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사상][원불교][유가][동양][서양][중세크리스트교][퇴계 이황][율곡 이이]원불교윤리사상, 유가윤리사상, 동양윤리사상, 서양윤리사상, 중세크리스트교의 윤리사상, 퇴계 이황의 윤리사상, 율곡 이이 윤리사상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윤리사상][원불교][유가][동양][서양][중세크리스트교][퇴계 이황][율곡 이이]원불교윤리사상, 유가윤리사상, 동양윤리사상, 서양윤리사상, 중세크리스트교의 윤리사상, 퇴계 이황의 윤리사상, 율곡 이이 윤리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원불교윤리사상

Ⅱ. 유가윤리사상

Ⅲ. 동양윤리사상
1. 유학 사상 전개
1) 한나라
2) 위진 남북조 당나라
3) 송대
4) 명대의 양명학
5) 청대의 고증학(考證學)과 실학 사상
2. 도가 사상 전개
3. 불교 사상 전개
1)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의 분화
2) 대승불교
3) 세 종파로 갈라진 대승 불교
4. 동양 윤리 사상의 특징
1) 동양 윤리 사상의 특징
2) 동양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의

Ⅳ. 서양윤리사상
1. 헬레니즘(Hellenism)시대의 윤리사상
1) 사상적 특징
2) 스토아(stoa)학파 - 금욕주의 윤리설
3) 에피쿠로스(Epicourous)학파 -쾌락주의 윤리설
2. 중세 크리스트교의 윤리사상
1) 초기 크리스트교
2) 교부(敎父)철학
3) 스콜라(Schola) 철학
3. 근대초기의 윤리사상(14-15C)
1) 르네상스(Renaissance, 문예부흥)운동
2) 종교개혁
4. 근대 중기의 윤리사상(16-17C)
1) 영국의 경험론
2) 대륙의 합리론
5. 근대 시민사회의 윤리사상 <계몽사상>(17-18C)
1) 근대 시민윤리사상의 대두
2) 홉스(Hobbes)의 사상 - 근대 시민윤리사상에 사회계약설 도입
6. 근대 후기의 윤리사상(18-19C)
1) 독일의 관념론
2) 영국의 공리주의 윤리사상
3) 프랑스의 실증주의 윤리사상
7. 현대의 윤리사상(19C말 - 20C)
1) 유물론
2) 생철학
3) 실존주의
4) 실용주의(Pragmatism)
8. 서양 윤리 사상의 특징

Ⅴ. 중세크리스트교의 윤리사상
1. 크리스트교의 성립
1) 초기 크리스트교
2) 예수(Jesus Christ)의 출현
3) 크리스트교의 공인
2. 중세 윤리 사상의 특징
1) 신중심적 윤리 사상
2) 성서 중시
3) 계율
4) 계율에 의한 행위의 판별
5) 신의 존재
6) 중세 철학의 과제
7) 대표 사상
3. 교부철학
4. 스콜라 철학
1) 중세 최대의 철학 사상
2) 크리스트교의 교리를 철학적으로 논증
3) 대표자 : 토마스아퀴나스(Aquinas)

Ⅵ. 퇴계 이황의 윤리사상

Ⅶ. 율곡 이이의 윤리사상
1. 도덕실천주체의 확립
2. 도덕의 사회적 실천원리
3. 도덕적 이상사회의 건설
4. 정치적 전개
5. 교육적 전개
6. 실생활을 통한 전개

참고문헌

본문내용

율곡이 추구한 도덕적 이상사회는, 그의 윤리학적 성격에서 볼 때, 외형적으로 규범윤리가 실현되는 질서정연한 사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인간사회의 질서가 규범윤리의 확립에 의한 의식적인위적 노력으로 수립된 것이 아니라, 철학적 종교적 질서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자연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윤리학에서의 도덕적 이상사회는 자연의 질서와 합일되어 대조화를 이루는 형태로 설명된다.
도덕적 이상사회는 그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의 인간관계와 역할이 바르게 정립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것은 정치, 경제 등 사회의 전 분야를 이상적인 상태로 이끌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도덕적 이상사회는 그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제 조건으로서 철학적 종교적 본질을 내포하면서 동시에 그 결과적으로 부수되는 성과물로서 사회의 모든 분야에 걸친 이상상태를 수반한다.
또한 율곡 윤리학의 또 하나의 특징은, 한편으로는 사회의 모든 분야가 이상적인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인 도덕적 이상사회의 건설에 치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의 모든 분야에 직접 참여하여 각각의 이상적인 상태의 실현을 앞당기도록 주력하는데 있다.
4. 정치적 전개
율곡학의 궁극적 목적은 도덕적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었는데, 그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은 정암의 지치주의운동을 성공적으로 계승하는 것이었으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역할이 가장 중시될 수밖에 없다.
율곡은 당시의 임금 宣祖를 聖人으로 만드는 일을 하기위해 직접 經筵官이 되어 성리학을 강의하기도 하고, 책을 엮어서 바치기도 하였다. 이는 지치주의운동의 기본입장을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핵심은 임금이 마음을 바르게 하고 도덕주체를 확립하는 것이며, 그것은 다시 개인적 수양을 통하여 가능한 것으로 귀결된다. 그러므로 율곡은「련院陳時事疏」에서 개인적 수양방법의 세목으로 立大義, 勉學問, 親正人의 세 요소를 열거하였다.
이상과 같이 도덕적 이상사회 건설의 핵심인 임금의 수양에 진력하는 율곡은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 정치적인 실천의 중심이 되어 있는 임금의 현실적 입장을 고려하여 정치적 실천을 하는 가운데서 궁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율곡의 이 이론에 의하면, 임금은 훌륭한 선비들의 이론을 참고로 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사를 실시해야하므로, 이에 대비하여 율곡은 당시의 상황에서 실시해야 할 최선의 정치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야만 했다.
그 방법이 그의 정치철학의 진수라 할 수 있는「萬言封事」라는 상소문에 잘 나타나 있는데, 전체를 대변하는 정치원리로서 時宜와 實功을 제시하였다. 時宜란 때에 따라 변통하고 법을 제정하여 백성을 구제하는 것이며, 實功이란 빈말을 하지 말고 정성으로 일을 처리하는 데에서 기대할 수 있다. 정치를 하여도 효과가 없는 것은 실공을 힘쓰지 않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정치적 페해를 구제하기 위해서 율곡은 또한 修己와 安民을 동시에 추진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5. 교육적 전개
도덕적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데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정치적 역할이지만, 그것은 교육의 역할보다 근본적인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율곡은 정치에 가담하면서도 교육의 역할에 대해서 관심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리하여「學校模範」「擊蒙要訣」 등을 저술하여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였다.「學校模範」의 전체 내용은 교육을 통한 도덕의 확립을 추구한 것으로 귀결되는데, 그 16조의 내용은 立志, 身, 讀書, 愼言, 存心, 事親, 事師, 擇友, 居家, 接人, 應擧, 守義, 尙忠, 篤敬, 居學, 讀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서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학교의 모든 교육은 도덕교육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오늘날의 교육이 목적과 방향성이 없이 진행되거나 도덕성을 확립하는 것과 무관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볼 때 율곡의 교육이론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擊蒙要訣」에서는 立志, 革舊習, 持身, 讀書, 事親, 喪制, 祭禮, 居家, 接人, 處世 등의 항목을 두어 어린이 교육의 내용을 열거하였는데, 여기서도 일관되고 있는 것은 도덕교육이다.
6. 실생활을 통한 전개
도덕적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데에는 정치적 역할을 동원하거나 교육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것 외에도 사회 속에 들어가 실생활을 통한 도덕실천운동을 직접 전개하는 방법이 있다. 율곡은 이 세 번째 방법의 일환으로 鄕約을 강조하였고 실제로 西原鄕約 海州鄕約 등을 완비하여 실시하도록 유도하기도 하였다. 율곡이 제시한 도덕의 사회적 실천방안들을 西原鄕約의 條約을 참고로 살펴보면 첫 조항에 善行과 惡行에 대해서 나온다. 그 중 善行의 내용은 개인적인 도덕실천주체의 확립, 가족과 친척 간에 지켜야 할 실천도덕, 친구와 이웃간의 실천도덕과 공동체의식의 확립 등의 세 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고, 나머지 세칙도 개인윤리, 가정윤리, 사회윤리의 세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마을에서 악행이 있을 경우 큰 범죄가 아니면 자체에서 처벌하게 만드는 것인데, 이는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의 잘못을 직접 다스리는 형태와 같다. 이는 바로 사회의 가정화를 의미한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鄕約을 시행하는 것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첫째, 사람들로 하여금 도덕 중심의 가치관을 확립케 하는 데 있고, 둘째, 삶의 기준을 개인에서 가족 공동체로, 가족 공동체에서 다시 마을 공동체로 확산시키는 데 있다. 그리고 그것은 도덕 중심의 가치관을 확립하는 데서 출발한다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율곡의 이 鄕約精神은 대단한 의미로서 다가올 것이다. 그러나 율곡의 이 향약정신은 개인의 자유와 인권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가치체계와 상충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의 실현가능성은 기대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로버트 L 애링턴, 서양윤리학사, 서광사
서원섭, 퇴계학연구 2집, 퇴계학연구소, 1974
이종호, 율곡, 인간과 사상, 지식산업사, 1994
조현규, 동양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최재목, 오늘날 한국에 유교는 있는가, 유교는 철학인가 종교인가[나의 유교 읽기], 소강, 1997
하창환·김종석, 퇴계이황의 삶과 교훈, 일송미디어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1.03.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6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