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장사상의 기본 이론과 현대적 응용 사례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장사상의 기본 이론과 현대적 응용 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노장사상의 기본 이론
1. 노장사상의 발생 배경
1) 노장사상의 시작 - BC 8 ~ BC 3세기 사이
2) 시대적 배경 - 은주 시대의 우환의식(憂患意識)을 추진력으로
3) 사회적 배경 - 노장사상이 발생할 수 있었던 현실적 변화
4) 지리적 배경 - 노자의 출신지를 중심으로
5) 핵심 정리
2. 노장사상의 발전사
1) 춘추말기 ◀ 도가학파 등장
2) 전국시대 ◀ 여러 학파로 분열
3) 한대 초기 ◀ 황로학의 전성기
4) 위진 남북조 시대 ◀ ‘현학’이라 불리는 노장학
3. 노장사상의 기본 사상
1) 노장사상이란
2) 노자
3) 장자

Ⅱ. 노장사상의 응용
1. 노장사상의 현대적 응용
1) 기상이변과 노장사상
2. 노장사상의 문화적 응용
1)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노장사상

본문내용

보고, 자연의 자연스런 운행에 인간의 욕망이 무리하게 개입 되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리고 노자의 ‘윤리가치론’은 인간이 겉치레를 꾸미거나 경박하게 살지 않고, 소박하게 살아야 하며 사심과 욕망을 줄여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결국 노자의 도가 사상에서 우리는 인간이 자연과 공존하는 삶을 모색하고 자연에 순응함으로써 현대의 기상이변으로 닥쳐온 위기를 극복할 교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5> 보고서 작성 소감
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자료를 모으기 전까지는 노자의 도가 사상에 대해서 비현실적이고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상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나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노자의 도가 사상이 현대 인류가 처한 총체적인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 얼마나 큰 사상적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실감하였다. 더불어 노자의 가르침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그대로 실천할 수 있다면 인류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노자의 사상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우리가 경시해왔던 많은 동양의 사상들이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더욱 더 큰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 자료: 가우리블로그정보센터 http://cafe.naver.com/gaury
박길용 지음 <환경문제의 제사상>
공저 <동양사상과 환경문제>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 윤리와 사상 교과서, 시민윤리 교과서
동아일보, 경향신문, 조선일보 인터넷 신문 기사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연구소 http://climate.snu.ac.kr/
2. 노장사상의 문화적 응용
1)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노장사상
미야자키 하야오(지브리 스튜디오)의 작품들은 대부분 인간과 자연이 공존, 인간이 풀어야할 잘못된 자연에 대한 가치관 등 에 대한 만화가 대부분이다.
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① 인간과 자연의 대칭(대립)과 그것의 조화를 말하고 있으며, 인간의 세계와 인간이 침범해서는 안 될 신의 세계로 이분화 되어있다.
② 인간의 자연 파괴와 그 조화의 붕괴로 인한 자연의 인간에 대한 공격, 그러한 붕괴에서 다시 올곧게 믿음이라는 가장 인간적인 키워드를 통해 조화의 해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③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체 살고 있는 현대인들을 비유하면서 물질과 탐욕에 빠져있는 요즘 현실의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한다. -> 노장사상의 과욕을 부리지 말라는 교훈과 통한다.
『줄거리』
치히로 라는 이름을 빼앗기고 센 이라는 이름 아닌 이름을 얻은 후 처음으로 맡게 된 손님. 모두들 코와 잎을 막고 머뭇거리는 '오물신'을 센 은 정성껏 보살핀다. 그리고 그의 몸에 박힌 가시라고 표현된 것을 모두 함께 힘을 모아 뽑아내자 비로소 오물신이 강의 신이라는 것을 알게 된 센은 인간들이 너무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것이 아마도 이 영화에서 말하고 싶은 주제인지도 모른다. 여기서 강은 자연을 의미한다. 이 장면은 공존을 주제로 하고 있다. 인간도 자연도 그렇고 서로 공존해야한다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자연을 파괴하기도 하지만 파괴되어 가는 자연을 바로 잡을 수도 있는 존재인 것이다.
2> 원령공주
① 가장 핵심적 모티브는 숲으로 표현되는 자연.
② 숲은 자연물 뿐 아니라 모든 생명의 시원(始原)으로써 인간의 활동으로 변해버린 지구를 치유하고 회복시키며, 생명이 살아가는 토대를 제공해주는 자연을 형상화 하고 있음.
③ ‘원령공주’가 상징하는 것
- 사슴신 : 생명을 주기도 하고 없애기도 한다. 즉, 노자사상에서 만물의 근원인 ‘도’라고 이해할 수 있다. 사람에게 인위적인 공격을 받아 머리가 잘린 후에 저주의 신이 되는데, 다시 머리를 되찾고 나서 저주를 거둔다.
- 아시타카 : 마을을 공격한 저주의 신을 막아 마을을 지키다가 저주에 걸려 사슴신을 찾아간다. 그러면서 저주의 신이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게 된 것을 알게 된다. 그렇지만 끝까지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탐색한다.
- 산 : 들개의 신에 의해 키워진 도깨비 공주. 인간을 믿지 않으며 자연 편에서 문명을 바라본다. 그러나 역시 아시타카와 함께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생각한다.
- 에보시 : 나병 환자들의 마을을 위해 자연을 부수는 사람. 사슴신을 총으로 쏘는 사람이다. 노자사상에서 ‘작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사슴신이 목을 잘린 후 저주의 신이 되었다가, 다시 목을 받은 후 저주를 거두는 것
: 작위가 아니라 자연 그대로가 가장 좋은 상태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④ 노자(老子)가 말하기를 "풀무에는 바람을 일으킬 빈 공간이 있어 쇠를 달굴 수 있고, 암컷의 몸에는 아기를 잉태할 빈 공간이 있어 생명이 유지된다"고 역설하여, 겸허하게 수렴할 줄 아는 여성성을 본받아 무위의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가르침을 후세에 전했다. 극중 자연의 편에 서있는 ‘원령공주’와 인간의 편인 ‘에보시’라는 두 여걸이 서로 대립하고 있으면서도 생명을 사랑하고 돌보는 모습을 보여주는 점은 그래서 흥미롭다. 자연과 인간의 대립이라는 설정에서도 증오를 버리고 상생의 길로 가자고 말하는 ‘모노노케 히메’는 내 편 아니면 적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는 거장 감독의 널따란 여백을 펼쳐 보이고 있는 것이다.
3> 노자의 문명비판
우선은 노자가 말하는 무위자연이라는 말에서 자연이라는 언어의 의미에 관해서 다시 생각 해봐야 한다고 본다. 이 자연이라는 말은 흔히 우리가 받아들이는 자연이 아니라 사물의 본래모습을 말한다. 사물의 본래 모습으로 돌이키라는 말처럼 들리는데, 사물의 본래 모습이 과연 무엇인가? 또한 도에 관해 이해하기 난해하고 흔히 다각적으로 분석되는데 그것 때문에 오해하는 사람들도 많은 것 같다.
무(無)"란 있는가? 라는 물음에 내가 내린 나름대로의 결론이다. 즉 무(無)는 있다. 그러나 있으나 볼 수 없으며, 정확히 인지하기도 어렵다는 것이 나의 결론이다.
노자가 당시의 문명을 비판하는 입장이었다는 것은 이러한 본질에 관한 문제를 명쾌히 제시하며, 인간의 도구에 대한 맹목적 신뢰가 얼마나 헛된 것인가를 말해주는 것이라고 감히 생각해 본다.
  • 가격1,8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9.02.02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