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과 선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과 선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들어가는 말

2. 본론
2.1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이란?
2.2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과 현상
2.3 포스트모더니즘의 교회(미래교회 전망)
2.4 포스트모더니즘 교회에 대한 비판적 고찰
2.5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선교전략

3. 결론: 나가는 말

본문내용

던 교회운동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등장하게 된 운동이다. 새들백교회 담임목사 릭 워렌의 제자였던 론 존슨은 이러한 문제의식과 위기의식을 느끼고 1990년 중반에 새로운 포스트모더니즘 교회운동을 일으켰는데 그 운동이 바로 ‘비상교회’ 운동이다. 이들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전도이해를 위해 핵심개념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유기적 예배이다. 전통적인 예배가 아니라 예배 가운데 만남이 가능하고 감동이 있고 더 적극적이 되어지는 예배를 추구한다. 둘째 상호영향을 미치는 공동체이다. 즉, 다양성을 인정한 가운데 서로 영향을 주는 역동적인 공동체를 이 시대는 갈급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이야기식 설교의 추구를 제시하였다. 김창근, “위기극복형 목회패러다임의 방향”, 『목회와 신학』,2004, 2月, pp.79-80
3. 결론
얼마 전부터, 필자의 한 지인(知人)이 안산에 있는 한 대형교회를 출석하기 시작했다. 그 교회는 몇 천 명의 성도를 자랑하는 대형교회이다. 그런데 출석한지 4개월 정도가 지나서 필자에게 이런 고백을 했다. “교회가 너무 크니까 교회 같지 않아!” ,“성도가 너무 많아!” 갈수록 커가는 대형교회들은 끝없는 성장을 시도하며, 성공적인 성도 모으기의 결과물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한국교회의 성장은 불신자를 향한 수직적 성장보다는 성도의 교회 옮기기를 통한 수평적 이동과 성장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 쪽에서는 시대를 향한 비전과 복음 선포, 그리고 성장을 향한 움직임을 보이고, 다른 한 쪽에서는 복음의 회복과 갱신을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한쪽에서는 성장하는 교회, 부흥하는 교회라 외쳐대지만, 한쪽에서는 교회답지 않은 교회, 무언가 더 깊은 신앙의 성숙과 내면의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교회라는 평가가 들려온다.
‘문화사역’이란 단어가 어느 순간부터 사역지와 신학월간지, 강의 안에서 쉽사리 발견되기 시작했다. 문화를 통한 하나님 복음의 선교를 목적으로 한 문화사역은 현 시대에 좋은 전도의 한 분야로 관심 받고 있는 듯하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통해 우린 현 시대의 정신과 문화의 흐름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또 다른 한 쪽에서 들리는 소리가 있다. 그 소리는 복음의 본질과 무의식적 인간의 욕망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으로 광야의 복음, 예수운동의 회복을 강조하는 소리이다. 전자는 복음전파의 초점을 맞추었고, 후자는 복음본질 회복의 초점을 맞추었다. 필자는 본 발제를 준비하면서 가장 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질 수 있었다. 선교를 향해 우리가 지향해야할 것은 무엇이고, 지양해야할 것은 무엇인가? 좀 더 쉽게 말해, 전함과 적용의 균형 잡힌 시각은 어떠한 것일까? 라는 문제이다.
필자는 본 발제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현상과 복음과 대치되는 시대정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시대정신은 물질주의, 맘몬이 우상화되어가는 것이다. 모든 것은 물질로 환원되고 사람과 영혼의 가치는 기표를 통해 결정되는 세상이다.
자본이라는 물신이 모든 가치의 중심이 되고, 자본에 의한 교환 가치의 네트워크가 종교를 포함한 모든 사회의 구석구석을 재편성하는 사회가 후기 자본주의 사회요, 이런 가운데 잉여 자본과 잉여 쾌락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상황이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현상이다. 이경재, “포스트모더니즘과 미래교회”, 『신학과 세계』, vol.62/2008, pp.469
그러나 복음의 길, 예수의 길은 이와는 반대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그 길은 공중의 권세 잡은 이에 대한 부정성의 신학이며, 광야의 신학이고, 예언자의 신학이다. 만약 2000년 전 예수의 가르침이 제도와 물질 안에 있었다면, 그는 죽음을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유명한 정치가 혹은 혁명가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희생과 죽음을 통해 우리에게 참된 하나님나라와 그 가르침의 진정성을 보여주길 원했으며,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난 참된 진리의 길을 보여주기 위해 죽음과 순종의 길을 선택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과 현상의 이해를 통해 우린 시대정신을 분명히 읽어야 하며,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 힘쓰며, 예수의 길을 어떻게 따라갈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 예수가 전하는 참된 성장은 무엇인가? 예수의 길을 간다는 것이 어떠한 삶을 살아가는 것인가? 김영한 교수는 포스트모던의 시대를 향해 아래와 같이 평가한다.
“포스트모던 정신은 기독교 신앙을 위해서는 하나의 큰 기회다. 이 기회란 계몽주의적 이성적 전통이 비 판하고 유래했던 기독교적 전통의 보고에서 다가오는 후기 현대를 향한 새로운 착상을 배우는 것이다. 새로운 착상이란 현대가 합리성과 실증성이라는 모토 아래 상실한 현실의 깊이 차원인 거룩성과 종교성 의 차원을 다시 발견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이성 이전에 존재하는 존재의 거룩한 질서를 향하여 열리 는 것이다.” 김영한,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기독교사상』1997년 11月, p.70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는 선교의 기회이다. 또한 예수운동의 가치와 본질이 필요한 시대이다. 본질에 대한 올바른 정체성 확보와 시대적 상황에 맞는 지혜로운 선교적 방법론이 하나가 되었을 때,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또 다른 선교의 길이 열리리라 생각한다.
■참고도서 및 자료
-이경재. “포스트모더니즘과 미래교회”. 『신학과 세계』. vol.62/2008.
-전석재. “포스트모더니즘과 선교”. 『선교신학』. vol.1/2006.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서울: 2004, 믿음사>.
-하워드 A. 스나이더. 『2000년대 지구동향(Earth Currents)』.<서울: 2000, 아가페>.
-김창근. “위기극복형 목회패러다임의 방향”. 『목회와 신학』. 2004, 2月.
-이현모.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과 선교적 대응”. 『복음과 실천』. vol.35/2005, 4月.
-김영한.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기독교사상』. 1997년 11月.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선교분과회 편역. 『선교신학의 21세기 동향』. <서울: 2001. 이레서원>.
-새전북신문 07년 3월 15일
-쿠키뉴스, 내일을 향한 교회 디자인-①전원속의 오크밸리교회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9.27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4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