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중국의문화][중국문화][중국전통]중국의 황허문명(황하문명), 중국의 개국설화, 중국의 진시황릉, 중국의 국화, 중국의 민족구성과 민족정책, 중국의 전통명절, 중국의 경극, 중국의 금기사항 심층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중국의문화][중국문화][중국전통]중국의 황허문명(황하문명), 중국의 개국설화, 중국의 진시황릉, 중국의 국화, 중국의 민족구성과 민족정책, 중국의 전통명절, 중국의 경극, 중국의 금기사항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국의 황허문명(황하문명)
1. 황허강과 양쯔강
2. 황허문명의 여명
3. 황허문명의 개화
4. 황허문명의 확산

Ⅱ. 중국의 개국설화

Ⅲ. 중국의 진시황릉

Ⅳ. 중국의 국화

Ⅴ. 중국의 민족구성과 민족정책
1. 중국 민족의 구성
2. 중국의 민족 정책
1) 다수에 의한 동질화 정책
2) 문화 보호 정책
3) 민족 구역 자치제
4) 소수 민족에 의한 간부 정책

Ⅵ. 중국의 전통명절
1. 신년(신정)
2. 춘절(설날)
3. 원소절(정월대보름)
4. 중추절(추석)

Ⅶ. 중국의 경극

Ⅷ. 중국의 금기사항
1. 혼인금기
2. 언어금기
3. 숫자금기
4. 의식주 금기
1) 복식금기
2) 음식금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않았다. 특히 자식의 이름을 지을 때. 어렸을 때 소명(小名)을 지었다가 어른이 되면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때부터 소명은 부르지 못했다.
또 이름을 지을 때에는 오행의 극명(서로 상극이 되는 명칭)을 고려해서 이름자에 금(金)이 없는 경우는 화를 넣지 못하는 등의 금기를 지켰다.
3. 숫자금기
숫자의 금기는 동음에 의한 것과 문화적인 특수한 배경에 의한 나이와 관계되는 것이 많다. 동음에 의한 것으로는 사(四, 중국어로 Si)로 발음이 동일한 사(死, Si)의 음을 피하기 위해 사용을 꺼려 4월에는 혼인을 꺼린다든가 혼례 등의 축의금을 보낼 때 4단위 액수를 피했다.
반면에 좋아하는 숫자로는 팔(八, 중국어로는 Ba)이며 돈을 번다는 의미의 발재(發財)중 발(發, Fa)의 음과 유사하기 때문에 즐겨 사용했다.
숫자금기 중에는 또, 홀수와 짝수 금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3, 6, 9등 3의 배수를 선호하지만, 혼례 때의 축의금의 경우는 40이나 400을 제외한 짝수의 액수를 사용하고, 상례 때는 홀수의 액수를 사용하였다. 나이와 관계되는 금기 숫자는 45, 73, 84, 100세 등이 있다. 45세란 송대의 포공(包公)의 고사와 관련 어려움을 만나거나 죽음을 경험한 나이라 여겨 꺼린다. 73과 84세는 공자와 맹자의 나이와 관계가 깊다. 전설에 의하면 공자는 73세에 죽고, 맹자는 84세에 죽었는데, 성현들도 그 나이에는 죽음을 피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100세를 피하는 이유는 백을 보통 숫자의 만수로 생각하기 때문에 백살이 되었어도 언제나 99세라고 말했다. 이 밖에 지역에 따른 나이금기도 있어서 산동 지역에서는 41세 대 아내에게 문제가 생긴다는 속설 때문에 남자들은 이 나이를 피해서 말한다. 남부지역에서는 9를 싫어하여 9세, 19세, 29세 등의 나이를 직접 말하지 않는다.
4. 의식주 금기
1) 복식금기
중국에는 \"십리에서 사람을 알아보고, 백리에서 옷을 알아본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의복과 사회적 가치판단의 밀접함을 반영한다. 또, 중국인들의 의복의 색상, 재료, 형태, 제작 등에 관한 많은 금기들이 있으며,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색상이다. 중국인들이 가장 금기시하는 색상은 황색, 자색, 향색 등의 이른바 귀색이다. 이들 색상은 과거 신분제와 관련 대부분 황실이나 귀족을 대표하는 색으로서 민간에서 이색을 입으면 반역으로 오해를 받았다. 중국의 민간색상중 녹색, 벽색, 청색은 천색으로 원·명·청대에는 창기와 배우 등의 천한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만 입었다.
중국인들이 천색외에 또 꺼리는 것은 흉색이 있는데, 이것은 백색과 흑색으로 모두 상장례와 관계가 있다. 따라서 혼례 등에는 순백색과 순흑색을 절대 금기시하며 길함을 상징하는 붉은색을 주로 사용한다. 축의금역시 붉은 봉투에 담아 홍포라고 하고, 상례에는 흰 봉투를 사용하여 백포라고 한다. 재료는 일반민간의 복식의 경우는 특별한 금기가 없었으나 수의를 만드는 경우는 먼저 단(緞, 비단의 종류)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단의 음이 단자절손(자손을 단절시킴.)의 음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또, 양포, 농가에서 자가 생산한 포)를 쓰지 않았던 것은 양포의 양음이 음양의 양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수의는 죽은 사람을 음지로 보내는 것인데, 양자가 들어간 양포를 쓰게 되면 양지로 떠돌게 된다는 미신 때문이다.
2) 음식금기
중국음식은 단순한 영양소적인 측면이 아니라 음양의 배합과 관계가 깊다. 다시 말하면 각종 음식물의 물성을 양성과 음성, 즉 열성과 냉성으로 나누어 이해하면서 물성이 상반된 것은 함께 먹는 것을 꺼리고 있다. 이러한 관념은 한의의 기본원리와 상통하는 것으로 식물자체가 지닌 계절성 독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봄철에는 붕어를 먹지않는데 이는 봄 붕어는 머리에 벌레가 있어 각기병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닭고기를 먹지않는데, 이는 닭이 여름에 독이 많은 지네를 너무 많이 먹어 독이 체내에 쌓여있는 것을 경계한 것이다. 이 밖에 음식금기에는 음식이 지니고 있던 자연속성이 그대로 전해져 온다는 속설이 있다. 예를 들면 곰의 심장과 표범의 담을 먹으면 용맹해지고 늙은 암탉을 먹으면 피부가 거칠어진다는 등등의 속설이 있다.
중국의 음식금기중에는 접대에 관한 것이 많은데, 손님의 금기와 주인의 금기로 나눌 수 있다. 손님은 식탁에서 일어나 먼 곳의 음식을 집지 않으며, 요리 접시를 깨끗이 비우지 않고, 또 생선을 먹을 때 뒤집지 않으며, 음식찌꺼기를 개에게 던지지 않고, 먼저 식탁을 일어나지 않는 등등이다. 음식접시를 깨끗이 비우는 것은 음식이 모자란다는 의미이며, 생선을 뒤집는 등은 어촌에서 특히 금기시 하는데, 어선이 뒤집어진다는 연상 때문이다.
주인의 경우에는 풍성한 요리를 차린 후, 주인이 직접 젓갈로 음식을 집어주고 술을 권하는 경주를 계속한다. 또 산동지역에서는 처음 음식으로 물만두를 끓여 내오지 않는데, 이는 물만두는 송별의 음식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물만두를 산동지역에서는 곤단포(곤단이란 \"꺼져\"라는 욕으로 사용됨.)로 부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 손님은 요리를 푸는 국자나 주걱 등을 뒤로 젖혀 놓지 않는데, 이는 재복이 밖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주인은 손님보다 먼저 일어나지 않으며 빈접시를 치우거나 행주질을 하지 않는다. 달걀은 두 개만을 내지 않는데, 이는 이단(, 달걀두개)이란 말은 \'바보\'라는 욕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후식의 경우는 차의 경우 차호의 주둥이가 손님에게 향하지 않고 손잡이가 향하게 하는데, 이는 주둥이가 향한 사람이 구설수에 오른다는 속설 때문이다. 또 과일을 낼 때에는 배의 경우, 두 사람이 하나의 배를 나누어 먹도록 하지 않는데 , 이는 나눈다는 어휘가 분리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태성, 중국사 뒷 이야기, 실천문학, 1998
김원중, 중국 문화의 이해, 을유문화사, 1998
남현식, 중국, 그리고 중국인, 서울 : 시사 문화사
나가지마 미네오, 현대중국 입문, 도서출판 인간, 1985
이이화, 이이화의 중국 역사 기행, 웅진 출판
중국 종족들의 혼속, 경안 문화사
존 킹 페어뱅크, 신중국사, 까치, 1994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