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요괴를 통해 본 양국의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의 요괴
2.1. 도깨비
2.2. 귀신

3. 일본의 요괴
3.1. 오니
3.2. 뎅구
3.3. 갑빠

4. 요괴를 통해서 본 양국의 문화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개인의 불안이 아니라 농경 사회 전체의 불안이므로 그 불안을 어떤 대상에 투영 시켜 해소해야 했었을 것이다. 그 결과 불안감의 집중으로 만들어진 요괴들은 사납고 난폭하고 잔인한 성격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농사가 잘 되는 지역이 많이 있었고 자연 재해가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고 강도 또한 약했다. 따라서 농경 사회에서 농사를 짓기 힘들 때 나타나는 불안감은 적었을 것이고, 그 결과 나타난 요괴의 성격도 도깨비처럼 사람과 친숙하고 잔인하지 않은 것이라 생각한다.
5. 결론
한국과 일본의 요괴의 비교를 통해 양국의 문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의 요괴 중 도깨비와 귀신을 알아보고, 일본의 요괴 중 오니, 뎅구, 갑빠 등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요괴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 보다는 차이점이 뚜렷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한국에서는 요괴의 존재가 매우 적고, 그 성격도 비폭력적인데 비해, 일본에서는 요괴의 존재가 매우 많고, 대부분 성격이 폭력적이다. 그 이유를 유교 문화, 사회 혼란, 지리적 환경 등의 측면으로 생각했는데, 한국에서는 유교 문화, 사회 혼란 등의 이유로 인해 요괴의 수가 적었고, 일본에서는 반대로 요괴의 수가 많았다. 또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한국의 요괴는 성격이 비폭력적인데 비해, 일본의 요괴는 성격이 폭력적이었다.
덧붙여 한 가지 말하자면, 현대 사회에 있어서 요괴는 과거처럼 공포나 두려움, 민간 신앙 등의 대상이라기보다 하나의 문화 컨텐츠로서의 역할이 더 클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 요괴의 존재가 매우 적고, 그 통일된 모습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 실제로 이 글을 쓰면서 한국의 도깨비의 그림을 첨부 하려고 했으나 ‘이것이 한국의 도깨비다’라고 할 수 있는 그림을 찾기 힘들었고, 대부분 일본의 오니의 모습과 유사한 것이어서 큰 아쉬움이 남았다.
요괴나 요괴담 등은 캐릭터나 시나리오 등의 문화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이런 면에서 현재 한국의 요괴는 체계화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한국의 요괴의 체계화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용의(1996), 한 일 요괴설화 비교연구의 과제, 일본어문학 제2집, 한국일본어문학회
중앙대 한일문화연구원 (2005), 일본의 요괴문화 : 그 생성원리와 문화산업적 기능,
한누리미디어
최삼창(2000), 일본인의 영혼관과 유령 혹은 요괴, 일본학연보 제9집,
일본연구학회연구학회
최재선(2002), 한국어의 도깨비(鬼)와 일본어의 oni(鬼)의 어원과 그 설화의 비교,
동아인문학 제1집, 동아인문학회
최지희(2004), 한 일 전래동화의 요괴담 비교연구, 석사논문, 울산대 교육대학원
< 참 고 사 이 트 >
http://www.naver.com
http://www.occultist.co.kr/tt/3
http://blog.naver.com/romantiker
http://blog.naver.com/bustest
http://blog.naver.com/hampton32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0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95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