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가 새롭게 태어날 수 있는 방안에 살펴보고, 기획안을 제작하여 판소리의 대중화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도입 - 판소리 연구 배경 (콘텐츠 설정 원인)

연구 1. 판소리의 어제와 오늘
(1) 판소리의 개념
(2) 시대상으로 본 판소리
(3) 판소리의 유파
(4) 판소리의 구성
(5) 판소리 음악의 구성요소
(6) 판소리의 종류
(7) 판소리의 창법
(8) 판소리의 12 마당

연구 2. 판소리의 약화
(1) 판소리의 약화 원인

연구 3. 판소리의 다양한 시도
(1) 판소리와 뮤지컬
(2) 널리 퍼진 서편제와 비상 하지 못한 천년학
(3) 판소리 어린이 창극
(4) 판소리의 해외진출

연구 4. 콘텐츠 기획을 위한 게임음악과 연구
(1) 게임음악의 정의
(2) 게임음악의 변화
(3) 게임음악의 제작 순서
(4) 게임음악의 다양한 변화
(5) 게임음악의 성공적인 변신

연구 4-2. 콘텐츠 기획을 위한 방송매체를 통한 전통음악 프로그램 연구
(1) 방송 매체의 영향력
(2) 판소리의 방송 매체 현황
(3) 방송 배체를 통한 전통음악 프로그램의 한계와 방안

콘텐츠 기획안 - 게임음악과 판소리의 만남
판소리 관련 방송프로그램 제작 <<판소리 전국 주부 경연대회>>

본문내용

도이기에 판소리의 접목을 통한 방송매체의 활용은 가능성 여부가 무한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다는 청소년의 프로나 어린이들의 프로그램을 보면, 대부분 대중음악 프로그램이기에 현실적으로 지금의 프로그램 편성이나 기획으로는 판소리의 대중화는 다소 무리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무엇보다 유소년층이 시청 가능한 시간대에 대한 편성과 그들의 구미에 맞는 기획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보다 많은 관심 유도와 노출이 시행되어진다면 어른보다 나은 습득력을 가진 유소년층들에 의한 확산 효과는 기대해봄직 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기획적 측면에서는 기존 프로그램의 형식과는 달리 콘테스트 형식이라든지 과거 수요예술무대와 같은 기존 음악 프로그램에 판소리를 접목시켜 보는 것도 좋은 효과가 기대된다.
(2) 편성
1) 기존 채널을 통한 방송프로그램 편성
현재 케이블 TV부분에서 어린이 채널에는 JEI재능방송(이하 재능방송), 대교 어린이 TV(이하 대교 방송), 투니버스, 퀴니 등이 있는데 이 중에 프로그램의 특성상 재능방송과 대교 어린이 TV를 타겟으로 삼겠다.
+ 현재 재능방송 편성표를 살펴보면 평일 아침 8시에 <동글동글 문어빵맨>이 방영되고 있는데 이 시간대는 어린이들이 일과를 시작할 때로서 굳이 집중해서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않더라도 아침을 먹으면서라든지 가볍게 시청이 가능 한 시간대이다.
현재 재능방송 프로그램의 80%정도가 만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거기에 맞춰 만화 춘향전을 이용해 판소리를 들려준다든지 밤 시간대의 영어 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판소리 교육 프로그램을 편성하도록 한다.
+ 대교 방송에서는 현재 KIDS섹션과 MOM섹션 둘로 나뉘어 편성되어 있는데 이 중 MOM섹션 부분 중 “가족과 함께”라는 하위 섹션이 있다. 이 섹션을 통해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가족들과 모두 시청할 수 있는 8시 시간대에 판소리 프로그램을 편성시켜 유년층 외 연령층까지의 효과까지도 기대한다.
2) 기존 프로그램 편성의 대책
+ KBS가 2006년 봄개편을 하면서 <국악한마당>의 편성을 일요일 낮시간에서 토요일 낮시간으로 옮겼다. '전국 편성' TV 프로그램으로는 유일한 이 일요일에서 토요일로 재편성 한 것은 극단적으로 말하면 국악 프로그램을 보지 말라는 이야기이다.
주5일제가 되었다고는 하지만 토요일 낮시간과 일요일 낮시간의 감은 전혀 다르다. 토요일 낮은 일요일만큼 차분하지 않다. 유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부족한 현실에서 주된 시청층이 50대 이상의 장년층임이 분명한 국악 프로그램은, 아침을 먹고 산책이건 등산이건 오전 활동을 마친 분들이 차분하게 앉아서 즐기는 장르다. 토요일로 옮기는 '결단'이 장년층이 아닌(혹은 장년층을 포함한) 다른 시청층을 겨냥했다고 여겨지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공영방송' KBS의 <국악한마당> 역시 제작자의 족쇄인 '시청률'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터이다. 일요일 낮의 변변치 않은 시청률, 재탕 삼탕 사탕한 국악의 소재들 어쩌면 경영진이나 방송사 안팎의 관점이 "이런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미 높아진 시청자들의 눈에 국악이라는 따분한 소재 자체를 진중하게 다루는 <국악한마당>의 포맷은 '버릴 수도 취할 수도 없는 계륵'의 신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바쁜 활동이나 일정에 쫓겨 차분히 TV를 보기가 매우 어려운 토요일로 옮겨버린 것이 아쉬운 것만은 사실이다. 따라서 <국악 한마당>의 일요일로의 재편성이 요구된다.
(3) 프로그램 기획
<창작 판소리 콘테스트>
현재 오프라인에서는 창작 판소리 대회가 열리고 있다. 이를 방송으로 끌어와 흡사 KBS의 <도전 주부 가요스타>와 같은 형식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인 진행 방안은 아래와 같다.
+ 먼저 각 도와 광역시를 인근 지역끼리 묶어 총 11개 지역, 지역 당 4주씩 (한달) 지역 “명창 Project”에 돌입한다.
※ 1주차 (1라운드)
- 예심(한달 전 지역별로)을 통해 합격한 주부들이 대결을 펼쳐 2라운드 진출자를 가린다.
※ 2주차 (2라운드)
- 1라운드를 통과한 주부들이 대결을 펼쳐 3라운드 진출자를 가린다.
※ 3주차 (3라운드)
- 2라운드를 통과한 주부들이 대결을 펼쳐 최종 라운드 진출자 4명을 가린다.
※ 4주차 (결승 라운드)
- 지원자들의 노래대결로 최종 지역 명창을 가린다.
- 지역 명창으로 선정된 대상자에게 상금과 진출권 자격이 주어진다.
위와 같은 창작 판소리는 우리 소리를 살릴 수 있는 묘책 중 하나이다. 국악 프로그램은 국악인과 국악 애호가들만을 위해 존재해서는 안된다. 광범한 세대에게 국악의 흥과 신명,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파해야 한다.
참 고 자 료
도서
1. 국악대전집<1> 국악의 이해 (Sam Seong Media Co.)
2. 판소리와 한국문화 (정병헌 저. 역락)
3. 우리시대의 판소리 문화 (김대행 저. 역락)
4. 판소리의 신명풀이 미학 (허원기 저. 도서출판 박이정)
5. 판소리의 비평적 이해 (김진영 외. 민 속 원)
6. 판소리의 이해 (조동일김흥규. 창작과 비평사)
7. 디지털시대의 방송프로그램제작론 (한인규 저. 홍릉과학)
8. 문화콘텐츠 해외 마케팅 (박장순 저. 커뮤니케이션북스)
9. 방송기획제작의 기초 (설진아 저. 커뮤니케이션북스)
10. 현대방송의 이해(홍기선 저. 나남출판)
11. 채널 브랜드 전략 (윤홍근 저. 커뮤니케이션북스)
12. 디지털 콘텐츠 시나리오창작 (주정규 저. 진한엠엔비)
논문
1. 게임음악의 특징과 요소에 대한 분석 (장미나. 상명대학교 대학원)
2. 게임 제작관리의 방법 및 기술에 관한 연구 ( 이해승. 한양대 산업대학원)
3. 디지털 컨텐츠로서의 게임과 게임산업에 대한 연구( 김재희.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사이트
1. 국립국악원 http://www.ncktpa.go.kr/
2. 국립남도국악원 http://www.namdo.go.kr/
3. 국립 창극단  http://www.ntok.go.kr/family/changguk/WorksViewLstChang.jsp
4. 리니지  http://www.lineage.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4.1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