었다. 實學者들은 實用的·實證的 학문을 통하여 다방면에 걸친 制度의 改革을 主張하였고 이런 制度改革을 통하여 敎育의 개혁도 이루고자 하였다.
經世致用, 利用厚生, 實事求是의 세 學派를 중심으로 살펴본 實學의 敎育 改革論은 人間觀이나 敎育目的論, 敎育內容 및 方法論 등에 있어 그 중심내용은 비슷하다.
그러나 經世致用학파의 實學者들은 모든 改革을 制度적인 측면에서 시도함으로써 敎育制度改革에 있어서 특히 具體性을 띠고 있고 나머지 두 학파의 實學者들은 敎育制度면 에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별로 없음을 볼 수 있다.
다만 湛軒의 경우에만 義務敎育制度와 貢擧制를 제시하고 있다. 그 외의 實學者들은 敎育制度의 必要性을 언급하고 있으나 具體的인 언급은 하고 있지 않다.
또 性理學과 비교해 볼 때, 性理學과 實學은 그들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 理氣論의 차이에 의해 敎育전반에 걸쳐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性理學的 풍토에서 敎育은 國民의 교화와 科擧 준비에 目的을 두고 敎育機關은 유명무실화되었으며 敎育內容은 實生活과는 거리가 먼 經學과 訶章에 치중하였고 敎育方法도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었다.
그러나 敎育的 상황하에서 實學者들은 主氣論에 입각하여 개체성을 중시하고 개체간의 平等을 주장하였으며 그들의 개체간의 平等思想은 人間, 職業, 産業, 국가간의 平等으로 이어져 각종 改革의 근본이 되었다.
實學者들의 敎育思想의 결론을 말하자면 첫째, 實學者들의 敎育目的論에 있어서 인간을 자유平等하고 自律的이며 人格的인 주체로 보았으며, 敎育目的도 德行과 能力을 갖춘 實際的인 實用人을 양성하고 또 民族 주체 의식을 함양하는데 두고 있어 그 당시의 敎育目的과는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는 것으로 近代지향적이고 民族主義적 性格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敎育內容論에 있어서 그 당시 學校의 敎育內容이 주로 科擧의 응시과목과 상통하였고 또 修己의 측면을 强調한 가장 중심의 내용인 반면, 實學者들은 理論的인 학문보다는 實用性 위주의 科學技術敎育과 實業敎育 등 現實的인 학문을 중시하였으며 民族主體性을 기르기 위한 구사, 국어 등의 과목을 첨가하는 등 全人敎育을 위한 敎育內容을 중시하고 있다.
셋째, 敎育方法論에 있어서 대부분의 實學者들은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을 중시하고 있으며 추상적인 언어에 의한 학습보다는 실제 經驗과 行動을 통한 학습을 중시하였다.
넷째, 敎育制度改革論에 있어서 人間平等思想에 입각하여 敎育의 機會均等과 能力본위교육을 중시하였으며 科擧준비기관으로 전락하고 계통성이 없는 그 당시 학제를 改革하여 체계화시켰고 學校敎育을 중시하여 德行과 能力에 의해 진학하고 관리가 될 수 있게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런 實學者들의 敎育改革論은 당시의 性理學을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단순히 구호에만 미치고 말았다는 것에 아쉬움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당시의 實學者들은 지매 계층에서 밀려난 소수였고, 또한 당시의 지배계급과는 상당히 괴리가 있는 급진적인 改革안이었기 때문이다. 이들 實學者들의 교육론과 敎育制度改革안에서 보여주었던 敎育의 機會均等과 能力본위교육, 學校敎育 중시, 全人敎育, 職業敎育, 主體的인 實用인 육성, 民族主體性을 기르는 敎育, 개인차와 직접 敎育을 중시하는 敎育方法, 실사회에 필요한 實用性 있는 敎育과 科學 및 産業技術敎育의 중시, 近代지향의식과 民族意識, 비판정신, 實用정신, 實證정신, 敎育의 倫理學的 기초가 되는 平等, 자유, 인간존중, 및 德行중시 思想 등은 오늘날의 敎育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參考文獻
손인수, 「교육사 교육철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1996
손인수, 「韓國敎育思想Ⅳ」, 서울: 문음사, 1989
손인수, 「韓國敎育社」, 서울: 문음사, 1989
이문원, 「實學의 敎育思想」, 서울: 교려원, 1985
이원호, 「敎育社」, 서울: 문음사, 1983
한기언, 「敎育의 역사철학적 기초」, 서울: 실학사, 1975
이을호, 「鄭茶山의 敎育思想」,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이문원, 「實學思想의 現代敎育的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박제가, 『北學議』, 을서출판사, 1971
유형원, 『磻溪隨錄』, 명문당, 198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