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광해군에 대한 재해석
2. 광해군, 그는 누구인가
3. 왕세자가 된 광해군

Ⅱ. 본론
1. 임진왜란의 히딩크, 광해군
2. 즉위와 새로운 시대
3. 왕권 강화의 집착과 광해군의 오류
4. 새로운 사상과 실각

Ⅲ. 결론

본문내용

자 미온적으로 대응했다. 현대에 광해군의 중립외교는 탁월한 외교술로 칭찬받지만 성리학적 입장에서는 왜란 때 우리를 도와준 ‘은혜’를 갚지 않는 것은 큰 불충이라고 여겼다. 사림파들은 사대적이고 보수적이며 중화주의가 강했기 때문에 당시 광해군과는 코드가 맞지 않았을 것이다. 또 앞서 언급한 영창대군 살해와 인목대비 폐모 등도 성리학적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결국 당시 사회 분위기를 보았을 때 인조반정, 즉 광해군은 실각할 수밖에 없었다. 인조반정을 성공시킨 서인들은 명분에 투철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기득권 세력이 아닌 주변인으로 밖에 활동할 수 없었고, 본인들의 이익과 권력을 위해 쿠데타를 일으킨 이유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성리학적 명분과 의리에 목숨을 거는 인물들이었던 것이다.
이들이 반정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경제적인 뒷받침과 확고한 명분 등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래로부터 백성들의 지지 내지는 묵인이 있었다. 혁명에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소리 없는 민중들의 지지인데, 백성에게까지 광해군의 폐모살제는 폐륜으로 비췄기 때문이다. 또 잦은 토목공사로 인해 수많은 민가가 헐리고 막대한 비용이 드는 탓에 백성들의 생활이 어려워진 이유도 있었다.
Ⅲ. 결론
광해군은 폐위 된 이후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기다 결국 1641년 제주도 유배지에서 눈을 감았다. 광해군의 몰락은 당시 새롭게 자리 잡던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그 사상이 얼마나 뿌리내리는지 가늠하지 못한 이유가 크다. 현대 국회의원과도 같은 사대부들이 신봉하는 일반의 정서를 무시하고 그들을 포용하려는 노력도 하지 않은 채 왕권을 강화하려는 것은 그의 엄청난 실수이다. 그로인해 많은 사대부들이 등을 돌렸고 결국 그는 실각할 수밖에 없었다.
또 붕당정치의 흐름 속에서 붕당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이끄는 리더의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한 것도 그의 큰 실수이다. 때문에 훌륭한 외교를 펼치면서도 결국 내조가 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광해군이 내정에서 좀 더 정치력을 발휘하여 신료들을 조정했더라면 아마도 다른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본다.
참고문헌
1. 한명기(2002), 광해군 : 탁월한 외교정책을 펼친 군주, 역사비평사
2. 김민경(2004), 조선 광해군대의 정치적 대립, 인제대교육대학원, 석사
3. 박시용(2003), 광해군대의 정국동향과 내정개혁정책의 추진에 대하여, 경남대교육대학원, 석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2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