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 토지 매매 - 민법 사례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VOL 1, <사례 해결>
Ⅰ.물음 1에 대하여
1. 문제의 소재
2. A, B사이의 매매의 유효성
3. 타인의 물건이 매매의 목적인 경우
4. 물음 1.(1)의 해결
5. 물음 1.(2)의 해결
Ⅱ. 물음 2에 대하여
1. 문제의 제기
2. 담보책임을 물을 수 있는 지의 여부
3. 착오를 이유로 한 취소 여부
4. 사기를 이유로 한 취소 여부
5. 채무불이행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
6. 불법행위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
Ⅲ.사안 해결

* VOL 2, <판례 정리 >
Ⅰ.매매의 유효성
Ⅱ. 담보책임
1. 담보책임의 본질
2. 하자의 존재의 판단시점
3. 하자의 기준
4. 효과
5. 전부 타인의 권리 매매
Ⅲ. 채무 불이행 (사안의 경우 이행 불능)
1. 이행불능의 의미
2. 사안과 관련된 적용례
3. 소유권 회복의 가능성
4. 효과
Ⅳ.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과의 경합
1. 권리의 하자의 경우 양자의 경합을 인정
2. 특정물의 하자에 관해 양자의 경합 긍정
3. 종류물의 하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물을 수 있는 경우
Ⅴ.착오에 의한 취소
Ⅵ.사기에 의한 취소
Ⅶ.불법행위 책임 물을 수 있는지 여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요 부분의 착오라 함은 표의자가 그러한 착오가 없었더라면 그 의사표시를 하지 않으리라고 생각될 정도로 중요한 것이어야 하고 보통 일반인도 표의자의 처지에 섰더라면 그러한 의사표시를 하지 않았으리라고 생각될 정도로 중요한 것이어야 한다.
(대판 1999.4.23. 98다45546)
-18) 타인소유의 부동산을 임대한 것이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사유는 될 수 없고 목적물이 반드시 임대인의 소유일 것을 특히 계약의 내용으로 삼은 경우라야 착오를 이유로 임차인이 임대차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대판 1975.1.28. 74다2069)
Ⅵ.사기에 의한 취소
-1)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란 타인의 기망행위로 말미암아 착오에 빠지게 된 결과 어떠한 의사표시를 하게 되는 경우이므로 거기에는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가 있을 수 없고, 단지 의사의 형성과정 즉 의사표시의 동기에 착오가 있는 것에 불과하며, 이 점에서 고유한 의미의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와 구분되는데, 신원보증서류에 서명날인 한다는 착각에 빠진 상태로 연대보증의 서면에 서명 날인한 경우, 결국 위와 같은 행위는 강학상 기명날인의 착오, 즉 어떤 사람이 자신의 의사와 다른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내용의 서면에, 그것을 읽지 않거나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채 기명날인을 하는 이른바 표시상의 착오에 해당하므로, 비록 위와 같은 착오가 제3자의 기망행위에 의하여 일어난 것이라 하더라도 그에 관하여는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에 관한 법리, 특히 상대방이 그러한 제3자의 기망행위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가 아닌 한 의사표시 자가 취소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민법 제110조 제2항의 규정을 적용할 것이 아니라,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에 관한 법리만을 적용하여 취소권 행사의 가부를 가려야 한다.(대판 2005.5.27. 2004다43824)
-2)민법 569조가 타인의 권리의 매매를 유효로 규정한 것은 선의의 매수인의 신뢰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매수인이 매도인의 기망에 의하여 타인의 물건을 매도인의 것으로 알고 매수한다는 의사표시를 한 것은 만일 타인의 물건인줄 알았더라면 매수하지 아니하였을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매수인은 민법 제110조에 의하여 매수의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있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대판 1973.10.23. 73다268)
-3) 토지의 매매계약서에 매수인의 매수목적 즉 건물 건축의 목적으로 매수한다는 내용이 표시되지 않았다고 하여도 매도인이 그러한 매수인의 매수목적을 알면서 건축이 가능한 것처럼 가장하여 이를 오신한 매수인과 사이에 매매계약이 성립된 것이라면 위와 같은 매도인의 행위는 사기죄의 구성요건인 기망행위에 해당한다. 기망행위로 인하여 법률행위의 중요부분에 관하여 착오를 일으킨 경우뿐만 아니라 법률행위의 내용으로 표시되지 아니한 의사결정의 동기에 관하여 착오를 일으킨 경우에도 표의자는 그 법률행위를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로서 취소할 수 있다.(대판 1985.4.9. 85도167)
Ⅶ.불법행위 책임 물을 수 있는지 여부
-1)불법행위에 있어서 고의는 일정한 결과가 발생하리라는 것을 알면서 감히 이를 행하는 심리상태로서, 객관적으로 위법이라고 평가되는 일정한 결과의 발생이라는 사실의 인식만 있으면 되고 그 외에 그것이 위법한 것으로 평가된다는 것까지 인식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대판 2002.712. 2001다46440)
-2)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의무의 전제가 되는 과실의 유무와 그 과실의 경중에 관한 표준은 그 개인에게 관한 구체적인 사정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보통 인으로서 할 수 있는 주의의 정도를 표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며 위의 일반적 보통 인이라 함은 추상적인 일반인을 말함이 아니고 그와 같은 업무와 직무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는 보통 누구나 할 수 있는 주의의 정도를 표준으로 하여 그 과실 유무를 논하고 위와 같은 주의를 결여한 때에는 중대한 과실이 있다고 할 것이다.(대판 1967.7.18. 66다1938 )
-3) 증권회사의 임직원이 강행규정에 위반한 투자수익보장으로 투자를 권유하였으나 그 결과 손실을 본 경우에 투자가에 대한 불법행위책임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거래 경위와 거래 방법, 고객의 투자 상황, 거래의 위험도 및 이에 관한 설명의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당해 권유행위가 경험이 부족한 일반 투자가에게 거래행위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위험성에 관한 올바른 인식 형성을 방해하거나, 고객의 투자 상황에 비추어 과대한 위험성을 수반하는 거래를 적극적으로 권유한 경우에 해당하여 결국 고객에 대한 보호 의무를 저버려 위법성을 띤 행위인 것으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대판 1999.6.11. 97다58477)
*참고 문헌
-지원림, 민법강의
-송덕수, 민법사례연습,민법강의(上),
-곽윤직, 채권각론
-김형배, 민법학강의
-정일배, 판례집
-곽윤직, 민법총칙, 2004 및 채권총론,각론
-권순한, 객관식 민법판례, 2006
*목차
* VOL 1, <사례 해결>
Ⅰ.물음 1에 대하여
1. 문제의 소재
2. A, B사이의 매매의 유효성
3. 타인의 물건이 매매의 목적인 경우
4. 물음 1.(1)의 해결
5. 물음 1.(2)의 해결
Ⅱ. 물음 2에 대하여
1. 문제의 제기
2. 담보책임을 물을 수 있는 지의 여부
3. 착오를 이유로 한 취소 여부
4. 사기를 이유로 한 취소 여부
5. 채무불이행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
6. 불법행위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
Ⅲ.사안 해결
* VOL 2, <판례 정리 >
Ⅰ.매매의 유효성
Ⅱ. 담보책임
1. 담보책임의 본질
2. 하자의 존재의 판단시점
3. 하자의 기준
4. 효과
5. 전부 타인의 권리 매매
Ⅲ. 채무 불이행 (사안의 경우 이행 불능)
1. 이행불능의 의미
2. 사안과 관련된 적용례
3. 소유권 회복의 가능성
4. 효과
Ⅳ.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과의 경합
1. 권리의 하자의 경우 양자의 경합을 인정
2. 특정물의 하자에 관해 양자의 경합 긍정
3. 종류물의 하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물을 수 있는 경우
Ⅴ.착오에 의한 취소
Ⅵ.사기에 의한 취소
Ⅶ.불법행위 책임 물을 수 있는지 여부
*참고문헌
  • 가격2,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11.0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