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생활문화, 마을과 집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국의 촌락경관
1. 촌락경관
2. 한국의 전통적 촌락경관

Ⅱ. 종족마을[촌락]의 구성
1. 종족마을의 형성
2. 마을의 구성
(1) 가족과 친족 - 당내친(堂內親), 문중(門中)
1) 성과 본, 2) 문중조직, 3) 명문종가
(2) 마을조직과 사회집단

본문내용

형성하는데, 이때의 시조를 파시조라 하고 파시조를 중심으로 조직된 조직을 문중 또는 종중이라 한다. 파시조의 시호, 정주지명을 따 ‘00문중’이라 칭한다. 그리고 이들 동성동본의 씨족전체를 포함하여 ‘경주최씨문중’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 때는 각 파가 모두 여기에 속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직된 문중은 파에 따라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으나 문중조직이 없는 경우도 있다.
2) 문중조직
문중은 시조 중심과 파시조 중심으로 묘소, 재실, 재각을 가지며 이를 운영할 위토답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중재산의 관리와 처분 또는 특별한 사업을 행하기 위해 각 문중은 그 구성원인 종중들이 모여 총회를 갖는데, 이를 종회 또는 문중이라고도 한다.
- 총회 : 문중재산관리, 시제 후에 대개 이루어짐
- 시제
- 족보간행 : 대동보와 파보
- 현대의 문중조직 : 화수회, 대동회, 종친회 등
3) 명문종가
종가란 시조로부터 대대로 종조(宗祖)로만 이어지는 집을 의미한다.
- 대종가(大宗家) : 성씨의 시조로부터 장자로만 이어진 가문
- 소종가(小宗家) : 대종가에서 중시조(中始祖)를 기점으로 파생된 종가
종가의 형성배경은 사화(士禍)와 관련된다.
- 무오사화이후 : 김종직, 정여창, 김굉필 등의 종가 형성
- 기묘사화이후 : 조광조 등의 종가 형성
- 을사사화이후 : 이언적 등의 종가 형성
* 불천위(不遷位)의 결정은 정치적 의미, 정치적 세력간의 투쟁과 관련된다. 사림파와 훈구파의 갈등으로 인해 4차례의 사화를 초래하게 된다. 선조 때 사림파의 승리로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게 된다. 후에 동인은 영남지방의 사림으로 남인 형성 되었고 서인은 기호지방의 사림으로 발전했다.
종가의 주요임무는 ① 봉제사(奉祭祀) ② 접빈객(接賓客) ③ 조상의 업적 추모
대부분의 명문 종가는 불천위 조상을 모시는 사당을 가지고 있으며 위토(位土)와 재실, 선산, 종가, 조상의 유품, 족보 등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명문종가
- 진성이씨 : 퇴계, 도산 / - 풍촌류씨 : 서애, 하회 / - 안동권씨 : 충재, 유곡
- 의성김씨 : 개암, 호평 / - 여강이씨 : 회재, 양동
조선시대의 재산상속 및 제사상속이 장자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자연스레 직계자온인 종가에 유명선조의 유품을 비롯한 문화재급이 많게 된다.
(2) 마을조직과 사회집단
마을조직은 마을 전체 수준에서의 자치와 관련된 공식적 조직을 말한다. 여기서 공식적이란 의미는 행정적 조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마을 주민 모두와 공통적으로 관련되고 바로 스 수준에서 마을 운영을 보여주는 조직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런 성격의 마을조직으로는 마을총회, 반상회, 연반계 등이 있고, 여기에 준하는 조직(마을조직의 하위집단)으로는 부녀회, 청년회, 노인회 등이 있다. 한편 마을 주민들이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비공식적집단에는 계를 비롯한 다양한 친목모임 등이 포함되는데, 이는 그 자체 마을조직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활동의 범위와 내용이 마을의 구조와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 두레와 품앗이 등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02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