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의 침입과 고려의 대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몽고의 침입과 고려의 대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몽골의 침입
1. 몽골와의 첫 접촉
2. 무신정권의 강화도 천도
3. 몽골군의 계속되는 침입

Ⅲ. 고려의 대응
1. 삼별초 항쟁
1) 강화도 정부의 출륙과 삼별초 항쟁
2) 삼별초 항쟁의 전개
3) 삼별초 항쟁 연표
4) 삼별초 항쟁의 의의
2. 대몽항쟁기의 농민항쟁
1) 대몽항쟁 초기의 농민항쟁
2) 강화정부시절의 농민항쟁과 백제부흥운동
3) 삼별초의 항쟁에 호응한 농민항쟁

Ⅳ. 나오는 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두하여 원종을 폐위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결국 왕실의 외교 활동과 몽고의 압력으로 실패하였고, 원종은 몽고군의 지원하에 개경환도를 단행하였다(1270).
이리하여 몽고와의 전쟁은 종식되기에 이르렀지만, 이번에는 무인과 연결되어 있던 삼별초가 대몽항쟁의 기치를 들고 봉기하였다. 삼별초는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시초는 밤에 도둑을 단속하는 데 있었지만 차츰 그 임무가 확대되어 경찰임무인 포도(捕盜) 금폭(禁暴) 형옥(刑獄) 국수(鞠囚) 이외에 군사임무인 도성의 수비를 비롯해 친위대·특공대·정찰대의 구실도 하였다. 대몽항쟁에서도 삼별초는 두드러진 활약을 하였다.
1270년 정부가 개경으로 환도를 단행하자, 장군 배중손과 야별초 지유(指諭) 노영희(盧永禧) 등이 강화에서 삼별초를 거느리고 반기를 들었으며, 승화후(承和候) 온(溫)을 협박하여 왕으로 삼았다. 삼별초는 곧바로 8월에 진도로 옮겨와 장기적인 대몽항쟁을 계획하였으며 일본과의 제후도 모색하였다.
진도는 조운로의 길목에 있었기 때문에, 조운을 막으면 개경정부에 심대한 타격을 줄 수 있었다. 진도는 일본이나 중국과 교류하는 데 요충지였으며, 또한 진도 자체가 비옥한 농지를 가지고 있어 어느 정도의 자급자족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배후에 무인세력의 기반이 있었던 전남을 두고 있었던 것이다.
삼별초가 진도에 근거를 두고 대몽항쟁을 적극적으로 표방하자 경상도의 밀성인(密城人, 밀양인)까지도 호응하였다. 삼별초군은 남해안 일대와 전라도 일대를 자신의 영향력 하에 두게 되었다. 군현에서 삼별초를 맞아들여 항복하거나 혹은 진도에 가서 삼별초의 적장을 알현하기도 하였다. 또 삼별초가 주현에 격문을 보내 민으로 하여금 모두 진도에 들어오게도 하였다. 당시 전라도 토적사(討賊使)인 참지정사(參知政事) 신사전(申思佺)은 삼별초가 온다는 소문을 듣고 나주에서 개경으로 달아나 버렸다. 삼별초가 진도에 근거를 두자, 전라 경상도의 조세 운송은 커다란 차질을 빚게 되었다.
진도에 근거하고 있던 삼별초군은 여몽연합군의 대대적인 공격을 몇차례 물리쳤지만, 결국 원종 12년(1271) 5월 진도에서 쫓겨 제주도로 건너갔다. 제주도에 입거한 뒤에도 삼별초는 전라도 서남해안 일대에 세력을 뻗치고 있으면서, 조운로를 막아 원종 13년 3월에서 5월까지 조운선이 20척, 곡미(穀米)가 3,000여 석을 약탈하였다. 또 원종 13년 8월에는 삼별초가 전라도의 공미(貢米) 800석을 약탈하였다. 원종 13년 4월 제주도에 있던 삼별초는 흔도,홍다구 등 여몽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완전히 무너지게 되었다
유례가 없는 몽고의 엄청난 공격에 대해 고려 정부에서는 조직적인 대응을 하지 못한 채 강화도에 수도를 옮겨 그곳만을 지킬 뿐이었다. 내륙에서는 정부의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지역민들이 힘을 합쳐 항전을 전개하였다. 유감없는 전쟁을 전개하였으나, 그 희생은 말로다 다할 수 없는 것이었다. 결국 몽고와 강화를 맺고 개경으로 환도하게 되었는데, 이번에는 삼별초가 이에 불복하여 대몽항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삼별초의 항전도 여몽연합군의 공격으로 무너지고, 이제 고려는 몽고의 간섭을 받고 경제적 수탈을 당하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고려건국 후 원이 등장하기 전까지의 약 3세기동안 형성되어 있던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제질서는 13세기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질서로 재편되기 이르렀다. 이전까지 동아시아 세계권 바깥에 존재하였던 몽고족이 세운 원제국의 등장으로 인하여 종래 고려·송·금을 중심축으로 비교적 안정된 국제질서를 유지하였던 동아시아 세계는 그 힘의 균형이 일방적으로 파기되었고, 힘의 중심점이 원으로 이동되면서 나머지 국가들은 패망하거나 원의 세력권 아래 놓이는 커다란 변동이 이루어졌다.
이전까지 고려·송·거란, 고려·송·금의 세력균형을 축으로 한 다 국가간 복합적인 외교관계가 10∼12세기 국제질서의 중요한 특성이었다면, 이와는 반대로 13세기 이후는 이러한 질서가 완전히 무너지고 원과 그 주변국이라는 일방적인 관계로 전면적인 재편이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의 역사상 일어났던 전쟁은 손으로 셀 수 없을 정도이다. 우리의 역사 속에서의 전쟁이 많았던 만큼 그만큼 치욕스러운 전쟁들 또한 많았다. 수많은 애국자들을 낳았고 그와 함께 변절자들 또한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숱한 전쟁과 변절자들 속에서도 우리는 현재 단일민족으로서 지금까지 한반도를 지켜왔고 세계적으로도 그 유례가 없는 만큼 내 조국에 대한 자긍심도 커져왔다.
세계 대제국이었던 몽고와의 전쟁에서 패한 결과는 일반 백성들은 감히 쳐다보지도 못할 정도로 귀하고 또한 아비였던 우리 왕들을 몽고에 귀양살이 시켰던 셈이 된다. 이것은 일제시기보다 더 큰 치욕을 앓았던 몽고와의 전쟁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또한 고려 백성들의 피나는 노력의 항쟁이 있었기에 고려와 몽고와의 전쟁에서의 비극적이고 고통스러웠던 국난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Ⅴ. 참고문헌
강만길 외,『한국사 5』, 한길사 , 1994.
이덕일 ,『교양 한국사』, 휴머니스트 , 2005.
이승한 ,『고려 무인이야기4 』, 푸른 역사, 2005.
장두환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 2002.
한국역사의 이해 편찬위원회 ,『한국역사의 이해』, 계명대학교출판부 , 1997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연구 (2) 』, 일지사 , 2000
민현구 , 『고려정치사론』, 고려대학교출판부 , 2004
이정신 ,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 경인문화사 , 2004
김당택 , 『원간섭하의 고려정치사』, 일조각, 1998
변태섭 , 『한국사통론』, 삼영사 , 2000
한국중세사학회 , 『고려시대사 강의』, 늘함께 , 2001
한국역사연구회 , 『한국역사입문』, 풀빛 , 1998
윤용혁, 「고려 대몽항쟁사 연구」(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한국사 편집위원회 , 『한국사6-중세사회의성립2』, 한길사 , 1995
『한국사7-무신정권과 대몽항쟁』, 대한민국 문교부 국사편찬위원회, 1974
박기현 ,『손에 잡히는 고려 이야기』, 늘푸른 소나무 , 2000년
한영우,『다시 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2004년

키워드

중세,   역사,   몽고,   침입,   고려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8.05.2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