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사례 (장기이식 관련)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과 사례 (장기이식 관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chapter 1. 장기이식팀의 사회복지 활동
Ⅰ. 장기이식 전 환자와 가족의 심리 사회적 적응문제 상담
Ⅱ. 장기이식대기자와 장기기증자와의 순수성 평가 상담
Ⅲ. 장기이식인 자조모임 운영
Ⅳ. 장기이식인 멘토쉽(mentorship) 프로그램
Ⅴ. 신장기증자 멘토쉽 프로그램
chapter 2. 멘토쉽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사례
Ⅵ. 간·신장 이식인 멘토쉽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Ⅶ. 신장이식 멘토쉽 프로그램을 통한 말기신부전 환자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

결론

부록 (참고문헌)

별첨자료 (PPT 자료)

본문내용

igue - 피로, 피곤
로 local 병원을 방문하고, 신장이 안 좋다는 소견을 듣고 5월14일 본원의 신장내과에서 진료를 받음. 5월 15일 저녁에 갑작스러운 복통으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여 응급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5월 18일 입원한 후 신장이식 work-up work-up - 검사시안
에 따른 routine consult로 의뢰됨.
3. 사정 및 개입 계획
환자(남/30)는 3남 중 둘째로 미혼, 고졸이고 정유 회사의 대리점에서 7년간 일하며, 관련 업종의 전문가로서 인정을 받고 있었다고 함. 母, 형(31, 기혼)과 함께 성남시에 거주하고 있음. 성실하게 직장생활을 하고 있었고,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보임. 상담 당시에 환자는 갑작스러운 투석 상황에 당황해 하며, 비관적인 태도를 보였고 갑작스러운 투석에 따른 심리적 충격으로 인해 대처능력이 손실되었다고 보여짐. 이에 work-up 상담을 통해서 환자와의 관계 형성 및 상황을 파악하고, 신장이식 멘터 프로그램으로 연계하여 심리적 충격 완화 및 대처능력 향상을 도모함.
4. 개입
chart review를 통해 환자의 현 상황이 심리·사회적 문제의 가능성이 높다가 판단되어 즉시 개입을 실시하였음. 이에 초기 상담을 통해서 환자의 심리·사회 경제적 상황을 파악하고, 연이어 멘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음(2004/5/19) 참여한 멘터(mentor)는 건강검진을 통해서 우연히 말기신부전을 발견하고, 10개월간 복막투석 후 1999년 7월에 뇌사자로부터 이식 받은 54세 된 여자로서 주부이며 용인시에 거주하고 있었음. 멘터로 활동한 기간은 1년 2개월 정도임. 멘터가 자신의 투석 및 이식 경험을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고, 그 당시에 느꼈던 감정을 표현하며 환자를 위로하고 격려하였음. 사회복지사는 멘터의 일방적 전달이 되지 않기 위해서 환자가 감정 및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대처 방법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왔음. 멘터 프로그램이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가지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음.
환자의 심리·사회적 상황을 고려할 때, 멘터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맞춤형 멘터 프로그램에 참여시켰음(2004/6/24). '맞춤형 멘터 프로그램'은 기존의 멘터 프로그램과 달리 비정기적으로 환자의 성별, 연령,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멘터를 선정하고 일대일 만남을 연결하며, 추후 지속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개입함. 맞춤형 멘터로는 24세 때 형으로부터 기증을 받은 30세 남자로서 기혼이며 회사원으로 일하고, 분당에 거주하고 있는 멘터를 선정하였음. 멘터로의 경험은 3회 정도뿐이 없었지만, 멘터로서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였으며, 환자의 상황과 남동생의 기증이 예정되어 있어서 맞춤형 멘터로 적격이라고 판단되었음. 이식 수술이 04년 7월 1일 예정돼 있어서 환자는 이식 수술 및 이식 후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았음. 맞춤형 멘터 프로그램에서 환자와 멘터와의 관계 형성이 보다 쉽게 이루어졌고, 이식 후 생활에 대한 멘터의 경험과 정서적 지지가 제공되었음. 추후 계속적으로 연락을 하기로 하고 종결되었음. 환자는 6월 29일 입원하여, 7월 1일 남동생의 기증으로 이식 수술을 받았음. 한 차례의 재입원(2004/8/18~25, acute rejection acute rejection - 급성 거부반응
에 따른)을 했지만, 형제들과 함께 자영업을 하며 생활하고 있음(2005/4/6). 이식 과정 및 이후 생활에서 멘터와의 관계가 건강 관리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함.
5. 종결 및 평가
갑작스러운 투석으로 인해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기 사례의 환자에게 멘터 프로그램 및 사례관리를 통한 적극적 개입이 심리적 충격을 완화하고 대처방법을 습득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멘터와의 적절한 관계형성을 통해서 이식 후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하고 지속적인 자기 관리를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사료됨. 또한, 위와 같은 개입은 갑작스러운 충격에 놓여진 말기신부전 환자뿐 아니라 투석이나 이식을 준비 중인 모든 환자에게도 이식 전·후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지금까지 장기이식에 대한 임상영역의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는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 문제를 가지게 된다. 신체적 문제는 물론, 심리적 문제, 가족적 문제, 사회적 문제 ,경제적 문제 마지막으로 장기수요의 불균형 문제까지 의료 사회복지사가 개입하여 환자들을 위해 정보를 제공해 줌은 물론, 조력자 및 지지자등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러 가지 의료사회복지 임상 영역이 있지만 장기이식은 이식해주는 사람과 이식받는 사람 또한 그들의 가족까지 돌보아야 하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까다로운 영역이다.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도 모두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듯 하지 만 정말로 장기이식 환자에게 희망과 용기를 줄 수 있는 중요한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연구 활동과 조사를 통해 보다 더욱 좋은 프로그램 연구개발이 시급하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장기를 필요로 하는 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에 비하여 장기를 기증하는 사람들의 수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적절한 시기에 장기를 이식받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한 환자들이 많이 있으며,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장기가 이식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물론 윤리적인 문제와 결합되어 논하기는 민감한 사항이 많지만, 사후 장기기증이 많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과 정책 또한 정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장기이식은 물론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자세히 접근할 수 있었다. 실제로 병원에서 장기이식 클라이언트에게 어떻게 접근하고, 어떠한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가 되었다.
참고문헌
서적
<장기기증과 이식에 관하여> - 사랑의 장기기증운동본부
<의료사회사업 원론> - 이광제
<삼성서울병원 사회복지실 활동보고서 1994~2006>
논문
<장기이식현황 - 성균간의대 이석구>
<장기이식과 관련 문제점 및 임상에서의 사회사업 개입 - 연대 세브란스병원 사회복지실 김명훈>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3.05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