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생태주의와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목표와 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환경교육의 이해
1. 체험을 통한 환경교육
2. 자연체험을 통한 환경교육의 접근
3. 편견없는 자연에 대한 생각

Ⅲ. 전통적 교육방법의 환경교육적 한계

Ⅳ. 생태주의와 홀리스틱 환경교육
1. 생태문제란 무엇인가?
2. 홀리스틱교육
3. 홀리스틱 교육이론
4. 생태주의와 홀리스틱 환경교육

Ⅴ.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목표: 생태적 합리성과 감성 및 영성의 조화

Ⅵ.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합리성 원리 및 방향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한다.
정의의 원칙(principle of justice)은 한 행위나 정책이 절차적으로 공정하면서 그 결과도 정의로울 것을 요구한다. 이것은 민주주의 절차를 요청하며 또한 자연 사용에 따른 혜택과 부담 분배가 공정하게 이루어질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이것은 자원 사용에 따른 이익과 불이익이 불공정하게 분배됨으로써 사회적 강자 집단(예컨대 선진국, 지배계급, 백인종, 남성, 성인, 현세대 등)은 주로 경제적 이익을 누리고 사회적 약자 집단(예컨대 후진국, 피지배계급, 유색인종, 여성, 아동, 미래세대 등)은 경제적 및 건강상의 피해를 입는 사태를 유발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끝으로 생태적 건전성의 원칙(principle of ecological soundness)은 인간의 문화 행위가 생명의 터전인 생태계의 생명부양 능력을 잃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문화를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요구한다. 이것은 인간의 행위와 정책이 문화와 생태계의 양립 가능한 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요청한다.
인간의 살림살이는 경제로 실현된다. 이에 인간의 행위는 경제적으로 최대 다수에게 혜택을 주는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수에게 이익을 준다고 해서 소수 사회적 약자에게 일방적으로 불이익을 전가한다면, 이런 곳은 민주주의 정의사회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효용성의 원칙이 구현되더라도 정의가 유린되어서는 안 된다. 마찬가지로 인간 사회가 경제적 효용성을 구현하고 또 정의롭게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자연의 생명부양 체계를 깨뜨릴 정도로 자연 억압적이라면, 그런 문화 자체는 자연으로부터 퇴출을 당함으로써 더 이상 지속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어떤 사회도 효용성과 정의, 그리고 생태적 건전성의 원칙을 규범적으로 준수해야 한다. 오히려 중요도에 따를 경우,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사회는 생태적 건전성의 범위 안에서 정의를 구현하고, 또 그 안에서 효용성을 실현하는 문화를 구축해야 한다. 이런 생태적 합리성의 원칙이 충족되는 사회는 생태적으로 건전하면서 정의가 구현되고 공동체 구성원 서로가 더불어 함께 사는, 그럼으로써 지속 가능한 문화(sustainable culture)로 이행하는 단계에 들어서게 된다. 필자가 주장하는 홀리스틱 환경교육은 바로 이와 같은 세 가지 규범적 원칙의 수용을 생태적 합리성의 실현으로 간주할 것이다.
Ⅶ. 결론
오늘의 인류가 직면한 환경 위기는 구조적으로 발생했다. 따라서 문명 구조를 획기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위기 극복이 불가능하다. 위기 도래를 막고자 한다면, 개인적 실천에서 집단적 제도 개선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이 근본적이어야 한다. 근원적 행위 변화의 도모는 교육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이런 연유로 환경교육은 중요하다. 그러나 그것은 기존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의거할 수 없다. 새로운 것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새로운 교육의 대안으로 홀리스틱 환경교육을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생태적으로 친화적인 합리성과 감성, 영성의 조화로운 연결 관계 속에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홀리스틱 환경교육의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향후 다양한 방도로 모색될 수 있다. 합리성 교육은 이성에 호소하는 만큼 언어와 소리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특히 소크라테스 방법(socratic method)은 교사와 학습자가 혼연일체가 되어서 서로 협력 속에 진리의 영역으로 다가갈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생태적 감성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연에 대한 직접적 체험을 하는 것이 최선이다. 다만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을 받을 경우, 간접적으로 미디어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기대하는 효과를 상당한 정도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생태 영성의 고양에 있어서는 명상과 침묵, 시 낭송, 꿈의 해석, 그리고 참선과 같은 방도를 쓸 수 있다. 어떤 경로도 다가가든 다양한 방도를 통해 잃어버린 생명에 대한 존중심을 회복할 때 비로소 환경교육은 자연 친화적이 되며, 그로써 본연의 목적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칭찬(편저) (1994). 수업과 교육공학의 이해, 문음사.
한면희 (1997). 환경윤리, 철학과현실사.
한면희 (2000). “생명 존중의 동아시아 환경윤리”, 대동문화연구, 37, 359-384.
한면희 (2001). “환경정책철학의 원리와 과제”, 환경정의시민연대 (엮음), 우리 시대 환경의 과제, 도서출판 환경정의.
한면희 (2002가). “문명 패러다임 전환과 생태주의”, 과학사상, 41, 43-60.
한면희 (2002나). “한반도 녹색공동체의 이념: 기(氣)생태주의와 백두대간의 문화”, 환경철학, 1, 45-76.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Fox, M. T. Creation Spirituality. In R. Botzler et al. (eds.) (1998). Environmental Ethics, McGraw Hill.
Handerson, J. R.(3rd ed.) (1990).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Freeman.
Hare, R. M. (1952). The Language of Morals, Clarendon Press.
Magee, B. (1987). The Great Philosophers, Oxford University Press.
Miller, J. P. (1996). The Holistic Curriculum, OISE Press, 김현재 외 (공역) (2000). 홀리스틱 교육과정, 책사랑.
Naess, A. (1989). Ecology, Community and Lifesty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Skinner, B, F. (1938). The Behavior of Organisms, Appleton Century Crofts..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가격2,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8.03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