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박씨전>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머리말

Ⅱ. 본론
1. 박씨전의 기본내용
2. . 박씨전의 주제에 대한 논의
3. <박씨전>에 나타나는 역사적 사건
(1) 병자호란
(2) 임경업
(3) 이시백
(4) 기타
4. 소설 속에서의 역사적, 사회적 사건의 전개
(1) 치욕적인 패배였던 병자호란에 대한 정당성
(2) 소설속에서의 여성해방
5. 〈박씨전〉에 나타난 문학적 독자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식이 높아 졌다 하더라도 그 시대는 여전히 남존여비 사상이였고, 그들은 남성 밑에 있었다. 하지만 작품속에서는 이러한 시대를 비웃듯 박씨라는 뛰어난 인물을 등장시켜 그들의 억눌린 삶에 대한 억압을 작품으로 분출한다. 박씨는 비할 데 없는 추녀였지만 허물을 벗고 미녀로 변신하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일단은 여성들에게 잠재해 있는 미적 욕망을 실현해 주는, 일종의 대리 만족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못생긴 여자가 예쁜 여자로 바뀐다는 설정은 많은 여성들에게 통쾌함을 안겨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통쾌함은 거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남성들이 여성들의 미모만 탐하는 것에 대한 응징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다. 시아버지 되는 사람은 박씨가 외모는 괴상하나 재주가 기이하고 덕을 겸비하여 가문을 빛낼 인물이라 칭찬하며 미색을 탐하는 아들을 꾸짖는다. 또 박씨는 자신이 본얼굴을 감춘 이유는 남편이 미색에 혹해서 학업을 망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다고 말한다. 즉 일시적으로 추한 여성을 내세워서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가를 되묻는 것이다. 또한 그의 남편을 평범한 인물로 표현하여 현실에서 불가능 하였던 여성우위를 나타내었다. 이는 가부장제 하의 삼종지의에 억압되어 살아야 하였던 봉건적인 가족제도에서 정신적으로 해방되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와, 여성도 남성 못지 않게 우수한 능력을 갖추어 국난을 타개할 수 있다는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우리 역사상 가장 치욕적인 사건이였던 병자호란에 대한 패배에 대해 문학으로써 그 정당성을 찾고 정신적 승리를 거뒀다고 서술하는 것이였다. 우리가 아는 역사 속의 병자호란은 완전한 패배였음에 유념하자. 임진왜란은 어렵기는 해도 승리를 거둔 전쟁이지만 병자호란은 임금이 직접 나와서 항복을 해야 했던 치욕의 역사이지 않던가. 하지만 소설에서는 진 진쟁을 그리면서도 박씨의 활약으로 부분적인 승리를 이끌어낸다. 그래서 이런 문학을 '정신적 승리'의 문학이라고도 한다. 청나라에 대한 현실적 패배를 허구 공간인 소설에서나마 승리하도록 꾸몄다는 말이다. 여성이 남성에게 받는 억압을 넘어섰던 것처럼 청나라에 대한 조선의 굴종 역시 그런 방법으로 넘어서려 했던 것이다. 이강엽, 고교 독서평설(통권 115호)에서 인용
Ⅲ 결론
〈박씨전〉은 한편에서는 설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것을 소설적 구도로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물론 박씨전은 박씨의 변신과 ‘피화당’을 중심으로 한 전기적인 성격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따라서 설화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소설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당대의 시대의식을 반영하고 그것과 치열하게 싸우는 자아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전소설의 기초연구, 태학사, 2001.10.25, 61p
〈박씨전〉을 분석하면서 다시 한번 문학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허구와 현실의 공동 존재를 문학속에 담아내며 그것을 읽는 독자는 그것이 비록 현실 같지만 허구라는 것을 염두하고 읽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은 인터넷에서 본 것이나, 만화책, 영화, 게임등 각종 매체가 발달 하여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어린 학생들은 그것이 현실인지 가상인지 구분을 못한다고 한다. 문학은 현실을 반영하고 또한 그 시대상을 반영도하기 때문에 완전 허구라고도 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항상 머릿속에 문학은 문학으로서 받아들여야 하고 이해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반고어문학회 편. 「고소설의 사적전개와 문학적지향」 보고사, 200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엮, 「고전소설의 기초연구」태학사, 2001
정출헌,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소명출판, 1999
전성운, 「조선후기 장편국문소설의 조망」, 보고사, 2002
고경식 외, 「고전작가작품의 이해」, 박이정, 1998
참고사이트
http://songkw.com.ne.kr/go2/13-12.htm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o-seol/bak-ssi-jeon.htm
http://www.kyungnam.ac.kr/home3/member_home/star0104/research/bakssi.htm
http://www.woorimal.net/hangul/gojunsanmoon/so-parkssijun.htm
http://ipcp.edunet4u.net/%7Ekoreannote/4/4-박씨전.htm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9.11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