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극 수업 <통일신라와 발해><조선왕조 건국에 대한 역사재판수업>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판극 수업 <통일신라와 발해><조선왕조 건국에 대한 역사재판수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언

II. 이론적 배경
1. 역사적 사고력의 개념
2. 신채호의 역사 연구 이론에 적용
3. 극화 수업 분석 모형 제시

III. 수업 사례 분석
1. <통일신라와 발해>
2. <조선왕조 건국에 대한 역사재판수업>

IV. 결언

본문내용

다른 배심원들과 토론하게 된다. 하지만 글로 쓰는 결과물이 없을 뿐이지 이야기를 생성하는 과정은 똑같이 겪게 되며, 그 결과물이 쓰기가 아닌 말하기로 표현될 뿐이다. 토론 과정에서도 상대방의 주장이 매개요인이 되어 자신의 내적 논의를 역동적으로 활성화시키게 된다.
(4) 정리 단계
교사는 약 5분간 형성평가를 통해 조선 왕조의 왕권 강화 과정에 대해 묻는다. 이 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재판극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을 다시금 되새기면서 역사적 맥락 안에서 재판극 내용을 조망하고 역사적 판단력의 제고를 이끌어낼 수 있다. 하지만 형성평가의 형식으로 역사적 감동을 이끌어 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수업 분석 모형 적용]
수업진행
수업 준비 단계
극화 시연 단계
토의 단계
정리 단계
분석이론
거심습
구본색
구회통
구계통
주요목표
편견 없애기
사료비판/가설설정
역사적 맥락을 통한 이해
역사적 판단력 제고
학생-교사의 주요활동
자료배부
사료읽기
배역선정
주의집중
메모하기
자료와 메모를 토대로 배심원 토의하기
판결하기
형성평가
IV. 결언
지금까지 역사적 사고력 이론을 신채호의 역사 연구 단계에 적용시킨 대강에 내러티브 이론을 포괄하여 이론적 연구 성과를 수용하고 또한 총괄 개념을 비롯한 역사적 맥락의 이해 등의 연구 성과 또한 포함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수업 모형을 만들어보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해보고 모형을 적용시켜보았다.
역사적 사고력 이론과 신채호의 역사 연구 이론을 연계시켜본 결과 서로를 보완해주는 상보적인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알았고, 또한 신채호의 이론들이 현대의 역사 연구 이론들과 상응하는 많은 부분들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을 토대로 역사 교육 이론을 세우는 것은 더욱 유의미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2개의 수업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가장 먼저 나타나는 문제점은 수업 준비 단계와 정리 단계에 시간 할당이 너무 적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지도안 작성에 있어서 수업 준비 단계와 정리 단계에 좀 더 많은 시간을 할당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거심습과 구본색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하며, 또한 정리 단계에서 학생들이 감동을 느끼거나 역사적 판단력의 제고를 가지는 충분한 시간과 교사의 내용 정리가 있어야할 것이다. 또한 수업 분석 이론과 모형에서 드러나는 수많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재판극 수업은 학생들의 참여가 없으면 의미가 없어지는 단점과 대본상의 오류나 지나친 희화화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는 재판극 수업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아니라 교사의 역량에 크게 좌우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수업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는 명제와도 일맥상통하는 말로서 교사 스스로 되새기며 자기계발에 매진해야함을 시사한다.
비록 수업 분석 이론 내에 부분적으로 모호하고 조악한 개념들이 존재하지만, 본고의 논의를 시작으로 좀 더 체계적인 수업 분석 이론과 수업 분석 모형 제작이 활성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사례들이 분석되고 축적되어서 수업의 질적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육훈. 「역사재판-조선의 건국과정」. 『살아있는 삶을 위한 역사교육』. 서울: 푸른나무. 1989.
김한종. 「역사적 사고력의 개념과 그 교육적 의미」.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삼지원. 2001.
김환길. 「역사철학의 <행위설명이론>과 역사교육에의 적용 - 인물학습지도방법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삼지원. 1997.
박영숙. 「조선왕조 건국에 대한 역사재판수업」. 『역사교육논집』36. 1997.
송상헌. 「역사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맥락을 통한 이해의 문제」.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삼지원. 2001.
신채호. 『조선상고사』. 서울: 비봉. 2006.
윤종배. 「삼국통일과 발해」. 『우리 역사 어떻게 가르칠까』上. 서울: 푸른나무. 1995.
이영효. 「내러티브 양식의 역사 서술체제 개발」.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서울: 책과함께. 2005.
전국역사교사모임.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휴머니스트. 2002.
정선영 외. 『역사교육의 이해』. 서울: 삼지원. 2001.
최상훈. 「역사적 사고력의 의미와 하위범주」. 『역사교육와 역사인식』. 서울: 책과함께. 2005.
______. 「역사학습에서 ‘총괄’(Colligation)의 이용」.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삼지원. 2001.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7.1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