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말여초 호족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호족의 개념
2. 호족의 성격과 등장배경
(1) 호족의 성격
(2) 등장배경
3. 호족세력의 유형
(1) 낙향귀족 출신의 호족
(2) 군진세력 출신의 호족
(3) 해상세력 출신의 호족
(4) 촌주 출신의 호족
4. 호족세력의 성장

III. 결론

본문내용

을 강화하기 위해서 호족들의 세력을 왕실 주변에 묶어 두었고, 그 정책의 하나로서 왕족간의 혼인을 통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 하였던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호족의 등장배경과 성격, 출신별 유형을 살펴보고 고려 태조와 어떤 관계 속에서 성장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들의 출신을 살펴보면, 중앙귀족이었다가 왕위쟁탈전에서 패배한 가계들이 자신의 근거지로 낙향하여 그들의 경제적인 기반을 토대로 호족세력이 되거나 국가의 사민정책의 일환으로 지방에 진출하여 호족이 되었다. 통일 이후 활발히 전개된 해상무역을 통해 부를 쌓은 세력들이 호족화되거나 토지개간과 국경 수비를 위해 마련된 군진에서도 호족들이 생겨났다. 또 향촌에서 상당한 권세를 누리는 토호로서, 촌민보다 훨씬 많은 우마와 노비를 소유하고 호족화되어 심지어 정치적, 군사적 실력자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호족들은 자신들의 세력권 주변에 성을 쌓고 스스로 성주라 일컬으면서 때로는 장군의 칭호를 갖고 사병을 지휘하였다.
이렇게 호족세력이 중앙의 통제권에서 벗어나 독자성을 돈독히 하자 이들의 반란을 우려하고 왕권의 유지를 위해서 태조는 '重弊卑辭'로서 그들을 적극 포섭하여 대내적 안정을 모색하고,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혼인정책 등을 시행하여 호족과의 결속을 다지는 데 주력하였다. 호족세력이 지방을 세력 기반으로 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여 나갔다는 것과 고려 초 왕조의 기반을 세우는데 위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것은 그 세력이 강대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나말여초 시기 호족은 태조의 호족연합정책과 맞물려 정치적, 사회적 변동을 주도해 나간 세력으로 성장했던 것이다.
☆ 참고문헌 ☆
嚴成鎔, 高麗初期 王權과 地方豪族의 身分變化,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김두진, 통일신라의 역사와 사상, <전통과 사상> 2집, 1986
金甲童, 豪族聯合政權說의 檢討,《나말여초의 호족과 사회변화 연구》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1990
이기백, 태조 왕건과 그의 호족연합정치,《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崔圭成, 豪族聯合政權說에 대한 硏究史的 檢討,《國史館論叢》78집 pp.115~158, 1997
하현강, 태조의 대외정책과 정치사상, 한국중세사연구, 1998
蔡守煥, 羅末麗初 禪宗과 豪族의 結合,《東國史學》4, 1998
李基白, 韓國史新論, 일조각, 1999
申虎澈, 後三國時代 豪族聯合政治, 개신, 2002

키워드

  • 가격1,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22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