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관계와 조선족 문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중국 조선족
2.한국바람
3.조선족의 자기인식
4.한국의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 및 정책
5,재외동포법 논란
6.조선족의 위치와 역할
7.다국적 민족공동체 또는 한민족 네트워크
우리의 선택

@마치는 글

<참고문헌>

본문내용

, 한중 양국정부간에 의정서를 체결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에 앞서 92년 한중수교 당시 조선족 문제에 관해 양국 사이에 어떤 이야기가 있었는지도 밝혀져야 할 것이다.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우리 정부가 좀더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외교를 펼쳐야 할 것임은 당연한 일이다. 조선족 문제와 관련하여, 중국과 어떤 합의에 이르고, 조선족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능동적으로 모색해야 할 때이다.
<참고문헌>
권태환 1997.「중국 조선족사회의 성격과 현황」『중국 조선족사회와 한국』외교안보연구원
권태환 1996.『세계의 한민족: 중국』국토통일원
국가안전기획부 1998.『21세기 국가발전과 해외한민족의 역할』
권병현 2001.「21세기에 즈음한 재외동포정책의 방향」『외교』56
김강일 2001.『중국조선족사회의 문화우세와 발전전략』연변인민출판사
김강일 2001.「한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한 중국조선족의 역할」『지방행정연구』15-1
김재국 1996.『한국은 없다』민예당
김종국 1999.『세기교체의 시각에서 본 중국조선족』 延吉: 연변인민출판사
노영돈 1999.「재중한인의 국적에 관한 연구」『국제법학회논총』44-2
리홍우 1996.『조선족의 전망』흑룡강조선출판사.
박두복 1997.「중국조선족 한국진출과 문제점」『중국 조선족 사회와 한국』외교안보연구원.
방수옥 1998.「남북한관계의 전개와 재중동포의 역할」『동북아연구』98.
박명규 2000.「민족정체성과 세차원의 공동체」. 精文硏 한국학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
박명규 2000.「복합적 정치공동체와 변혁의 논리」『창작과 비평』2000-봄.
백낙청 1998.『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 비평사.
백영서 2000.『동아시아의 귀환』 창작과 비평사.
서경석 1998.「조선족 사기피해의 실태와 대책」『피해자학연구』6
설동훈 1998.「중국 조선족 사기피해의 원인과 대책」『피해자학연구』6
소진광 1999.「중국 동북3성 개발이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사회과학연구』5
이광규 2002.『격동기의 중국조선족』서울: 백산서당.
이규태 1998.「한중관계에서 조선족문제에 대한 연구」『세계지역연구』12
이종훈 2002.「통일지향적 재중동포정책 추진방안」미발표논문.
이종훈 2000.「재중동포정책의 변화과정과 향후방향」『민족발전연구』3
이진영 2002.「재중동포 관련쟁점에 대한 대중국 적극적 외교방안」정인섭(편).
이현정 2001.「조선족의 종족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비교문화연구』7-2
장세화 1997.「중국과 조선의 경제협력 분석」『국제관계연구』 97.
재외동포재단 1999.『재외동포재단 연구보고서』98-1. 주요국정지표에 기초한 재외동포정책 추진방향과 재외동포재단 중장기 사업계획.
정인섭(편) 2002. 재외동포법. 사람생각.
정신철 2000.『중국 조선족, 그들의 미래는...』서울: 신인간사
정판룡 1996.『세계 속의 우리 민족』 沈陽: 료녕민족출판사
정판룡 1996.「중국 조선족과 남북관계」『조선대 동북아연구』. 96-1
조정남 1999.「동아시아의 민족환경과 재외한인」『평화연구』8
조룡호 박문일(편) 1997.『21세기 매진하는 중국조선족발전방략연구』沈陽:료녕민족출판사.
차종환(외) 2002. 『재외동포법개정을 위해』재외동포법개정추진위원회.
최우길 2001.「남북관계와 중국조선족」『재외한인연구』11
최우길 2000a.「중국조선족의 정체성변화, 위치와 역할」精文硏한국학국제학술회의발표논문.
최우길 2000b.「중국 조선족, 그리고 우리의 정책」『정세와 정책』2000-04. 세종연구소.
최우길 2000c.「현대 중국 민족문제에 관한 소고」『세계지역연구논총』14
최우길 2000d.「다시 한민족을 생각한다: 남북화해와 통일을 잇는 다리」『미래의 얼굴』
최우길 2000e.「중국 개혁-개방 초기(1980년대) 민족정책: 정책기조 변화와 조선족 사회에의 적용과 관련하여」『선문대사회과학논집』3
최우길 1999a.「중국 조선족사회와 교육의 변화」『현대중국연구』2
최우길 1999b.「중국 조선족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소고」『在外韓人硏究』9
한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999.『21세기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의 비젼과 전략』.
한상복, 권태환 1993.『중국 연변의 조선족: 사회의 구조와 변화』서울대학교
허련순 1996.『바람꽃』서울: 범우사
황승연 1994.「중국동포들의 한국사회 적응실태」『교포정책자료』49
황유복 1997.「21세기의 조선족을 생각한다」『료녕조선문보』1997.2.13
홍만호 1996.「이제는 악몽에서 깨어날 때가 되었는가」『료녕조선문보』1996.12.26
『흑룡강신문』하얼빈
해외교포문제연구소 2001.『교포정책자료』제61집.
해외교포문제연구소 2000.『정책보고서』 제1회 국내외 해외동포문제전문가 대토론회
國家民族事務委員會(編) 1990.『新時期民族工作文獻選集』 北京: 中央文獻出版社.
國家民委政策硏究室(編) 1988.『國家民委民族政策文件選集』 北京: 中央民族學院出版社.
中國社會科學院民族硏究所(編).『我國民族區域自治文獻資料 編』 北京.
國家民委民族問題硏究中心. 1997.「對外開放與中國的朝鮮族」『民族硏究』 97(6):18-28
費孝通(等). 1989. 『中華民族多元一體格局』 中央民族學院出版社
潘龍海 黃有福(主編) 2002.『跨入二十一世紀的中國朝鮮族』延 大學出版社
高崎宗司. 1996.『中國朝鮮族-歷史·生活·文化·民族敎育』 東京: 明石書店
Heberer, Thomas. 1989. China and Its National Minorities: Autonomy or Assimilation? New York: M.E.Sharpe.
Lee Jeanyoung. 1999. China's Policy towards the Korean Minority in China 1945-1995.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University of London.
Mackerras, Colin. 1994. China's Minorities: Integration and Modern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6.15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