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역사] 조선시대의 성리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역사] 조선시대의 성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성리학의 수용
1) 성리학의 성격
2) 성리학의 수용

2. 15세기의 유교정치의 성리학
1) 유교정치 기반의 확립
2) 전통적 신앙과 유교이념
3) 관학파의 성리학

3. 16세기의 사림파와 성리학
1) 사림파의 대두와 성리학 발달
2) 성리학파와 성리설
3) 성리학의 사회윤리

본문내용

3. 성리학의 사회윤리
1) 성리학 윤리의 보급
① 성리학적 윤리는 기본적으로 현실적 차별을 바탕으로 신분 질서를 합리화하는 것으로 성리학적 명분론에 기초
삼강오륜 : 성리학에서 인간의 사회관계를 규정하는 기본적인 덕목으로 군신유의(君臣有義), 부자유친(父子有親),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의 5가지 인간관계를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현실적으로 모든 인간관계에 확대 적용되는 윤리이다.
→ 기본적으로 상하간의 지배와 복종을 요구하는 수직윤리이면서도 윗사람의 아랫사람에 대한 도덕적 배려를 요구하는데 특징이 있는데 이는 차별적 신분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양반 사족 지주층의 이해관계가 반영된 것이다.
② 성리학 윤리의 보급 - 15세기에는 국가주도하에 성리학 윤리를 보급하였기에 양반사족의 범위였지만 16세기에 이르러 사림파의 활동으로 일반농민에게까지 보급되어 사회전반에 확산
『소학』과『가례』: 『소학』은 성리학적 사회윤리를 구체적으로 규정한 책이고『가례』는 집안에서 지켜야 할 예법들을 규정한 책으로 15세기부터 국가주도하에 보급
국가적 차원의 윤리서와 교화서 간행, 보급 - 『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동몽선습』,『격몽요결』 일반 농민들에게 성리학적 윤리 보급 - 성리학적 윤리를 실천한 백성 표창, 국역 면제, 교화서 강론, 『소학』을 한글로 번역
2) 가족윤리
① 성리학에서 규정하는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로 부모와 자식은 천륜에 의한 가장 친한 관계(父子有親)
효 : 효는 부모의 은덕에 대한 자식의 도리이기 때문에 마땅히 지켜야만 할 것으로 여겨졌으며 모든 행실의 근원으로서 중요시, 효는 자식의 주체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절대적인 복종을 요구하는 윤리 → 삼년상, 형제간의 우애, 부부간의 화합도 효의 일부분으로 가족뿐만이 아닌 친족 내에서도 효의 윤리 적용
가례 : 효를 바탕으로 한 가족윤리를 규범화한 예서로서 관혼상제의 예법을 규정하여 가부장적인 가족질서를 확립하는데 요체가 있었다.
② 남편과 아내 사이의 관계는 남녀간의 구별과 차별로 이루어진 관계(夫婦有別)
남자는 양이고 여자는 음에 해당하여 남자는 존귀하며 여자는 비천하다는 차별적 존재로 인식
→ 남존여비(男尊女卑)의 관계를 설정하여 아내의 덕목을 순종과 정절로 규정
>>>> 성리학의 가족윤리는 『가례』의 시행 등으로 점차 심화되어갔으며 가부장제의 확립과 제사상속과 재산상속 등이 장자 중심으로 바뀌어갔다.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제도는 16세기 말부터 예학의 발달과 함께 더욱 강화
3) 군신윤리
① 임금에 대한 충은 부모에 대한 효를 국가적인 차원으로 확대한 것으로 효의 대상이 임금으로 옮겨져 충이 되는 것
충 : 효관념의 확대로서 절대적인 복종을 의미, 임금과 신하 사이는 부모와 자식 사이같이 천륜으로 맺어진 것이 아닌 의로써 맺어진 관계(君臣有義)로 임금은 신하에게 충과 의에 따라 복종을 요구하며 신하 역시 의로써 임금을 섬겨야 함
군주에게 예와 의에 의한 도덕성을 요구하고 신하에게는 충성스럽고 의로운 자세를 요구
→ 군주의 도덕성부족으로 인한 역성혁명이나 반정을 합리화
군주는 신하를 의와 예로서 대하여야 하며 군주와 신하는 의로써 맺어진 관계이기 때문에 군주가 의롭지 못한 한다면 신하는 떠날 수 있다.
→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충에 의한 복종을 요구하는 것이었지만 신하의 주체성은 어느정도 인정되는 관계로서 성리학의 정치형태는 군주의 전제독재는 배제되고 신하의 역할이 보장됨
4) 향촌윤리
성리학적 향촌윤리는 16세기에 들어 인식, 보급되었으며 향약을 통해 실현, 장유유서의 윤리가 중시
향촌민 사이의 순서는 나이가 기준이었으나 신분이 일차적 기준으로 적용
→ 양반내의 비순수 사족을 구분하여 향촌사회에서의 사족들의 지배력을 강화
사족과 양인농민, 주인과 노비 사이의 신분관계는 삼강오륜을 확대하여 적용
→ 주인과 노비와의 관계를 군신의 관계로 등치, 사족과 일반농민 사이의 관계 장유의 관계로 등치하여 성리학 적 명분론속에 현실의 신분적 지배 복종을 관철
한편 붕우유신은 친구사이의 윤리를 규정한 것으로 친구관계는 도와 덕으로 맺어진 관계로 보았으며 이는 사림파가 성리학적 이념을 실천함에 있어 그 실천의 주체자인 사족들의 결속을 다질 수 있는 덕목을 붕우간의 윤리에서 찾았다. 그리하여 학연에 의한 학문적 동지관계를 매우 중요시되어 학파의 형성과 사족들의 결집에 이념적 근거가 되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