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의 사상적 흐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의 사상적 흐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2

Ⅱ. 본 론---------------------------------------2
1. 고유사상과 국문학---------------------------------------2
2. 불교사상과 국문학---------------------------------------4
3. 유교사상과 국문학---------------------------------------6
4. 실학사상과 국문학---------------------------------------7

Ⅲ. 결 론---------------------------------------8

참고문헌---------------------------------------9

본문내용

래 문화를 수입 소화하여, 우리의 고유문화를 창조 발전시켜 왔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우리의 고전 섭취의 앞으로의 방향에 대하여 하나의 방법을 교시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즉 갑오신장 이후 급격한 외래 문화의 홍수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인 신문학의 역사는 위에서 보아온 바 고전문학의 역사적 사실과 비교할 때에, 극히 대척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우리는 중요시 하여서, 앞으로 신문학이 고전문학에서 배울 점을 설정할 때에, 실로 이러한 귀한 전통 즉 외래 문화를 의욕적인 방법으로 받아 들였다는 사실을 기초로 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책정하여야 할 것을 제의하고자 하는 바이다.
이처럼 영정조에 와서 유교가 성리학에서 실학사상으로 바뀌면서 이론보다 실천하여 행애야 한다는 사상이 대두되어 그러한 사상이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나오는 작품에 나타난다. 양반의 허세와 거짓을 그린 「양반전」, 양반의 부패한 생활을 그린 「호질」, 돈 만냥을 빌려 과실을 사서 큰 돈을 벌고 다시 제주도의 말총을 사서 거금을 벌어 섬에 거지를 이주시키는 「허생전」 등이 그 대표이다. 또한 송강의 「훈민가」, 「사미인곡」, 「속미인곡」도 연군지정을 나타내는 유교사상이 그 바탕이 되어 있다. 이 외에도 많은 조선의 작품에 유교사상이 나타나 유교사상은 불교사상과 더불어 한국문학의 중심사상을 이룬다.
Ⅲ. 결 론
이상으로 우리 국문학의 바탕에 깔려있는 사상을 알아보았다.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여러 작품들이 우리 고유의 사상과 함께 유교, 불교, 실학(성리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놀라웠다. 단군신화를 단순히 토테미즘적인 방향으로만 생각했는데 토테미즘뿐만이 아니라 샤머니즘이 함께 내포되어 있고 ‘처용가’ 또한 불교 사상뿐만이 아니라 우리 고유 신앙인 샤머니즘이 바탕이 되었다니 그동안 단편적인 지식들만 갖고 있었던 나에게 여러 가지를 알게 해준 시간이었다.
또한 우리 고유 사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샤머니즘과 토테미즘, 정령사상등을 흔히 무당이 굿할 때 쓰는 의식 같은 것으로만 여겼었다. 그것이 고유사상이라는 생각보다는 뭔가 덜 세련되고 현실에는 맞지 않는 한마디로 촌스러운 사상이라는 느낌을 받았던게 솔직한 내 심정이다. 하지만 문학속의 고유 신앙은 내가 생각했던 것 이상의 ‘무엇’이었다. 말로는 정확히 표현할 수 없지만 그 안에는 외국에서 들어온 불교, 유교, 성리학과는 차별되는 그 ‘무엇’이 있었다. 물론 우리 국문학의 작품에는 앞서 말한 모든 사상이 바탕이 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사상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잘 정착될 수 있었던 것은 우리 민족의 고유사상과 잘 융합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리고 그렇게 잘 융합되고 널리 퍼질 수 있었던 것이 우리 고유사상의 힘이 아닌가 생각한다.
우리의 문학에는 우리의 사상만이 들어있지는 않다. 하지만 유교, 불교 모두 본래의 색체가 강하다기 보다는 우리의, 한국적인 색체로 변모하여 나타난다. 앞으로 고전 문학을 더 공부하면서 그 안에 담긴 사상을 잘 이해한다면 비록 그 시대에 살진 않았지만 작품을 통하여 충분히 우리 선조의 생활과 감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1. 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원 한국 사상연구소,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2
2. 구인환, 「한국문학 그 양상과 지표」, 삼영사, 1882
3.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4. 이병기.백철,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93
5.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2004
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5
7. 황패강, 「한국문학의 이해」, 새문사, 1991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3.28
  • 저작시기199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