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과(국사교육)의 특징, 목표, 교수학습원리,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내러티브 적용,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지역화와 지방사서술,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교사 자세와 제언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사과(국사교육)의 특징, 목표, 교수학습원리,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내러티브 적용,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지역화와 지방사서술,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교사 자세와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사과(국사교육)의 특징

Ⅲ. 국사과(국사교육)의 목표

Ⅳ. 국사과(국사교육)의 교수학습원리
1. 사회과 속의 역사 학습
2. 역사 의식의 신장
3. 역사적 사실의 재구성
4. 현재로의 귀결
5. 올바른 사관의 지도

Ⅴ.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내러티브 적용

Ⅵ.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지역화와 지방사서술
1. 역사교육 지역화의 의미
2. 국사 교과서의 지역사 서술 현황
1) 지역사 관련 서술 현황
2) 지역사 서술 체계와 인식

Ⅶ.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교사 자세
1. 학생중심의 수업방식
2. 눈높이 수업
3. 부교재 개발
4. 기자재 활용
5. 국사교사들간의 연계
6. 기타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새로이 서술된 교과서라는 점에서 차원을 달리하는 것이다. 결국 후자의 지역사 교과체제의 독자성을 분명히 하면서 전자의 입장을 상호 조화시키면서 지역화 교육이 모색되는 것이 제7차 교육과정에서 역사교육분야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 할 것이다. 한편 지역사 교과체제의 독자성을 갖더라도 중앙의 정책으로서 추진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지역사 교육을 뒷받침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지역사 교육을 담당할 훈련받은 교사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중등교과서의 서술체제의 현황과 한계를 분석하고, 그 다음으로 지역의 실정에 맞는 지역사 서술체계를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Ⅶ.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교사 자세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사의 자세라 할 수 있다. 아무리 다양한 수업방식과 좋은 수업자료를 알고 있다 하더라고 그것을 직접 사용하고 학생들과 직접 호흡해야 하는 교사의 노력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1. 학생중심의 수업방식
교사는 단순히 지식 전달을 위한 설명 중심방법에서 탈피하여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강의는 주입식이 아니라 발표와 토론식으로 병해해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권위의식을 가지고 학생들을 대해서는 안 될 것이다.
2. 눈높이 수업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수업을 준비한다. 교사가 아무리 많은 지식을 가졌다 하더라도 그것을 전달하는 방식이나 수준에 있어 학생들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학생들에게는 따분한 수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수업 방법이나 학습 자료 선정은 반드시 학생의 눈높이에서 찾는다.
3. 부교재 개발
교과서에만 전적으로 의지하지 말고 교과서를 토대로 하되 여러 자료들을 부교재로 채택해야 할 것이다. 가령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는 훌륭한 교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교과서로만 수업을 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할 것이다. 창의적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끔 교과서를 재구성하고 부교재를 다양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역사신문을 스스로 만들어 보게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그 수업활동이 그대로 쌓이게 됨으로 학생 스스로도 성취감을 느낄 것이며 다음 학기에 훌륭한 부교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기자재 활용
수업 진행시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슬라이드나 비디오, OHP, 플랙스 캠, 실물화상기, 컴퓨터 등 다양한 기자재를 통한 시청각교육을 병행하며 각각의 주제에 맞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그에 따라 지도 및 그림, 사진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능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5. 국사교사들간의 연계
이 같은 노력은 국사과 교사들의 연계로 공동작업을 하면 더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각 학교별로 지역적 특수성과 여건을 바탕으로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인터넷이나 교류를 위한 공동의 조직 틀을 이용하여 교류하게 되면 교사들은 지금보다 훨씬 폭넓고 다양한 내용과 자료를 가지고 수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같은 교류를 토대로 교사들이 정기적으로 새로운 수업 형태와 내용 조직 방안을 가지고 토론하고 협의하는 자리를 권역별도 전체 차원에서 가질 수 있게 된다면 국사교육의 활성화와 교사들의 사기 진작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6. 기타
㉠ 격려와 칭찬을 많이 한다. 한 번의 격려와 칭찬으로 학생들은 자신감을 갖고 성취 동기가 발생한다.
㉡ 철저하게 지금, 여기, 우리들을 생각하면서 수업 준비를 한다. 현실 삶 속에 널린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한다. 교실에서의 45분을 위해 4시간 이상을 준비한다는 생각으로 임한다. 주변의 모든 것을 국사과 수업 자료로 생각하면서 바라본다. 신문도 라디오도 TV까지도.
Ⅷ. 결론 및 제언
중고등학교에서 채택할 수 있는 역사과 교육과정은 크게 역사의 연대나 시간의 흐름을 중시하는 종적 접근법과 연대에 그다지 구애받지 않는 횡적 접근법의 둘로 구분된다.
* 종적 접근법
연대기적 교수요목(Chronology syllabus) - 역사적 사실을 시대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교육함으로써 역사의 발전적 측면을 이해시키는 것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교육과정이다.
종선적 교수요목(Line of developement syllabus) - 역사적 사실을 분류사에 따라 주거, 교통, 식생활, 정부제도 등으로 나누어 그 기원부터 이후의 발달과정을 교육하는 것이다.
* 횡적 접근법
혼합교수요목(Patch syllabus) - 어떤 특정한 시대를 택하여 그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사상 등을 비교 나열함으로써 문화 전반의 연관성 및 생활 전반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횡적 관점을 강조하는 것.
주제 또는 개념교수요목(Thema syllabus) - 시대보다는 민주주의, 민족주의 등과 같은 특정한 주제 또는 개념을 내용으로 선정하여 그에 적합한 여러 역사적 사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교육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교육과정은 연대기적 교수요목으로 이것은 현재 중고등학교의 역사교과서의 서술방식이다. 연대기적 교수요목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의 진행 순서에 따라 선사, 고대, 중세, 근대, 현대 사회를 하나씩 차근히 설명해 나감으로써 학생들의 혼동을 방지해 효율적인 수업이 가능하다는 데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역사 교육을 위해서는 연대기적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정하되, 종선적 교수요목과 혼합 교수요목을 부분적으로 채용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경상북도교육청(1996), 경상북도 중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영 지침
김여칠(1975), 국사교육목표의 연구-초·중·고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역사교육
국사편찬위원회(2006), 중학교 국사 교사용 지도서, 국정도서편찬위원회
배영순(1992), 중등국사교과서 개정판에 있어서의 근현대사 기술의 몇 가지 문제, 영남 인문학 연구소
이길영(2005), 중학교 국사 교과서의 역사 용어 서술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학회
정선영(1995), 국사교과서 편찬 준거안을 위한 학술회의 발표요지문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4.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