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모든것(37페이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모든것(37페이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 연구 목적

Ⅱ. 이명박 정부와 참여정부의 교육 정책 비전

Ⅲ. 참여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교육 정책
1.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2. 4.15 학교 자율화 정책
3.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
4. 대학입시제도 개선안
5. 교원평가제와 클린 365

Ⅳ. 결론
-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연속성과 단절성

본문내용

서 학생 선발을 특성화 할 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면 이명박 정부는 대학에게 학생 선발권을 완전 위임했다.
그런데 국가 정책으로서 위상을 가지는 교육 정책이기에 이는 전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교육 행정가로서 뿐 아니라 국가 행정의 수장인 대통령은 교육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교육 이외의 분야에 대해서도 고려해야하는 위치에 놓여있다. 이는 곧 교육 정책에 관심을 갖고 그 영향을 받는 집단의 범위가 매우 다양함을 의미한다. 교육 정책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정부,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감, 장학관을 제외하고, 개별 학교의 교감, 교사와 교원 단체, 학부모, 지역 대표, 학생, 졸업생, 교육학자, 사교육 기관장 등이 교육 정책과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이들이라 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질 뿐 아니라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각자가 교육의 '전문가'라고 스스로를 인식하고 있는 만큼 이들은 교육 정책에 대한 여론 형성을 주도하고 있다. 바로 이 부분에서 오해와 갈등이 빚어진다. 비전문가가 스스로 전문가라고 인식하는, 통념이 크게 작용되는 교육 정책 인식 '습관' 때문에 구체적 내용 보다는 '정치적 구호'가 교육 정책의 전체를 규정하는 일이 벌어졌다. 또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집단들에 대한 수용성의 측면이 전체 교육 행정에서는 크게 고려되지 못한 채, 정부와 교육과학기술부의 주도로 교육 정책이 수립되어 참여 정부나 이명박 정부 할 것 없이 교육 정책에 대한 많은 논란과 비판을 낳았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국민여론과 학교현장의 의견수렴 없이 불쑥 내던져진 교육 정책으로 국민적 우려와 학교 현장의 혼란이 계속 가중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보도자료, 「교육 문제 총체적 난맥상 정책 결정 시스템, 추진방식 재정비해야」, 2008. 5. 27
며 이명박 정부의 교육 정책 수립 과정을 비판하듯이 말이다. 현존하는 참여 정부와의 연속성과 단절성 속에서 '정치적 수사'가 아닌 구체적인 내용으로 교육 정책을 논하고,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집단들의 이해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하는 과제가 이명박 정부 앞에 놓여 있다.
<참고 자료 및 문헌>
안승대, 2004,「한국 교육정책의 근대성 분석」, 한국교육 제 31권 제 2호
한만중, 2008,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 “위험한 실험”은 중단되어야 한다」, 말 통권 260호(년 2월)
한만중, 2008,「이명박 정부 교육정책: “위험한 실험”은 중단되어야 한다」, 말 통권 260호(년 2월)
강일국, 박철희, 2007,「참여정부의 교육정책의 평가와 향후과제」, 교육비평 가을겨울(제 23호)
한나라당 10대 정책
김재춘, 2004,「 수준별 이동수업 : 과제와 발전방향, 수준별 이동 수업 내실화와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2004, 수준별 이동수업 등 2.17 대책 후속 조치 발표
강영혜, 김정래, 성기선. 2000,「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제도도입 방안 연구」, 한국 교육 개발원
이종재, 2005,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시범 운영 평가 보고서」, 한국 교육 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실록 교육정책사 2부 ② 자립형사립고, 평준화 보완인가 해체인가,
http://moe.korea.kr/moe/jsp/moe1_branch.jsp?_action=news_view. 2007.
교육과학기술부, 2008 대통령 업무보고-교육살리기, 과학기술강국 건설
강인수, 2004, 「한국에서의 교사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행정학 세미나자료』
대한민국 정책포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2001, 자립형 사립고 운영지침
한나라당, 2007, 『일류국가 희망공동체 대한민국- 대선공약집』, 북마크
교육인적자원부. 2004,『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
신동아, 2008, 「바뀌는 대입, 초ㆍ중ㆍ고 학년별 대비책 올가이드」년 3월호 통권 582호
<신문 기사 및 논평>
백승호, 2008,「참여정부 평등성 집착하다 정책 실패 자초」, 1.10일자 기사
http://www.hangyo.com/APP/news/article.asp?idx=23994&search
문화일보 2008년 6. 5일자 기사
중앙일보 4. 25일자 기사
허정헌, 2008, 「인권위 "성적우수반은 평등권 침해다"」, 국민일보 사회면, 5. 20일자 기사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부모에 교과 문항별 학업 성취도 정보 제공」, 4. 29일자 기사
연합뉴스, 2007, 11.23일자 기사
오마이뉴스, 2005, 「교사 25만여 명 교원평가 반대 서명」, 5.24일자 기사
장세풍, 2008,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 그 기대 혹은 우려」, 내일신문 사회면, 1.25일자 기사
오진우, 이상은. 2008,「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 격론」, 한국 경제 사회면, 4.28일자 기사
정찬욱, 2008, 「충남 기숙학교 9곳. 마이스터고 1곳 추진」, 6.2일자 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01&aid=0002110790
성기선, 2007, 「참여정부의 교육정책 : 고교평준화」, 교육비평 23호
정재용, 2007, 외고 등 특목고, 편법 운영땐 지정 취소, 10.29일자 기사
http://korea.kr/newsWeb/appmanager/portal/news2?_nfpb=true&_pageLabel=etc2_page
이영대, 2008, 「기숙형 공립고교 추진방향」, 대한평생교육협회,
김상기, 2008,「기숙형 공립학교 서울에도 2010년 3곳 추진 ‘논란’」, 국민일보 사회면, 5.27일자 기사
김보경, 기숙형, 2008,「공립학교 선정 기준 밝혀라」, 강원일보 사회면 6.3일자 기사
한국교육신문, 2008, 「공직기강 확립, 클린 365 추진」, 5.19일자 기사
좋은교사운동, 2008, 5.25, 「클린365 종합대책, 핵심이 빠져 있습니다」, 보도자료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보
도자료, 2008, 「교육 문제 총체적 난맥상 정책 결정 시스템, 추진방식 재정비해야」, 5.27일자
  • 가격5,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10.04.04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