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문학사상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최치원의 문학 사상
1. 최치원의 생애
2. 최치원의 문학 활동
3. 최치원 이전의 문학 사상
4. 최치원의 문학 사상
1) 최치원과 풍류도

Ⅲ. 안민가와 화왕계를 통해 본 최치원의 문학 사상
1. 「안민가(安民歌)
1)「안민가(安民歌)」본문
2)「안민가(安民歌)」현대어 풀이
3)「안민가(安民歌)」의 배경설화
4) 「안민가(安民歌)」의 창작 배경에 대한 학설
5)「안민가(安民歌)」이해하기
6)「안민가」에서 엿볼 수 있는 최치원의 문학사상
2. 「화왕계 (花王戒)
1)「화왕계 (花王戒)」 본문
2)「화왕계 (花王戒)」현대어 풀이
3)「화왕계 (花王戒)」창작 과정과 성격
4)「화왕계 (花王戒)」의 창작 배경에 대한 학설
5)「화왕계 (花王戒)」 이해하기
6)「화왕계 (花王戒)」에서 엿볼 수 있는 최치원의 문학사상

Ⅳ. 나오며
-최치원에 대한 후손들의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이다.
실용문이 아니라, 예술로서의 문학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의인적인 수법을 통한 풍자의 방식이 그것이다. 또한 오랜 세월 동안 내려오는 이야기를 예술적인 창작력으로 가미한 점 또한 그렇게 볼 수 있다. 당에서 유학하여 실력을 쌓았지만 그가 가진 학문적 경륜을 문장을 짓고 외교문서를 작성하는 데만 쓰이는 현실을 비판하고, 예술성을 더하여 임금에게 충언을 설총의 문학에서 최치원의 문학사상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최치원의 ‘풍류도’도 역시 드러난다. 설총은 육두품 귀족 출신으로 그 아버지가 원효이다. 당대 유명한 승려였던 원효의 아들인 설총이 유학자가 되었다는 사실은 설총, 그 자신도 유교와 불교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를 아우르는 ‘도’가 그의 사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설총 역시 최치원과 마찬가지로 근원적인 '도‘를 추구 하였다고 할 수 있다.
Ⅳ. 나오며
-최치원에 대한 후손들의 평가
지금까지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활동, 최치원 이전의 문학사상을 알아보았고, 이를 통해 최치원의 문학사상이 나오게 된 배경과 내용을 개괄적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안민가와 화왕계를 중심으로 최치원의 문학사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최치원은 신라 말의 난세기에 불우한 생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사와 문학, 역사인식, 사상 등 여러 방면에 큰 업적을 남긴 대학자였다. 삶과 문학과 사상 그리고 업적은 후대인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고, 최치원이 서거한 이후 오늘날까지도 그에 대한 평가는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신라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한국사학회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편, 주류성, 2001, 中
김창겸, 고운 최치원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 p.201
고운은 그 이전까지의 우리 문학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신 분, 우리나라 문학을 중흥시킨 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삶은 후대 문인들로부터 많은 동경을 받고 있다. 이는 그가 약자의 편에 섰으며, 또 약자였기 때문이다. 그가 중국에 있을 때는 중국인에 비해 입지가 약했고, 환국한 뒤에도 그는 진골들에 비하면 기반이 약했다. 그의 이러한 입장이 그에 관한 많은 설화의 생성을 유도했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인간의 보편적 심리는 강자 편에 서기보다는 약자 편에 섰기 때문이다. 그는 또 서민층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고운의 불우했던 삶이 서민들의 정서와 부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고운은 우리나라 방외 문학(方外文學)의 선구자라 할 수 있다. 최자(崔滋)가 말하고 있듯이 고려 시대에는 이능봉·오세제·안순지 등이 바로 고운의 삶을 동경했다. 그리고 조선 시대에 와서는 김일손·박제가 등이 고운의 행적을 동경하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이구,「최고운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1995, p.238~239
조선시대에 이르면서 시대적 변화와 성리학의 발달로 최치원에 대한 평가도 달라져, 부정적인 평가가 나타났다. 『계원필경』에는 읽지 못할 곳이 많고, 최치원의 문장이 괴이하고 난삽하여 족히 천하를 움직일 것이 못된다고 평가 절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최치원의 문학에 대한 조선시대의 비평은 그의 문장이 졸렬(拙劣)한데서 기인한 것 이라기보다는 몇 백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한문체의 변모에 더 큰 이유가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신라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한국사학회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편, 주류성, 2001, 中
김창겸, 고운 최치원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 p. 216~217
종합해 보면, 고려시대에 이어서 중국에 문명을 날린 우리문학의 시조로서 탁월한 인물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최치원의 문장은 달의(達意)보다는 미문(美文)을 존중하는 변려문체(騈麗文體)라는 이유로 한 유학자들의 부정적인 평가가 있었다. 이처럼 최치원의 생애와 더불어 그의 문학 사상 등에 대한 후세인의 평가는 다양하여 상반된 양상을 보여 왔고,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다양한 평가가 나온 기저에는 최치원이 후대에 미친 영향이 그만큼 크고 계속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이는 최치원의 업적과 사상 그리고 이와 관련한 것들이 우리 민족사에 특출(特出)한 것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치원에 대하여 좀 더 올바른 이해와 평가를 위해서는 그의 문학작품, 역사인식, 철학사상을 비롯한 생애 등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김창겸, 위의 논문, p.247~248 참고하여 요약.
※ 참고문헌
조동일,『한국문학사상사시론 제2판』,지식산업사, 1998,
『삼국사기』권 46 최치원,
하갑룡,『최치원의 삼교융화사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1990
김상홍 외,『한국문학사상사』 계명문화사, 1991
이종욱, 『신라의 역사 제 2권』 김영사
「신라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한국사학회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편, 주류성, 2001 中 오윤희,「최치원의 문학세계」, p.160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hanmun/choe-chi-won-chu-ya.htm
http://blog.naver.com/namu8821?Redirect=Log&logNo=60024302261
「孤雲의 思想과 文學,」,坡田韓國學堂 編,1997
「崔文昌侯全集」,성대 대동문화연구원,1972,
유동식,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조동일,『한국문학통사 제3판』1권(원시문학-중세전기문학), 지식산업사, 1994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987.
성낙희, 조연숙 편저, 『고전시가의 이해』, 국학자료원, 2006
박노준, 『향가』, 서울: 열화당, 1991
이완형,「안민가」연구, 한국문학논총 제 15집(1994.12), 한국문학회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hyang-ga/an-min-ga.htm)
오상표,「화왕계」연구, 어문학(1998), 한국어문학회
「신라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 한국사학회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편, 주류성, 2001 中 김창겸, 「고운 최치원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
이구, 「최고운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1995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5.11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