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놀이][사물놀이 표현원리][사물놀이 악기][잡는법][연주법][사물놀이 연주 갈래]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물놀이][사물놀이 표현원리][사물놀이 악기][잡는법][연주법][사물놀이 연주 갈래]사물놀이의 등장,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사물놀이의 악기,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물놀이의 등장

Ⅱ. 사물놀이의 표현원리

Ⅲ. 사물놀이의 악기
1. 꽹과리
2. 징
3. 장구
4. 북

Ⅳ. 사물놀이 악기의 잡는법과 연주법
1. 꽹과리
1) 꽹과리 잡는법
2) 꽹과리 주법
2. 징
1) 징의 잡는법
2) 징의 주법
3. 장구
1) 장구 잡는법
2) 장구의 주법
4. 북
1) 북의 잡는법
2) 북의 주법
3) 북 장단

Ⅴ. 사물놀이의 연주 갈래
1. 비나리
2. 웃다리 풍물놀이(중부 풍물놀이 가락)
3. 영남농악(경상도 매구 가락)
4. 호남우도농악(전라 우도굿 가락)
5. 삼도설장고(설장구 가락)
6. 삼도농악(삼도 풍물굿 가락)
7. 그 밖의 연주곡
1) 웃다리 풍물굿 가락(중부 풍물놀이 가락)
2) 영남 풍물굿 가락(경상도 매구 가락)
3) 호남 우도 풍물굿 가락(전라 우도굿 가락)
4) 호남 좌도 풍물굿 가락(전라 좌도굿가락)

참고문헌

본문내용

굿에 대치되는 말로 매구가 있다. 12차 매구는 진법을 포함한 다양한 놀이를 갖춘 열두차례의 거리라고 볼 수 있다. 경상도 매구가락은 꿋꿋하고 소리가 힘찬 것이 특징이며 북을 중요하게 보고 상모놀이가 발달하였다.
▶ 짜임
1 길군악 2 반길군악 3 다드래기 4 영산다드래기 5 별달거리
6 쌍진풀이 7 조름세 8 맺는가락
1 길군악은 느리게 내어 빨라지게 되면 가락이 묘한 변화를 산뜻한 맛을 준다.
2 반길군악은 굿거리장단이 변한 것으로 덧뵈기가락이라고도 한다.
3 다드래기는 빨리 연주하므로 힘있게 들리며 별달거리로 넘어가는 이음새가 돋보인다.
5 별달거리가락의 구호는 현지와는 틀리며 전라좌도굿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다.
6 쌍진풀이는 삼채장단으로 변화가 다양하며 흥미롭다.
4. 호남우도농악(전라 우도굿 가락)
이 곡은 전라우도풍물굿 가락을 다시 짠 것으로 우도굿가락은 좌도굿에 비해 장구가락이 발달했으며 판굿에서 다채로운 가락을 구사한다.
▶ 짜임
1 월산요 2 청령부르기 3 얼림굿 4 오채질굿 5 우질굿
6 좌질굿 7 풍류굿 8 양산도굿 9 삼채굿 10 맺음
1 월산요는 사물놀이 초기에 웃다리 풍물놀이에 붙여 불렀으며 소리굿으로 굿거리장단이다.
2 청령부르기는 굿을 하기 앞서 청령을 호령하는 것으로 흔히 도둑잽이굿에서 쓴다.
4 오채질굿은 오랜 가락으로 전라 우도풍물굿의 꽃이라 할 수 있는 혼합박의 느린장단으로 행렬이 오른쪽으로 돌면서 단 한 차례 치는 가락이다.
5 좌질굿은 왼쪽으로 돌면서 치는 가락으로 혼합박이다.
6 우질굿은 오른쪽으로 돌면서 치는 가락으로 좌질굿과 비슷하나 후두둑가락으로 이어진다.
7 풍류굿은 굿거리장단으로 전라우도굿의 진수라 할 수 있다. 특히 장구가락의 붙임새가 다채롭고 쇠와 장구의 조화가 돋보인다.
8 양산도가락은 세마치장단으로 경기민요 양산도와 비슷하다하여 학자들이 붙인 이름이다.
9 삼채굿은 느린삼채에서 자진삼채로 몰아치는데 쇠와 장구의 대립이 절묘하다.
5. 삼도설장고(설장구 가락)
설장구 가락은 판굿에서 장구잽이들이 연주하던 가락으로 전라도의 명인 김홍집이 혼자 나와 발림을 하며 여러 장단을 짜임새있게 연주 하였는데, 그 제자들에 의해 전국으로 퍼지게 되었다. 이런 설장구 가락을 사물놀이에서 전라도의 김만석가락, 경상도의 조판조가락, 충청도의 양도일가락을 모아 다시 구성하여 삼도설장고라 하였다. 앉은반에서는 네명의 치배들이 서로 다른 붙임새로 연주하여 화려한 가락을 만들어 낸다. 선반에서는 원형을 살려 굿거리장단 앞에 휘모리장단을 친다.
▶ 짜임
1 다스림
2 굿거리장단
3 덩덕궁이장단
4 동살푸리장단
5 휘모리장단
6. 삼도농악(삼도 풍물굿 가락)
이 곡은 사물놀이 초창기에 이른바 웃다리풍물, 호남우도농악, 영남농악으로 나누어 연주하던 것을 합하여 우도굿가락 위주로 다시 짠 것이다. 80년대 후반부터 사물놀이 공연에서는 주로 이 곡을 연행한다.
▶ 짜임
1 점고 2 청령부르기 3 얼림굿 4 오채질굿 5 우질굿 6 좌질굿
7 풍류굿 8 양산도굿 9 삼채굿 10 다드래기 11 별달거리 12 자진가락
13 짝쇠가락 14 맺음
이 가운데 오채질굿, 우질굿, 좌질굿, 양산도굿, 삼채굿은 전라 우도굿가락이고 다드래기, 별달거리는 경상도 매구가락이며 자진가락, 짝쇠가락은 중부 풍물놀이가락이다.
7. 그 밖의 연주곡
그 밖에는 선반으로 하는 판굿과 무속음악과 풍물굿이 만난 바람맞이가 있다. 그리고 사물놀이를 위한 관현악 신모듬, 푸리굿, 열두거리, 째즈 음악과의 만남, 락 음악과의 만남 등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1997년 사물놀이 활동 20년을 낮아 사물놀이의 한명이었던 김덕수가 이끄는 사물놀이 한울림에서 웃다리 풍물굿가락, 영남 풍물굿가락, 호남 우도 풍물굿가락, 호남 좌도 풍물굿가락, 삼도 설장고가락, 삼도 풍물굿가락을 선 뵈었다.
특이한 점은 그동안 사물놀이에서 변형했던 풍물굿 가락을 원가락에 가깝게 치고 농악이란 용어 대신 풍물굿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이 가운데 삼도 설장고가락과 삼도 풍물굿가락은 기존 곡과 거의 같고, 그 밖의 곡들은 사물놀이 한울림의 단원이며 제각기 활동하는 사물놀이 진쇠, 사당패 사물놀이, 사물 광대가 연주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짜임으로 되어 있다.
1) 웃다리 풍물굿 가락(중부 풍물놀이 가락)
연주 : 사물놀이 진쇠(김복만, 길기옥, 이윤구, 김경수)
1 내는가락(점고-난타-길가락) 2 자진가락1 3 덩덕궁이1
4 돌림법고-좌우치기-마당삼채 5 자진가락2 6 길가락 칠채
7 마당일채(육채) 8 마당삼채 9 덩덕궁이2
10 좌우치기 11 쩍쩍이가락 12 쾌자굿
13 무동춤가락 14 자진가락3 15 짝쇠가락-맺음
2) 영남 풍물굿 가락(경상도 매구 가락)
연주 : 사당패 사물놀이(한재석, 이준우, 홍윤기, 한상욱)
1 모듬굿(다드래기-인사굿) 2 덧뵈기 3 다드래기1
4 길군악 5 반길군악 6 다드래기2
7 별굿가락 8 쌍진풀이 9 맺는가락
3) 호남 우도 풍물굿 가락(전라 우도굿 가락)
연주 : 사물놀이 진쇠(김복만, 길기옥, 이윤구, 김경수)
1 내드름굿(청령-일채-이채-된삼채-이채) 2 입장굿 3 오채굿(오채질굿-우질굿-좌질굿)
4 풍류굿 5 양산도굿 6 삼채굿1
7 오방진굿 8 소리굿(월산요) 9 호허굿
10 삼채굿2 -맺음
4) 호남 좌도 풍물굿 가락(전라 좌도굿가락)
연주 : 사물 광대(박안지, 신찬선, 장현진, 김한복)
1 어룸굿 2 질굿 3 갖은열두마치
4 참굿가락 5 일곱마치 6 아홉마치
7 영산 8 호허굿 9 각정굿
10 노래굿초다듬이 11 두마치-품앗이가락-맺음
참고문헌
김헌선 / 김헌선의 사물 놀이 이야기, 풀빛
문서란(2002) / 사물놀이 자진모리장단이 노인의 상지근력활동도수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성천 외(1995) / 국악개론
유광수(2003) /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MJ미디어, p234-p252 제 7장, 예술과 공예 참고
음악의 사회 심리학(1998) / 사물놀이 왜 인기인가
유미희(1988) / 한국춤에 나타난 신명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최익환(1995) / 풍물놀이 교본, 서울: 도서출판 풍물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