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의 법적지위와 실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3. 탈북자의 개념
II. 탈북자의 법적지위와 현황
III. 탈북자에 대한 주변국가의 입장
IV.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문제와 대책
V. 결론

본문내용

서 정치적 박해 및 처벌을 하는 사실이 명백히 존재(북한의 형법 제47조에 의하면 단순 국경 월경자나 경제유민을 ‘조국 배반자’로 처벌하는 규정을 두어 최저 7년 최고 사형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하고 입증되기에 국제 관례상 난민으로 판정 보호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 중국으로 하여금 국제법상 탈북자를 난민으로 인정하도록 우리 정부와 NGO, 국제단체가 중국에 압력을 가해야한다.
또 그렇게 함으로서 중국은 1982년 9월에 가입한 「1951년 난민협약」과 「1967년 난민의 정서」에 의하여 난민관련 조약국의 의무인 난민에 대한 강제 송환(Principle of Non-refoulement),추방금지, 국경에서의 입국거부 금지, 무허가 입국에 따른 처벌 금지 등의 의무를 가지기에 탈북자를 보호 할 수 있다.
3) 정부의 이중적 태도 극복을 위한 노력
우리정부는 중국 정부에게 탈북자 난민 지위의 인정을 요구하면서 그 이면에는 실질적, 의지적 행동을 하지 않으며 문제를 방치하고 있다. 일명 ‘조용한 외교’가 그것이다.
남한에 온 탈북자들이 중국의 한국 대사관에 갔을 때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으니 돌아가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이제는 정부가 우리헌법 3조에 있는 대로 국가의 영토 내에 있는 국민뿐만 아니라 그 영토 내에서 벗어났지만 우리 헌법에 의해서 엄연히 국민의 법적 지위를 갖고 있는 탈북자를 위해서 말로만 그럴듯하게 표현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실질적 대책을 수립하여 여러 상황을 고려해가며(남북관계, 중국과의 외교적 관계) 추진해 나가야 하겠다. 또 그렇게 하기 위해 우리는 탈북자가 단지 동포라는 생각에만 멎지 말고 우리 국민이라는 인식을 갖고 그들을 돕는 다양한 NGO활동에 동참해야 하겠다. 아울러 정부가 실질적 정책을 수립 추진할 수 있도록 NGO들과 함께 정부에 압력을 가해 나가야하겠다.
V. 결론
탈북자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그 수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되면서, 탈북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 대책도 변화되었다. 탈북자를 위한 지원정책은 여러 차례 법률개정 및 제도 개선을 통해 상당부분 개선이 이루어져 있지만,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앞으로도 계속 보완되어야 하겠다. 탈북자에 대한 지원 미흡이나 남한사회 부적응 등이 나타나고 있어 또 다른 사회적 갈등을 불러 일으키는 만큼 탈북자에 대한 지원과 사회적응대책의 개선이 요구된다.
몇가지로 탈북자의 수용 및 정착 지원은 난민 차원이 아닌 같은 한국인이라는 동포애적 차원에서 실시되어야하고 또 정부와 민간단체, 자원봉사자가 협동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앞으로도 탈북자에 대한 지원체계는 중앙정부 중심에서 지방자치단체와 민간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모든 국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애틋한 노력이 필요할 때이다.
참고 문헌
최창동, 「탈북자 어떻게 할 것인가」, 두리신서, 2000. 5
유병화, 「국제법Ⅰ」, 민영사, 1998. 8
강상년, 「탈북자의 한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2004. 8
최창동, 「법학자가 본 통일문제 2」푸른 세상, 2002. 3

키워드

탈북자,   탈북,   북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5.12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