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과 학습지도안 세안 (양 난의 극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과 학습지도안 세안 (양 난의 극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단원명 ························· 1

Ⅱ. 단원의 교재관 ················ 1
1. 국가 사회적 측면
2. 교재의 계열면
3. 학생 측면

Ⅲ. 학습목표 ··············· 2
1. 지식 ․ 이해
2. 기능
3. 가치 ․ 태도

Ⅳ. 지도 계획 ····················· 3

Ⅴ. 지도상의 유의점 ··············· 5

Ⅵ. 본시의 학습목표 ··················· 6

Ⅶ. 학습 지도의 전개 ····················· 7

Ⅷ. 첨부자료 ························ 12
1. 학습지
2. 형성평가지
3. PPT 자료
4. 읽기 자료

본문내용

인에 관한 자료> 이순신 리더십의 비밀
이순신 장군 드라마에 이어 요즘 서점가에는 이순신 리더십을 다룬 서적들이 넘쳐난다. 임진왜란의 전쟁 영웅 이순신이 치밀한 전략과 리더십을 갖춘 CEO형 지도자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현상이다. "신에게는 아직 열두 척의 배가 남아 있나이다."로 요약되는 절대 열세인 조건에서 뛰어난 기지와 전략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오히려 승리를 일궈낸 그의 리더십이 현대 경영현장의 실전 전술로도 본받을 바가 있어서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서적들이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점이 있다. 그것은 이순신의 리더십이 단지 죽기를 각오하고 싸운다는 비상한 결심이나 고정관념을 깨고 적의 허를 찌르는 식의 전술적 차원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전쟁에 나간 장수 중 비상한 각오를 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으며, 또 허를 찌르는 전술은 저 멀리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부터 흔히 사용되어 오던 것이 아니던가. 임진왜란 당시 한산도, 명량해전 등에서 거둔 이순신의 전공(戰功)은 사실 거북선과 판옥선(板屋船)을 제조한 조선의 선박기술과 일본보다 월등히 성능 좋은 화약을 제조할 수 있었던 화학기술에 힘입었던 바가 컸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 화약을 직접 제조하기 시작한 것은 주지하듯이 고려 말 최무선에 의해서다. 중국은 이미 10세기께 부터 화약을 사용했다. 기록에 의하면 중국인들은 전쟁무기로서 가공할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화약 제조술을 일급비밀로 해서 고려에 알려주지 않으려 했지만, 최무선은 끈질긴 노력 끝에 결국 그 비법을 알아냈다고 한다. 당시의 화약은 염초, 유황, 숯가루를 섞어 만들었는데 최무선은 화약 제조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인 염초(焰硝.초석 또는 질산칼륨)를 만드는 기술을 터득하고 유황과 숯가루를 섞는 비율을 연구하여 화포를 개발해 냈다.
최무선 이래 우리나라는 화약 제조술에 관한 한 일본의 추종을 불허하였고 무기도 다량의 화약을 이용할 수 있는 화포 위주로 발전하였다. 반면 일본은 임진왜란 당시 서양에서 들어온 개인 화기인 조총(鳥銃)을 주무기로 하였으나 조총은 사정거리가 짧아 지상전이 아닌 해전에서는 그다지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더구나 뚜껑을 덮은 거북선이나 판옥선에 대해서는 무력하기만 한 반면 조선의 중화기인 화포는 먼 거리의 일본 선박도 격침시키는 위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이처럼 이순신 장군의 혁혁한 전공 뒤에는 당시 조선의 기술 경쟁력이라는 비밀이 숨어 있었다. 육지전에서의 참패와 달리 유독 해전에서 승리를 거듭한 것은 바로 위와 같은 화약 제조술의 우위에 기반한 것이었다. 모두가 죽을 수밖에 없는 악조건 속에서도 한 줄기 희망이 있었다면 적보다 우수한 특정 기술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순신의 리더십은 뛰어난 지도력에다 기술에 대한 이해가 결합된 소위 기술기반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 지식기반 산업사회에 들어선 한국이 요즘 곳곳에서 주춤거리고 있다. 나아가야 할 확실한 방향을 설정하고 매진하기보다는 우왕좌왕 갑론을박하면서 세월만 낭비하고 있지 않는가 걱정이 된다. 제조업 기반은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에 주도권을 빼앗긴 지 오래고 차세대 성장 동력이라 할 수 있는 신산업의 비전은 아직 가시권에 들어와 있지 않다. 흔들리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한국이 강소국으로 균형자 역할을 자임하려면 역시 탄탄한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경제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도 행정 서비스도 모두가 환골탈태해 산학연 연계 시스템으로 포괄돼야 한다. 민.관이 한자리에 모여 주식회사 한국호의 앞날을 설계하고 중지가 모이면 한번 신바람 나게 달려 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럴 때일수록 과학기술과 산업기술에 대한 이해를 갖춘 이순신형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바다.
- 최홍건 한국산업기술대 총장, 중앙일보 2005. 05. 21 -
<행주대첩 승리 이유와 관련된 자료> 행주대첩과 화차(火車)
임진왜란의 3대 승리는 행주대첩, 한산도대첩, 노량대첩을 꼽는다. 한산도대첩과 노량대첩은 ‘불멸의 이순신’이 해전에서 이룩한 승리이고, 행주대첩은 육전(陸戰)의 승리였다. 행주대첩의 보이지 않는 이면에는 망암(望庵) 변이중(邊以中:1546~1611)과 그가 제작한 화차(火車)라고 하는 신무기의 역할이 컸다. 해전에 ‘거북선’이 있었다면, 육전에는 ‘화차’가 있었던 것이다.
변이중은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던 도중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전라도 지역에서 군사를 모집하는 소모사(召募使)를 하였다. 그는 왜군의 조총에 대항할 수 있는 무기를 연구하다가, 고향인 전남 장성에서 화차를 개발하였다. 화차는 수레 위에 화살을 수십 발 장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수십 발의 화살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는 무기이다. 화차는 문종 때인 1451년에 이미 ‘문종화차’라고 하여 개발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후로 평화가 계속되어 사용이 흐지부지되다가 변이중에 의하여 다시 계승 발전되었던 것이다.
변이중이 발전시킨 화차는 화살 3~4개가 들어가는 통이 있고, 이 통이 가로로 5개, 세로로 10개가 장착되어 있었다. 한 번에 200발의 화살이 동시에 발사되는 무기였다. 도화선을 연결해서 화약에 불을 붙이면 엄청난 폭음을 내면서 자동 발사되는 구조였다. 행주산성에서 아군 3400명이 왜군 3만 명을 제압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은 이 화차의 화력 때문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행주산성은 산성이기는 하지만 주변이 야트막한 구릉으로 되어 있어서 난공불락의 요새도 아니다. 평탄한 지형에서 화차는 더욱 위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전투에는 40여대의 화차가 동원되었다.
변이중은 장성에서 백양사 가다 보면 중간에 있는 조양리(朝陽里)라는 곳에서 300대의 화차를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제작비용을 댄 사람은 망암 변이중의 사촌동생이자 만석꾼이었던 변윤중(邊允中:1550~ 1597)이었다. 전 재산을 여기에 썼다고 한다. 정유재란 때 조양리는 왜군의 철저한 보복을 받았다. 변윤중 가족이 왜군과 끝까지 싸우다가 자결한 곳은 현재 호남고속도로 장성IC 맞은편의 ‘휴암(休岩) 바위’로 알려져 있다.
- 조선일보 2005. 09. 03 -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6.22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1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