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력][방송전문가][방송인력양성]외국의 방송인력(방송전문가)양성 사례를 통해 본 방송인력(방송전문가)양성의 중요성과 방송인력(방송전문가)의 현황 및 방송인력(방송전문가)문제에 대한 개선 대책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인력][방송전문가][방송인력양성]외국의 방송인력(방송전문가)양성 사례를 통해 본 방송인력(방송전문가)양성의 중요성과 방송인력(방송전문가)의 현황 및 방송인력(방송전문가)문제에 대한 개선 대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방송인력(방송전문가)양성의 중요성

Ⅲ. 방송인력(방송전문가)의 현황
1. 인력변동 추이 및 현황
2. 인력수급현황

Ⅳ. 외국의 방송인력(방송전문가)양성 사례
1. 프랑스
1) 법적·제도적인 지원
2) 방송전문인력 교육현황
2. 영국
1) 법적·제도적 지원
2) 평생교육을 위한 지원조직 설립, 운영
3) 교육휴가제의 활용
4) 고용교육부의 재정지원에 의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설
5) 방송전문인력 교육현황
3. 독일
1) 법적·제도적 지원
2) 법률상의 규정들
3) 재교육참가에 있어 업무의 면제
4) 재교육과 관련한 재정의 확보
5) 이원화제도(dual system)로서의 직업교육훈련 시스템
6) 방송인력교육현황

Ⅴ. 방송인력(방송전문가)문제에 대한 개선 대책
1. 시장구조의 왜곡의 개선
2. 프리랜서에 대한 투자
3. 교육개선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을 감안하여 합동견습(Verbund-Volotariat)의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3개월씩의 스튜디오 제작교육과정과 3개월씩의 현장실습과정을 통해서 진행되며 텔레비전의 편성, 이론, 작문, 인터뷰 등의 기본적인 세미나에서부터 뉴스제작 등 실습에 이르기까지 입사 후 1년에서 3년차 까지 필요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의 이수자들은 3년간 ZDF가 직원을 채용할 때 우선 채용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수자들을 채용할 수 없을 경우 3년간의 대기기간동안 고정직 언론인의 초봉에 해당하는 보수를 지불하는 계약의 기회를 제공한다. 방송사의 견습교육과정은 방송신입사원으로서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획득하는 신입사원교육과정으로서 기능한다.
둘째, 국가적으로 제도화된 전문연수기관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끊임없이 넓어지고 다양해지는 방송주제들과 급속히 발전되어 가는 방송기술들로 인해 방송인들의 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면서 공영방송을 중심으로 1977년에 ARD와 ZDF 공동으로 재교육기구인 ZFP(Zentrale Fortbildung der Progras mmitarer ARD/ZDF:ZFP)를 만들었는데 독일내 전 방송인을 대상으로 방송제작분야의 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ZFP는 소속방송사의 개별 연수프로그램도 지원하며 각 방송사나 여타관련기관과의 연수정보의 교환의 업무도 맡고 있다.
기술분야의 방송인력에 대한 교육은 1963년 민법상의 독립공공 법인으로 설립된 SRT(Schule fur Rundfunktechnik)에서 이루어지는데 음향 및 영상기술연수는 물론 인터넷, 컴퓨터그래픽 등 디지털 방송기술과 관련한 다양한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ZFP와 SRT는 서로 공동으로 협력함을 통해 독일내의 방송인의 평생교육차원의 전문교육을 전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Ⅴ. 방송인력(방송전문가)문제에 대한 개선 대책
1. 시장구조의 왜곡의 개선
국내 방송산업 인력수급의 문제는 단지 특정분야의 핵심인력부족에서 더 나아가 왜곡된 수급구조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지상파 독과점에 따른 인력수급의 왜곡은 세계화 다매체 시대에 다양한 부문에서 신속하고 유연하게 시장상황에 적응하는 경쟁력 있는 인력체계의 구축을 가로막는 것이다. 따라서 방송산업 인력정책은 지상파 독점적인 인력수급을 개선하는 것부터 시작하여야 하는데, 그것은 매체간의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즉 케이블TV와 독립제작사 부문이 활성화되었을 때 인력의 효율적인 수급이 이루어지고 국내 방송산업의 경쟁력이 제고 될 수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방송노동인력의 복지 또한 향상되는 것이다.
2. 프리랜서에 대한 투자
방송산업 노동시장의 비정규직 문제는 다른 산업과는 성격이 다르다. 방송산업은 초기부터 비정규직으로서의 프리랜서가 활발히 활동해왔으며, 이는 창의적인 직무를 담당하는 작가, 프로듀서 등 예술가 노동시장에 속해 있는 근로자들이 선호하는 고용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비정규직은 노동의 유연화로 인해서 다른 분야의 방송인력에게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프로그램 제작부문의 활성화가 요구되고 이 부문이 비정규직인 프리랜서를 가장 많이 고용한다고 가정한다면 향후 방송인력수급에 있어서 비정규직의 문제는 어떤 방송인력 문제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프리랜서의 문제를 다루는 방법은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으로 보다 개인적 역량을 증대시키고 취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들의 교육요구도 및 이를 반영한 교육체제의 수립 그리고 이들의 취업을 도와주는 취업네트워크의 구축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3. 교육개선
방송산업 인력수급의 또 다른 문제점은 교육내용이었다. 인력의 공급은 과잉이지만, 공급되는 방송인력 중에는 제작현장이나 방송유관 업무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인력은 매우 제한적인데 그 까닭 중 중요한 것은 교과과정이 실천적인 적용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방송예비인력은 이론적인 강의를 듣거나 실천적인 실습을 하더라도 기회가 너무 적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내용의 변화는 능력 있는 인력의 양성에 필수적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업계와 학계가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러한 관계에 정부가 재정적인 제도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더 나아가 방송산업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Ⅵ. 결론
지금 당면한 문제는 새로운 디지털기술이 제공하는 사회 문화적인 환경과 아날로그 기술에 의해 형성된 우리의 인식간의 간극을 절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그 변화를 발전으로 이끌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로서의 교육투자가 필요하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모든 발상과 제작방식에 있어서의 변화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창의적인 방송제작을 위한 새로운 도전의 기회인 것이기 때문이다.
방송프로그램은 인적자원 및 아이디어, 다양한 영상문화의 축적을 포함하는 컨텐츠웨어, 컨텐츠웨어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표현하게 할 수 있는 도구인 소프트웨어, 그리고 컨턴츠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의 치밀한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며 특히 사람의 지식, 창의성, 아이디어 등 고유한 인적자산에 의해서 생산되는 의식창작물이어서 사람의 질이 방송의 질과 직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산업의 미래는 창의적인 마인드를 가진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환경과 기반을 조성하는데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ⅰ. 권성호(1997), 교육방송 인력개발의 새로운 전개 방향, ‘97 방송학회 봄철 정기 학술대회, 한국방송학회
ⅱ. 김광호(1990), 바람직한 방송인력 운용의 과제, 방송문화
ⅲ. 김학천(1993), 방송인력 개발의 과제-교육체계를 중심으로, 방송연구
ⅳ. 방송인력수급(1992), 어떻게 돌아가고 있나? 방송과 시청자, 방송위원회
ⅴ. 방송위원회(1992), 방송인력 양성실태, 방송과 시청자
ⅵ. 박경자 외(1998), 방송프로듀서전문성제고를 위한 교육시스템개발연구, 방송진흥원 연구보고서
ⅶ. 이관열 역(1995), 방송경영론, 방송문화진흥총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