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사회적 추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 사회적 추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적 추론의 특징

2. 범주화

3. 도식

4. 판단의 오류 및 편파: 정확성과 자신감

5. 사회적 추론과 판단방략 (Heuristics)

본문내용

권이라는 내용의 산문을 쓰게 함.
: 그리고 나서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의 개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니 이전보다 훨씬 더 강하게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1주일 전의 자신의 태도를 기억하라고 했을 때 현재와 똑같다고 응답하였다.
=>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변화를 명확히 느낀다고 생각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2) 과신현상
: 자신이 내린 결정에 대해 사람들은 지나치게 낙관적이다.
* Lichtenstein & Fischoff(1977): 12개의 아동화를 보여주면서 그림들이 유럽과 아시아 중 어느 나라 아동의 그림인지 맞추게 하였다.
: 정확한 판단의 비율은 평균 53%였지만, 판단의 자신감은 68%.
: 피험자들에게 주식시장의 12개 주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주가가 오를지 떨어질지를
판단하게 하였다 : 정확한 판단율은 평균 47%, 자신감은 65%
* Goldberg(1959): Bender-Gestalt 뇌손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뇌손상은 진단하는 정확성 연구.
: 현역 임상심리 전문가 4명
: 수련중인 전문가 10명
: 비전문가(비서) 8명에게 30개의 검사결과를 제시
- 이중 15개는 뇌손상 환자, 15개는 정신병 환자에게서 얻은 것.
: 각 환자가 조직손상 환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하고, 그 자신감 정도도 판단시킴
결과 : 세 집단 간 정확성의 차이가 없었다(65-70%를 정확히 분류).
: 정확성과 신념 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가?
아마도 사람들이 확인적 가설검증 방략을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즉, 사람들은 자신의 가설을 부정하는 정보가 아닌 지지해주는 정보를 찾고 그러한 증거가 누적되면 정보의 가치가 전혀 없더라도 더 많은 지지적 증거를 확보했으므로 그에 대한 확신을 더 하게 된다.
* 과신현상의 수정
ⅰ)사람들의 판단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을 준다(Lichtenstein & Fischhoff, 1980)
ⅱ)왜 자신의 판단이 틀릴 수 있는지 생각하게끔 한다(Hoch, 1985; Koriat et al., 1980)
5. 사회적 추론과 판단방략 (Heuristics)
: 우리는 어떤 판단을 할 때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고 직관적인 전략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오류를 범한다.
♣ Heuristics 란? 확률을 추정하고 어떤 값을 예측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과제를 간단한 판단작업으로 단순화시키는 것(Tversky & Kahneman, 1974).
(1)heuristics의 종류
① 대표성 heuristics
:주어진 대상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도식에 비교해서 어느 것과 더욱 유사한가에 의해서 판단을 내리는 것--> 이것은 손쉬운 판단을 가져다주지만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 대표성 heuristics를 가지게 되는 이유
ⅰ) 사람들은 표본의 특성이 모집단 특성과 유사하다는 믿음을 매우 강하게 지니고 있기 때문에.
ⅱ) 기저율이 무시되는 인간의 추론경향성 때문에
* 고재홍(1989): 사람들은 기저율을 사용한 경우보다 자신이 지닌 도식을 사용한 경우에 판단에 대한 확신도가 높게 나타난다. 이는 통계적 정보보다 자신의 경험을 더욱 신뢰하는 경향 탓이라고 볼 수 있다.
* 교집합의 오류:
: 두 개의 복합사상이 동시에 발생할 확률이 어느 한 사상의 단순 발생확률보다 적음에도 불구하고 동시발생 확률을 높게 추정하는 현상.
=> 대표성 휴리스틱의 사용 때문이다. 즉, 자신이 가진 도식과 유사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처리.
② 가용성 heuristics(availability heuristics)
: 사건의 발생가능성이나 특정대상물의 상대적인 빈도를 판단할 때 그 사건, 대상물이 갖는 상대적인 가용성, 즉, 얼마나 쉽게 접할 수 있느냐에 따라 판단하는 것.
: 사람들은 각 사건이 지닌 지각적 현저성, 회상이나 상상의 용이성에 근거해서 판단을 한다. 생각이 잘되니까 그것에 근거한다.
* 생생한 정보의 효과
Reyes 등(1980): 피험자들에게 배심원 역할을 하도록.
: 피고는 크리스마스 파티가 끝나고 술이 취해서 운전을 하다가 쓰레기 수거차량을 들이받은 혐의
: 사건 당시 알콜농도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황증거로 음주운전 혐의.
: 사건개요를 보고 받는데,
집단 1: 평범한 묘사: 바깥으로 나가는 길에 피고는 음식상에 걸려 비틀거렸으며
그릇을 하나 바닥에 떨어뜨렸다.
집단 2: 생생한 묘사: 바깥으로 나가는 길에 피고는 음식상에 걸려 비틀거렸으며
구아카몰 소스가 담긴 그릇을 바닥에 떨어뜨려 하얀 카펫이
온통 구아카몰 소스로 엉망이 되었다.
-> 이러한 진술문 18개를 읽고 유죄 및 무죄를 개인적으로 판단하게 함.
: 이틀 뒤 소환되어 기억하는 대로 진술문을 쓰라고 하고 다시 한번 죄의 유무를 판단
하도록 하였다. 예전과는 상관없이.
: 결과: 처음 결정했을 때는 생생한 진술문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48시간 후에
는 생생한 진술문의 형태로 제시된 경우가 더 큰 영향력을 보였다.
=> 생생한 정보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기억 속에 남아있기 쉽고 인출이 용이.
③ 정박점 heuristics(anchoring heuristics)
: 판단을 하긴 해야하는데 그 근거를 삼을 것이 매우 애매한 경우 사람들은 보다 확실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유사한 사안을 기준으로 조정하고 판단한다.
(2) heuristics의 적응력
사람들이 내리는 판단이 정말 그렇게 비합리적이고, 비논리적이냐?
①합리적, 논리적이라는 의미가 논리학에서와 사회 현실에서는 다를 수 있다.
②생활에서 접하는 정보들이 논리학에서와는 달리 불확실하고, 편파적이고, 불완전하기 때문에 애초에
규범적 모형을 적용하기 어렵다.
③논리학에서는 정보의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비용이 고려되지 않는다.
④합리적 모형은 판단의 정확성에 주안점을 두고, 사회적 판단자는 효율성에 둔다.
사람들이 그렇게 비합리적이라면 어떻게 오늘날과 같은 과학문명을 이룰 수 있었을까?
① 역사상 위대한 발견이나 발명은 비규범적 추론을 하는 일반인이 한 것이 아니다.
② 과학자, 철학자들은 논리성과 합리성의 추구에 대한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1.17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