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수립의 구축과 활용 가능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도시개발(계획)과 환경변화
1. 토양피복도 변화와 도시열섬
2. 도시열섬과 쾌적기후구역(comfort zone)의 조성
3. 시정거리 및 시정장애
4. 도시의 대기오염 현상

Ⅲ. 독일 Stuttgart시의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 사례
1. 쾌적한 생활공간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의 발상전환
2. 기후요소 고려 도시계획과정
가. 기후톱(Klimatop) 분류와 토지이용에의 적용
나. 환경친화적 도시계획을 위한 기후지도의 활용
3. 도시기후를 고려한 도시계획적 적용

Ⅳ. 도시개발(계획)과 바람순환구조에 관한 사례분석
1. 분석개요
2. 사례지역별 바람순환구조 분석
3. 종합분석

Ⅴ. 서울시의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수립의 구축과 활용 및 방향
1. 기상특성 고려 도시계획제도의 기본방향
2. 도시개발의 사전환경성 검토: 공기순환의 확보
3. 기상특성 고려 도시계획지침의 정비
4. 도시기후분석 도면의 작성과 활용
5. 도시관리종합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
6. 지역건축조례에 의한 도시기후 보호
7. 권역별 바람통로 확보를 위한 도시계획적 운용

Ⅵ. 요약 및 정책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다. 먼저 1차년도(2000년)의 경우 서울시의 주요 기상특성, 열섬현상과 토양피복과의 관계 파악이 이루어졌으며 한강변, 여의도, 상계동을 대상으로 모의실험을 통해 도시 미기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향후의 2차·3차년도(2001∼2002년) 연구에서는 도시기후지도 제작지침, 도시계획·건축계획시 바람환경 고려 세부지침, 도시미기후 사례분석(중밀도 아파트 재개발 등), 녹지네트워크 조성과 열섬현상완화·대기정화에의 효과분석 등이 이루어질 예정으로 있다. 이러한 서울시의 환경친화적인 도시관리를 위한 연구방향은 도시개발시 토양피복도 기준 설정, 도시기본계획 수립시 녹지네트워크 계획 등에 반영할 계획임은 매우 고무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2. 정책과제
시민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도시개발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적 서울시 도시계획의 추진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상업지는 가능한 한 대규모 주택단지나 고층화보다는 주변지역의 여건이나 대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한강 양안의 고층 건물군에 의해 찬공기의 일방적 흐름이 한강축을 따라 발생하므로, 바람 흐름의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한강 양안의 고층건물 신축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서울외곽에서 생성·유입되는 신선한 공기를 서울지역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도시주변 개발방식의 방향을 바꿔야 한다. 그리고 공기흐름을 주거지역 내부로 유입·촉진하고 유입된 공기가 원활히 흐르도록 하기 위해 고밀 개발방식을 지양하여야 한다.
둘째, 대기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계획 수립시 건축물의 배치, 층수, 건물의 간격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바람이 도시로 잘 흘러들면 대기오염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도시의 쾌적도가 훨씬 높아지게 되므로, 시원한 공기가 빌딩숲이나 아파트단지에 막히지 않고 도시 속으로 흘러들도록 하기 위해서 찬바람 통로를 확보하고 기후생태를 고려한 건축물의 배치가 필요하다. 특히 골짜기 산 언덕 등을 관통해 조성된 신선한 공기가 도시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통풍이 양호한 도시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셋째,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 물리적 요소 위주의 도시개발 방식을 지양하고, 또한 기후요소의 추가 등을 통해, 현행 각종 도시개발 관련 법규에서 규정한 내용이 기후조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기존 도시개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용표·김진영·김영성, "서울의 스모그 현상은 악화되고 있는가?",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0, pp.76-77.
김창환·김정호·안준영·김병곤·한진석·최양일, "서울지역의 시정과 입자상 물질과의 관계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0, pp.78-79.
박종화, "Landsat 綠色植生指數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녹지 변화 조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8(1), 1992, pp.27-43.
부경온·전영신·박지용·조하만·권원태, "자동기상관측장치자료를 이용한 서울의 기온 수평분포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5(3), 1999, pp.335-343.
서울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수립 1차년 연구보고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2.
서울시, 「서울시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기법 연구」, 2000.
서울시, 「도시계획 환경성 검토 업무지침」, 2001.
오성남·임영권·윤원태·전영신, "서울지역의 지형 및 토지 이용도에 따른 3차원 바람장 산출에 관한 연구",「한국기상학회지」, 36(2), 2000, pp.229-244.
이창우, 「서울시 환경용량평가에 관한 연구(Ⅱ」,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이현영, "토지이용 변화가 국지기후에 미치는 영향",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1(3), 1995, pp.83-100.
조하만·조천호·정귀원, "서울의 도시화에 따른 기온의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24(1), 1988, pp.27-37.
Cermak, J.E., et. al.(ed.), Wind Climate in Cities, NATO ASI Series,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5.
Gallo, K.P. et al,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1), 1993, pp.2223-2230.
Givoni, B., Climate Considerations in Building and Urban Design, Von Nostrand Reinhold Co., N.Y., 1997.
Lambin, E. F., Ehrlich, D., "The surface temperature-vegetation index space for land-cover and land-cover change analysis", Int. J. Remote sensing, 17(3): 463-487 analyses. Pecora 14 Proceeding, 1996, pp143-153.
Olgyay, V., Design with clim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3, p.190.
SKINNER, C.J., Climate as a Factor in Urban Design, 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 Eng., Queensland 17-19 June, 1992.
Wirtschaftsministerium Baden-Wurttemberg, Stadtebauliche Klimafibel: Hinweise fur die Bauleitplanung. Stuttgart, 1998.
都市綠花技術開發機構(財) 特殊綠花共同硏究會, Neo-Green Space Design①: 特殊空間綠花Series 綠地空間Design 普及 Manual, 1995.
日本建築學會, 「都市の風環境評價と計劃: ビル風から適風環境まで」, 1993.
  • 가격2,9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7.08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