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문학에 나타난 도깨비의 상 - 전래동화와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연구방법

3. 전통적인 도깨비의 상
3.1. 도깨비의 외관
3.2. 도깨비의 성격

4. 동화 속의 도깨비
4.1. 전래동화에서의 도깨비담 유형
4.1.2. 도깨비를 이용해 부자되기
4.1.1. 도깨비방망이얻기
4.1.3. 도깨비와 대결하기
4.1.4. 도깨비에게 홀리기
4.2. 창작동화 속의 도깨비
4.2.1. 도깨비담의 이야기 구조를 이용한 창작동화
4.2.2. 도깨비의 성정을 이용한 창작동화
4.2.3. 이야기의 주체로 거듭나는 도깨비
4.3. 동화 속 도깨비의 외관

5.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을 수 없다. 삽화에서는 다른 매스미디어와 마찬가지로 뿔 달린 형상이 대부분이었다. 뿔이 달리지 않은 도깨비는 상투 쓴 모양을 한 <윤대감과 도깨비>와 더벅머리를 한 <잊어먹기 도사> 두 가지 뿐이었다. 이것은 도깨비의 상징이 시각적으로는 뿔로 단일화된 현상을 보여준다. 특히 전래동화의 삽화는 일본 ‘오니’와 다를 바 없었다. 창작동화의 삽화는 좀더 다양하다. 이들은 뿔의 개수가 다양하며 동화 속 이야기에 맞추어서 아이나 물고기, 노인 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다. 요컨대 삽화에서의 도깨비는 아직 뿔을 버리지는 못하였지만 천편일률적인 ‘오니’의 형상에서 차츰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5. 결론
이상에서 도깨비의 외관, 성격, 서사구조 등을 중심으로 도깨비의 현재적 모습을 살펴보았다. 전통적으로 도깨비는 그 형체가 다양하고 굳이 사람의 모습으로 규정지을 만한 이유가 없었다. 그러나 전래동화에서는 그 중에서도 사람의 형체를 띤 도깨비를 주로 택하여서 그려내고 있었다. 서사적으로 그 정체는 주로 왕성한 총각이었으며 삽화로 드러난 외관은 외뿔이 달린 ‘오니’의 형상이었다. 창작동화에서의 도깨비는 비록 거의 모두가 여전히 뿔을 달고 있다는 한계를 드러냈지만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이미지에서는 벗어나고 있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도깨비의 성격은 전래동화에서는 여전히 미련하고 사람과 친근하면서도 동시에 신의 위치를 저버리지 않고 있다. 그러나 창작동화에서는 신적인 영역이 탐험의 세계나 신비의 세계로 전이되어 나타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도깨비가 더 이상 신적인 존재는 아니지만 자연이나 환경과 교감할 수 있는 존재로서, 보통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면에서 도깨비담은 권선징악의 교훈성을 살리기에 적합한 구조를 지녔으며 동화에서도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도깨비담의 교훈성과 전통적인 정서를 간직한 채로 현대적 주제를 무리없이 소화한 동화도 찾아볼 수 있었다. 도깨비를 이용한 창작물의 경우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더 이상 도깨비는 주인공의 조력자가 아닌 서사구조의 주체로서 등장하고 있었다.
도깨비의 모습이 일부 왜곡되어 나타나는 것은 부인할 수 없으나 동시에 그러한 현실을 부정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외뿔이 달려있는 도깨비가 문제라기보다는 그 모습이 천편일률적이라는 데 더 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전통적인 도깨비담에 등장하는 다양한 도깨비의 상에서 우리는 그러한 문제점의 대안을 엿볼 수 있었다. 한편 수많은 창작동화에서 도깨비의 상을 나름대로 다양하게 창출해내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새롭게 창출된 도깨비의 상은 껍데기만 도깨비인,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가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본래의 도깨비담에서 다양한 도깨비의 상을 발굴하여 재창조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할 때다.
■ 참고자료
김종대(1994), 한국의 도깨비 연구, 국학자료원.
김학선(1982), 한국설화에 나타난 도깨비, 국제어문 3집, 국제대학 국어국문학과.
조동일(1980),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
최인학(1982), 한국설화론, 형설출판사.
(1989), 한국민속학연구, 인하대학교출판부.
<동화자료>
이영희 글, 김윤식 그림(1998), 도깨비와 해님, 동화나라.
- 도깨비와 해님, 도깨비 장난, 속은 도깨비, 금 나와라 뚝딱, 신기한 탕건, 첫 손님, 앙심품은 도깨비, 도깨비굴의 세공주, 삼형제 이야기
안희웅 엮음, 한병호 그림(1995), 우리나라 도깨비1, 예림당.
- 도깨비가 주고 간 돈, 도깨비는 메밀묵을 좋아해, 도깨비가 된 금,
도깨비는 무엇이든 다 알아, 도깨비 덕에 부잣집 사위 된 거지, 도깨비씨름,
도깨비의 정체, 도깨비는 냇물을 못 건너
안희웅 엮음, 한병호 그림(1995), 우리나라 도깨비3, 예림당.
- 도깨비는 반대로만 해, 하늘이 낸 효부며느리, 도깨비의 사랑, 윤대감과 도깨비,
소금장수와 도깨비, 도깨비가 준 복, 또드랑 땡땡 부자방망이,
도깨비와 수수께끼 내기
유강희 글, 박정규 그림(2000), 재미있는 우리 도깨비 이야기, 세시.
- 도깨비가 준 맷돌, 인도깨비 홀애비, 왕도깨비 불효아들, 도깨비도 못 푼 문제,
도깨비가 된 주꽹과리, 김선달이 부자기 된 이유
이원수 글, 권사우 외 그림(1999), 도깨비와 권총왕, 웅진.
이슬기 글, 계창훈 그림(1995), 도깨비가 된 다이아몬드, 꿈동산.
이영숙 글, 김제진 그림(1996), 아기도깨비의 소원, 남광.
이준연 글, 이철희, 오성봉 그림(1992), 도깨비 눈사람, 문공사.
손정원 글, 유애로 그림(2002), 으악! 도깨비다, 느림보.
이상희 엮음, 강우근 외 15명 그림(2002), 귀신 도깨비 내 친구, 웅진닷컴.
- 도깨비를 골탕먹인 농부, 씨름꾼 도깨비, 도깨비 맷돌, 도깨비가 돈갚는 방법
김용규 엮음, 정경화 그림(2002), 도깹아 도깹아 뭐 하니?, 아테나.
- 도깨비는 다 알지, 잘 까먹는 도깨비, 항아리 속의 도깨비, 때려라 방망이,
도깨비의 신기한 선물, 도깨비는 심술쟁이
김용택 글, 김성민 그림(2001), 도깨비가 밤마다 끙끙끙, ?.
박민호 글, 전병준 그림(2002), 도깨비 똥 봤니?, 영림 카디널.
- 도깨비 똥 봤니?, 잊어먹기 도사, 팥죽을 주고 얻은 저수지, 거지형제와 도깨비,
도깨비가 준 세 가지 선물
김용란 글, 유승하 그림(2002), 울퉁불퉁 매끌매끌, 보리.
김용란 글, 박경진 그림(2002), 더 깊이 가보자, 보리.
김용란 글, 서계숙 그림(2002), 과일나라 도깨비, 보리.
김용란 글, 유진희 그림(2002), 야 맛있는 채소다, 보리.
심조원 글, 김은주 그림(2002), 내 알이 아니야, 보리.
심조원 글, 박경진 그림(2002), 나랑 같이 놀자, 보리.
심조원 글, 최미숙 그림(2002), 아이고 시끄러워, 보리.
심조원 글, 김종억 그림(2002), 꾀 많은 물고기, 보리.
심조원 글, 차정인 그림(2002), 너는 누구니, 보리.
윤구병 글, 이형진 그림(2002), 잠꾸러기 불도깨비, 보리.
사토와키코 글그림, 이영조 역(2002), 도깨비를 빨아버린 우리 엄마, 한림출판.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2.10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